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크립토 한컷] 매버릭·밈코인 강세…'바이낸스 런치패드' ROI 6.86배로 플랫폼 1위

프로필
강수빈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글로벌 크립토 시가총액이 3조4400억 달러를 기록한 가운데, 매버릭 프로토콜과 밈(Meme) 카테고리가 높은 투자 수익률을 나타냈다. '오늘의 플랫폼'으로는 6.86배 수익률의 바이낸스 런치패드가 선정됐다.

 체인브로커

체인브로커

글로벌 크립토 시가총액이 3조4400억 달러를 기록하며 시장 회복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매버릭 프로토콜과 밈 카테고리가 두드러진 수익률을 보였다. 론치패드 플랫폼 중에서는 바이낸스 런치패드가 가장 높은 투자 성과로 주목받았다.

4일 기준 체인브로커에 따르면 글로벌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3조4400억 달러를 기록했다. 24시간 거래량은 975억 달러 수준이다. 비트코인은 10만9114달러, 이더리움은 2561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탈중앙화금융(DeFi) 분야의 총 예치 자산(TVL)은 1160억 달러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271억 달러가 예치돼 전체의 약 23.4%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트론(54억5000만 달러) ▲BNB 체인(46억7000만 달러) ▲아비트럼(24억2000만 달러) ▲옵티미즘(8억8900만 달러) 순으로 집계됐다.

거래소별 거래량에서는 바이낸스(Binance)가 하루 147억 달러로 1위를 기록했다. 뒤이어 ▲MEXC 글로벌(31억8000만 달러) ▲비트겟(Bitget, 30억 달러) ▲게이트아이오(Gate.io, 29억7000만 달러) ▲바이비트(Bybit, 27억 달러) ▲HTX(25억3000만 달러) ▲OKX(22억 달러) ▲크립토닷컴(Crypto.com, 20억8000만 달러)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오늘의 프로젝트 '매버릭 프로토콜(Maverick Protocol)'

체인브로커에 등록된 암호화폐 프로젝트 수는 총 3510개이며 이 가운데 상승 중인 프로젝트는 393개, 하락 중인 프로젝트는 964개로 나타났다.

최근 사용자 관심도(조회 수) 상위 프로젝트는 ▲사하라 AI(Sahara AI) ▲스타크넷(StarkNet) ▲아비트럼(Arbitrum) ▲세이 네트워크(Sei Network) 순으로 집계됐다.

24시간 기준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프로젝트는 ▲블랙홀 프로토콜(BlackHole Protocol, +68.1%) ▲길드 오브 가디언즈(Guild of Guardians, +64.1%) ▲배드록(Bedrock, +60.7%) ▲아우라 네트워크(Aura Network, +46.0%) ▲옵션룸(OptionRoom, +27.5%) ▲스피릿 네트워크(Spirit Network, +23.3%) ▲카피탈 DAO(Kapital DAO, +23.0%) ▲바인(Byin, +22.0%) ▲시머토이(Symmetry, +21.0%) ▲고질라 게임즈(Gozilla Games, +20.1%) ▲블라스트(Blast, +18.9%) 등이었다.

이날 '오늘의 프로젝트'로 선정된 종목은 매버릭 프로토콜(Maverick Protocol)로, 투자 수익률(ROI)은 5.22배를 기록했다.

체인브로커에서 산정한 종합 평가 점수는 5.12점으로 전체 492위에 해당한다. 매버릭은 트레이더, 유동성 공급자, DAO 자금운용자 등을 위한 유동성 중심 인프라를 제공하는 탈중앙화 거래소(DEX)다. '프로젝트 기본 요소(7.31점)', '로드맵·타임라인(4.26점)' 부문에서 비교적 높은 점수를 받았다.

오늘의 카테고리 '밈(Meme)'

전체 32개 암호화폐 카테고리 중 상승 부문은 3개, 하락 부문은 29개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밈(Meme) 카테고리가 ROI 2.02배를 기록하며 ‘오늘의 카테고리(Category of the Day)’로 선정됐다.

이날 수익률 기준 상위 카테고리는 ▲블록체인 서비스(3.52배) ▲소셜(2.87배) ▲데이터 서비스(2.25배) 순으로 나타났다.

시가총액 기준 상위 카테고리는 ▲스마트컨트랙트 플랫폼(5090억 달러) ▲중앙화 거래소(1710억 달러) ▲탈중앙화 거래소(252억 달러)다.

오늘의 펀드 '라이트스피드 벤처 파트너스'

체인브로커에 등록된 417개 크립토 펀드 중 89개가 24시간 수익률 상승세를 보였으며, 325개는 하락세를 기록했다.

이날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펀드는 ▲뉴웨이브 캐피털(Newwave Capital, +18.2%) ▲솔라나 재단(Solana Foundation, +12.3%) ▲아바타 벤처스(Avatar Ventures, +9.4%) ▲메이어 캐피털(Mayor Capital, +8.99%) ▲에이벤처스(AVentures, +8.1%) ▲ROK 캐피털(+7.63%) ▲포사이트 벤처스(Foresight Ventures, +6.46%) ▲일드 길드 게임즈(Yield Guild Games, +6.26%) ▲크레토스 벤처스(Kretos Ventures, +5.95%) ▲파노니(Panony, +5.83%) 순이다.

