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미국 재정 위기의 주요 방어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금과 더불어 ‘거시경제 자산’으로 자리잡았고, 최근 기록적인 상승세의 배경 역시 단순한 ‘투기 열풍’이 아니라 미국 재정 불안에 대한 대응이라는 설명이다.
10x리서치의 수석 애널리스트 마르쿠스 틸렌(Markus Thielen)은 최근 보고서에서 “이번 상승은 기술적 기대감이 아니라 거시적 불균형에 대한 헷지 수요에서 비롯됐다”며 “비트코인은 더 이상 기술 테마가 아니다. 이제는 미국의 무분별한 적자 지출에 대한 방어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비트코인은 최근 사상 최고가인 12만 1,000달러(약 1억 6,819만 원)를 돌파했다. 틸렌은 이를 두고 “이제 아무도 블록체인 기술이나 비트코인의 확장성에 대해서 말하지 않는다”며 “비트코인은 완전히 ‘매크로 자산’으로 재정의됐다”고 진단했다.
특히 미국의 재정정책이 촉발한 거대한 균형 붕괴가 현재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고 그는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7월 통과시킨 ‘아름다운 하나의 큰 법안법(OBBBA·One Big Beautiful Bill Act)’은 미 의회의 부채 상한선을 5조 달러(약 6,950조 원) 확대했고, 이는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단일 부채 상향에 해당한다.
당초 이 법안은 2조 달러 규모의 재정적자 감축 효과를 약속했으나, 실제로는 향후 10년간 오히려 2조 3,000억~5조 달러까지 재정적자를 확대시킬 수 있다고 틸렌은 경고했다. 이로 인해 최초 목표 대비 총 7조 달러(약 9,730조 원) 규모의 차이가 발생하며, 이에 대한 시장 반응으로 비트코인이 부각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재정 지출이 통제 불능 상태로 펼쳐지는 가운데, 동시에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이 점차 완화적으로 선회하면서 비트코인이 이러한 거시 환경의 최대 수혜자로 꼽히고 있다. “이건 단순한 암호화폐 랠리가 아니다. 급격히 붕괴되는 미국 재정 시스템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이라는 것이 틸렌의 시각이다.
그는 “이제 금과 더불어 비트코인이 다가오는 재정 위기에 대한 주요 방어 자산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리고 그 위기는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향후 변수도 풍부하다. 워싱턴 D.C.에서는 ‘크립토 위크(Crypto Week)’로 불리는 이번 주 동안 세 가지 주요 법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여기에는 암호화폐 시장 규제를 위한 CLARITY 법안, 스테이블코인 기준을 제정하는 GENIUS 법안,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에 대한 감시 우려를 제기하는 Anti-CBDC Surveillance State 법안이 포함된다.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디지털 자산 태스크포스가 오는 7월 22일 암호화폐 정책 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이며, 여기에는 비트코인을 전략적 비축자산으로 포함하는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Strategic Bitcoin Reserve)’ 제안이 담길 수 있다.
또한, 7월 30일 예정된 연준의 금리 결정 회의도 관건이다. CME 선물시장 데이터에 따르면 시장은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을 93%로 보고 있지만, 조속한 인하 가능성도 여전히 열려 있다는 평가다. 이러한 일련의 정책 및 정치적 이벤트가 비트코인의 거시적 역할 강화에 또 다른 동력을 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