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바이비트, 인도서 거래·스테이킹에 18% 세금 부과…레거시 서비스도 중단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바이비트가 인도 사용자에게 모든 크립토 트랜잭션에 대해 18% 부가가치세를 부과하고 주요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종료한다. 인도 정부의 암호화폐 세제 강화 흐름에 따른 조치다.

 바이비트, 인도서 거래·스테이킹에 18% 세금 부과…레거시 서비스도 중단 / TokenPost Ai

바이비트, 인도서 거래·스테이킹에 18% 세금 부과…레거시 서비스도 중단 / TokenPost Ai

인도 정부의 암호화폐 과세 정책이 다시 한번 강화된다.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비트(Bybit)가 인도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오는 7월 7일부터 모든 트랜잭션에 대해 18% 부가가치세(GST)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세금은 거래 수수료는 물론, 스테이킹 수익과 출금액에도 적용되며, 자산 수령 시 자동 공제되는 방식이다.

이번 변경은 인도의 엄격한 암호화폐 세제에 부응하기 위한 조치다. 바이비트는 새로운 정책이 현지 사용자 간 거래는 물론, 법정화폐 기반 가상자산 구매, 파생상품, 출금, 스테이킹 서비스 전반까지 포괄적으로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거래 관련 세금은 스프레드 기반으로 계산되며, 약 31만 명에 달하는 인도 사용자들이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예를 들어 2,000루피(약 3만 7,000원)의 수수료에 대해 사용자는 별도로 360루피(약 6,600원)의 세금을 추가 부담해야 한다.

이와 동시에 바이비트는 기존에 제공하던 일부 레거시 서비스를 종료하는 구조조정을 단행한다. 7월 9일 오전 8시(UTC)를 기점으로 ‘크립토 대출’, ‘바이비트 법정화폐 카드’, ‘자동 거래 알고리즘(트레이딩 봇)’ 등의 서비스가 순차적으로 중단된다. 특히 대출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는 7월 17일까지 납부를 마쳐야 하며, 미상환 잔액은 자동 상환된다. 카드 사용 역시 동일 날짜부터 차단되며, 새로운 발급은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

인도는 이미 지난 2022년 30%의 암호화폐 양도소득세와 1%의 원천징수세(TDS)를 처음 도입하며 업계의 거센 반발을 샀다. 실명 확인과 과세 강화를 통한 제도권 편입 시도가 이어지고는 있지만, 과도한 조세 부담에 따라 사용자 이탈 및 거래량 감소가 지속돼 왔다. 이번 18%의 GST 부과가 암호화폐 시장에 또 어떤 파장을 미칠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StarB

00:04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