가장 높은 관심도가 나타난 펀드는 ▲a16z(5.28배) ▲라이트스피드 벤처 파트너스(Lightspeed Venture Partners, 5.1배) ▲바이낸스 랩스(Binance Labs, 3.02배) ▲코인베이스 벤처스(Coinbase Ventures, 2.42배) ▲판테라 캐피털(Pantera Capital, 1.61배) 순으로 집계됐다.

한편, '오늘의 펀드(Fund of the Day)'로는 미국 뉴욕 기반 벤처 캐피털 '라이트스피드 벤처 파트너스(Lightspeed Venture Partners)'가 선정됐다. 현재 ROI(투자 수익률)는 19.6배로 집계됐다.

펀드 포트폴리오 내 ROI 기준 상위 프로젝트는 ▲에테나(Ethena, 13.3배) ▲수이(Sui, 11.2배) ▲아비트럼(Arbitrum, 2.78배) ▲라이노파이(RhinoFi, 1.36배) ▲블러(Blur, 0.824배) ▲레코드파이(RecordFi, 0.623배) ▲타이코(Taiko, 0.453배) ▲매직에덴(Magic Eden, 0.425배) ▲오디우스(Audius, 0.381배) 등이다.

최근 24시간 기준 상승률 상위 종목은 ▲푸퍼 파이낸스(Puffer Finance, +1.99%) ▲리퀴드스왑(Liquidswap, –0.546%) ▲주스(Juice, –1.22%) ▲수이(Sui, –1.65%) ▲웨더엑스엠(WeatherXM, –1.78%) ▲FTX(–1.98%) ▲에테나(Ethena, –2.28%) ▲타이코(Taiko, –2.29%) ▲매직에덴(Magic Eden, –2.42%) ▲오디우스(Audius, –2.76%) 등이다.

가장 최근 투자 사례는 ▲매직블록(MagicBlock, 750만 달러) ▲레인(Rain, 2450만 달러) ▲레닷페이(RedotPay, 4000만 달러) ▲렌즈 프로토콜(Lens Protocol, 3100만 달러) ▲하이퍼볼릭(Hyperbolic, 1200만 달러) 등이다.

오늘의 플랫폼 '바이낸스 런치패드'

유망한 신규 프로젝트와 투자자를 연결하는 '론치패드(Launchpad)' 플랫폼은 총 115개로 집계됐다. 이 중 24시간 기준으로 수익률이 상승한 플랫폼은 31개, 하락한 플랫폼은 72개로 나타났다.

전체 론치패드의 평균 최고 수익률(ATH ROI)은 22.0배, 평균 ROI는 0.5배로, 여전히 변동성이 큰 시장 흐름을 보이고 있다. 평균 스테이킹 금액은 16.38달러로, 비교적 진입 부담은 낮은 수준이다.

현재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핫 크립토 론치패드는 ▲바이비트(1.01배) ▲폴카스타터(0.48배) ▲바이낸스 런치패드(6.54배)이다.

시가총액 기준으로는 ▲바이낸스 월렛(959억 달러) ▲바이낸스 런치패드(959억 달러) ▲OKX 점프스타트(29억8000만 달러)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이달 ROI 기준 상위 론치패드는 ▲코인리스트(11.4배) ▲바이낸스 런치패드(6.54배) ▲바이낸스 월렛(5.38배) ▲OKX 월렛(4.73배) ▲OKX 점프스타트(3.56배) ▲페이드 이그니션(2.08배) ▲옥스불(1.54배) ▲엔진스타터(1.53배) ▲쿠코인 스포트라이트(1.34배) ▲바이비트(1.01배) 순으로 확인됐다.

한편, '오늘의 플랫폼(Platform of the Day)'으로는 바이낸스 런치패드(Binance Launchpad)가 선정됐다. 바이낸스 런치패드는 현재까지 총 6.86배의 평균 투자 수익률(ROI)을 기록 중이다.

최근 스타터 플랫폼에서 신규 상장된 주요 프로젝트는 ▲아캄(Arkham, 9.28배) ▲오픈 캠퍼스(Open Campus, 2.62배) ▲스페이스ID(Space ID, 6.18배) ▲후크드 프로토콜(Hooked Protocol, 1.07배)로 나타났다.

24시간 기준 상위 수익률을 기록한 프로젝트는 ▲후크드 프로토콜(Hooked Protocol, +3.37%) ▲베타 파이낸스(Beta Finance, +1.93%) ▲폴리곤(Polygon, +0.919%)이며, ▲펄 에코(PERL.eco, –0.0133%) ▲와지르엑스(WazirX, –0.777%) ▲비트토렌트(BitTorrent, –1.06%)는 하락세를 보였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