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XRP였다면 수익 2배” 마이클 세일러 투자 전략 두고 논쟁 확산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3
좋아요 비화설화 5

XRP 급등 이후 마이클 세일러가 비트코인 대신 XRP에 투자했으면 수익이 2배였다는 주장에 업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규제와 유동성을 고려한 현실성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XRP였다면 수익 2배” 마이클 세일러 투자 전략 두고 논쟁 확산 / TokenPost.ai

“XRP였다면 수익 2배” 마이클 세일러 투자 전략 두고 논쟁 확산 / TokenPost.ai

마이크로스트래티지 공동 창업자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가 XRP 투자를 피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며, 암호화폐 업계 내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전직 리플(Ripple) 개발자 맷 해밀턴(Matt Hamilton)은 최근 XRP의 급격한 상승세 이후, 세일러가 비트코인(BTC)이 아닌 XRP에 투자했다면 수익이 두 배에 달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XRP의 가파른 상승과 함께 이런 가정은 충분한 화제를 모으며 실제 투자 전략에 대한 회고성 검토로 이어지고 있다.

해밀턴의 분석에 따르면, 세일러가 초기 투자액을 비트코인 대신 XRP에 투입했다면, 미디어 노출과 수요 확산 효과로 인해 XRP의 가격은 추가로 상승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는 또 세일러의 선택이 시장 흐름에도 영향을 미쳐 비트코인의 수요는 지금보다 줄었을 수 있다고 덧붙인다.

하지만 이 가정에 대해 반론도 만만치 않다. 텍사스웨스트캐피털의 크리스토퍼 잉크스(Christopher Inks)는 이 같은 추론은 “전제 자체가 잘못됐다”고 일축했다. 그는 “세일러는 리플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소송으로 논란이 일던 시점에 비트코인을 대량 매수했다”며, 당시 XRP는 미국 주요 거래소에서 상장 폐지된 ‘접근 불가 자산’이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SEC의 소송 여파로 당시 대부분의 미국 거래소는 XRP 거래를 중단했으며, 이는 기관투자자에게 ‘독극물’처럼 회피 대상이 되었다는 설명이다.

잉크스는 이어 해밀턴의 주장 중 단순 수익률 비교는 본질적인 오류라고 지적했다. 그는 “거래 가능 여부, 규제 리스크, 유동성 등 다층적 조건이 존재하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특정 지점의 가격만으로 판단하는 건 무책임한 분석”이라고 꼬집었다.

흥미로운 점은 세일러의 최근 태도 변화다. 그는 2022년까지만 해도 XRP를 “명백한 미등록 증권”이라고 비판했으나, 올해 들어 ‘미국의 다중 통화 기반 준비자산 체계’라는 개념을 언급하며 XRP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대중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이 발언은 일부 커뮤니티에서 “세일러의 기류 변화”라는 해석을 낳기도 했다.

XRP는 여전히 미국 내 규제 지형에서 명확한 지위를 확보하지 못한 채 변동성을 키우고 있지만, 최근 가격 반등과 ETF 기대 분위기로 또 다른 상승 동력을 얻고 있는 상황이다. 비트코인과 XRP를 둘러싼 투자자의 선택은 단순한 수익률 비교를 넘어, 규제ㆍ신뢰ㆍ시장 구조라는 복합 요인을 고려한 전략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3

추천

5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JOON0531

2025.07.21 04:24:34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가즈아리가또

2025.07.21 00:09:49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7.20 21:31:19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