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입니다. 오늘 하루도 잘 마무리하고 계신가요? 편안한 저녁 되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2025년 7월 21일 저녁인데요. 아 오늘 시장에 또 여러 가지 일들이 있었죠. 여러분이 놓치셨을 수도 있는 그런 중요한 시장 흐름 또 핵심 뉴스들 저희가 준비한 자료들 보면서 좀 깊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진행자
네 안녕하세요. 오늘 시장 뭐랄까 딱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려운데 전반적으로 혼조세였던 것 같아요. 특히 자료들을 쭉 훑어보니까 비트코인이랑 다른 알트코인들 사이에 온도차가 좀 느껴지더라구요.
토큰포스트
맞아요. 딱 그 표현이 맞는 것 같습니다. 그럼 시세부터 빠르게 한번 짚어볼까요? 오늘 저녁 기준으로 보니까 비트코인 BTC가 11만 9천 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네요. 어제보단 1.12% 정도 아주 약간 오르긴 했는데 좀 주춤하는 느낌이에요.
진행자
그렇죠. 비트코인은 좀 숨 고르기를 하는 반면에 이더리움 분위기가 달랐어요. ETH는 한 3.78% 상승해서 3795달러 꽤 강한 모습이었죠.
토큰포스트
네 그리고 리플 XRP도 괜찮았구요. 4.11% 올랐고 솔라나 SOL은 더 눈에 띄던데요. 6.71%나 상승했어요. 확실히 알트코인 쪽이 힘을 좀 받는 모습입니다.
진행자
네 맞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비트코인 시장 점유율 그러니까 도미넌스는 60% 근처까지 살짝 내려왔고 대신 이더리움 점유율은 11.5% 수준으로 조금 올라갔어요.
토큰포스트
아 이 점유율 변화가 딱 오늘 시장 분위기를 보여주는 거네요. 자금이 좀 알트코인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렇게 볼 수도 있을까요?
진행자
네 충분히 그런 해석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오늘 자료 중에 제일 눈에 띄는 게 또 하나 있었는데요. 바로 영국 정부 소식입니다. 이게 앞으로 시장에 또 어떤 변수가 될지 좀 지켜봐야 할 것 같아요.
토큰포스트
아 네 그 소식 저도 봤습니다. 영국 정부가 가지고 있던 비트코인을 판다 뭐 이런 얘기죠 무려 9조 3천억 원 파운드로는 50억 파운드 상당이라고 하던데 와 규모가 정말 어마어마합니다. 텔레그래프 보도를 인용한 자료였죠
진행자
네 맞습니다. 그 배경을 좀 들여다보면 아무래도 지금 영국 경제가 좀 어렵다 보니까 경기 침체 때문에 부족해진 예산을 이걸 팔아서 메우려는 목적이 춘 것 같아요. 이 비트코인이 작년 1월에 중국계 대규모 투자 사기 사건이 있었잖아요. 그때 압수한 6만 천 비트시의 일부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전체 압수량이 얼마인지는 아직 공개 안 됐구요.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단순히 정부가 돈이 필요해서 자산을 판다 뭐 이렇게만 볼 문제는 아닌 것 같은데요. 자료에서도 여러 우려들이 나오던데요.
진행자
네, 그렇죠. 암호화폐를 좀 긍정적으로 보는 쪽에서는 이걸 그냥 돈 문제로만 볼 게 아니다. 중요한 전략적 자산인데 이걸 너무 쉽게 팔아버리면 장기적으로 국가 경제에 오히려 안 좋을 수 있다. 뭐 이런 지적을 하고 있구요. 아 그리고 또 다른 문제가 있는데, 원래 이 비트코인 관련 사기 사건 피해자들이 있잖아요. 이분들은 이 비트코인을 돌려받아야 한다면서 중국 외교부에 영국이랑 좀 협상해 달라 이렇게 요청까지 한 상태라고 합니다. 복잡하죠.
토큰포스트
정부의 재정 문제 또 피해자들 구제 요구 그리고 이게 국가 차원의 어떤 암호화폐 자산관리 전략이랑도 맞물리고 정말 간단한 문제가 아니네요. 그냥 시장에 매물이 좀 풀리겠구나 이 정도 수준이 아닌 것 같습니다.
진행자
네 맞습니다. 이 결정이 어떻게 내려지느냐에 따라서 단기적인 시장 출렁임은 물론이고 앞으로 다른 나라들의 어떤 규제나 정책 방향에도 영향을 줄 수 있거든요. 근데 또 재미있는 건 이런 정부 차원의 움직임과는 좀 다르게 기관 투자자들의 움직임은 또 다른 방향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에요.
토큰포스트
정말 흥미로운 지점인데요. 마침 관련 자료도 있었죠. 이더리움 현물 ETF 있잖아요. 미국에서 여기에 지난주에만 무려 3조 원 가까이 정확히는 21.8억 달러가 순유입됐다고 합니다. 이거 출시 이후로 역대 최대 기록이라면서요 비트코인 ETF 쪽에도 3조 3천억 원이나 들어왔구요.
진행자
네, 그렇습니다. 기관들의 관심이 여전히 뜨겁다는 걸 보여주는 거죠. 프레스토리서치에서 나온 분석 자료도 비슷한 맥락인데요. 비트코인은 기관들이 계속 사주니까 안정적이긴 한데 그래도 큰 손들 그러니까 고래들이 갑자기 차익 실현하면 단기적으로 흔들릴 수는 있다. 뭐 이 정도로 봤구요.
토큰포스트
반면에 이더리움은 ETF 승인 이후로 기관들의 투자 모멘텀이 더 강해지고, 있다. 이렇게 꽤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정부 쪽 움직임이랑은 좀 다른 온도 차죠
진행자
정말 그러네요. 한쪽에서는 정부가 매각을 검토하고 규제 문제도 얽혀 있는데, 다른 한쪽에서는 제도권 자금이 계속 들어오고 있고 참 아이러니한 상황입니다. 그 외에 또 주목할 만한 소식들 어떤 게 있었을까요? 헤드라인 위주로 좀 짚어주시죠.
토큰포스트
네 몇 가지 더 있었는데요. 미국의 은행 단체들이 스테이블 코인 발행사들 예를 들면 써클이나 리플 같은 곳들이 은행 라이센스를 신청하는 것에 대해서 좀 우려된다는 의견을 냈다는 소식이 있었구요. 정책적으로나 법적으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뭐 이런 내용으로 OCC 그러니까 통화감독청에 서한을 보냈다고 합니다. 아 그리고 앞서 얘기했던 비트코인 점유율 하락 있잖아요. 60% 밑으로 내려갈 수도 있다는 전망과 함께 이러면 진짜 알트코인 시즌이 오는 거 아니냐 이런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진행자
알트시즌 기대감은 정말 꾸준히 나오네요. 국내 소식은 없었나요?
토큰포스트
국내 소식으로는 코나아이라는 상장사가 있죠. 여기서 자체 플랫폼 기반으로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는 걸 시연하겠다고 예고했어요. 오는 31일에 한다고 하고 올 4분기에는 상용화하는 게 목표라고 합니다. 그리고 기술적인 업데이트 소식도 하나 있었는데, 메타마스크 지갑 쓰시는 분들 많으시죠. 일부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에서 디스크 공간을 좀 비정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버그가 발견됐는데 곧 수정될 예정이라고 컨센시스(Consensys) 측에서 밝혔습니다.
진행자
정말 다양한 이슈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터져 나오고 있네요. 오늘 저희가 함께 살펴본 이런 내용들이 시장의 복잡한 퍼즐 조각들을 맞추시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특히 영국 정부의 비트코인 매각 결정 여부 이거는 정말 계속 지켜봐야 할 중요한 변수인 것 같습니다.
토큰포스트
네 만약에 정말 정부 차원에서 그렇게 대규모로 매각을 한다면, 그게 하나의 선례가 되어서 다른 나라들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까요?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진행자
그렇죠. 오늘 저희가 준비한 이야기는 여기까지입니다. 한 주간의 시장 흐름 속에서 이런 정부 정책 변화나 또 기술적인 발전 같은 여러 요소들이 어떻게 얽혀 돌아가는지 여러분 스스로 한번 질문을 던져보시는 것도 의미 있을 것 같습니다. 이상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였습니다. 편안한 저녁 시간 보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