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입니다. 2025년 7월 15일 화요일 저녁이네요. 네 오늘 하루도 잘 마무리하고 계신가요? 편안한 저녁 시간 보내시길 바라면서요 오늘은 7월 15일자 암호화폐 시작의 주요 움직임들 그리고 또 주목할 만한 소식들이 뭐가 있었는지 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진행자
네 안녕하세요. 오늘 시장 뭐 전반적으로는 좀 하락세를 보였죠 근데 그 안에서도 여러 가지 좀 들여다볼 만한 움직임들이 있었습니다. 주요 자산들 가격 변동이랑 또 시장의 큰 흐름 그리고 특히 어 주목해야 할 온체인 데이터나 뉴스들 같이 짚어보겠습니다.
토큰포스트
좋습니다. 그럼 먼저 오늘의 시세부터 좀 알아볼까요? 전반적으로 하락세였다구요.
진행자
네, 그렇습니다. 지금 시간 기준으로 보면 비트코인 BTC는 어제보다 한 4.14% 정도 내렸어요. 그래서 11만 7030달러 이 근처에서 거래되고 있구요.
토큰포스트
아 4%면 좀 크네요. 이더리움은요,
진행자
이더리움 ETH도 한 1.27% 정도 하락해서 지금 2985달러 수준입니다. 3천 달러 선이 살짝 깨진 거죠.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다른 주요 알트코인들도 좀 비슷했나요?
진행자
네, 뭐 리플 XRP가 한 2.35% 솔라나 SOL도 3.14% 정도 하락했고요. 대부분의 상위 알트코인들도 좀 약세를 보였습니다.
토큰포스트
전체적으로 좀 숨 고르는 분위기였네요.
진행자
네 맞아요.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도 그래서 조금 줄어서요 한 3조 6700억 달러 정도로 집계됐고요. 비트코인 점유율은 조금 줄었는데 이더리움 점유율은 아주 약간 늘어났어요. 근데 여기서 좀 눈여겨 볼 만한 게 파생상품 거래량이 어제보다 22% 이상 확 늘었다는 거예요.
토큰포스트
오 파생상품 고려량이요. 그건 왜 그런 걸까요?
진행자
이게 꼭 투기 수요 때문만은 아닐 수 있구요. 뭐랄까 시장 변동성이 좀 커질 것 같으니까 미리 좀 대비하려는 그런 헤징 움직임이 활발했다고 볼 수 있는 거죠. 시장이 좀 긴장하고 있다는 신호 같아요.
토큰포스트
가격은 좀 주춤했지만, 이면에서는 그런 움직임이 있었군요. 근데 오늘 진짜 흥미로운 건 대규모 비트코인 이동이 있었다면서요 이게 정말 궁금한데요.
진행자
네 맞습니다. 이게 오늘 제일 큰 뉴스 같아요. 약 8만 BTC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진 특정 고래 주소 있잖아요. 이 주소에서 오늘 하루 동안에만 무려 2만 6500BTC가 옮겨졌어요.
토큰포스트
2만 6천 개요 와 금액으로 따지면 어느 정도죠
진행자
이게 현재 시세로 보면 31억 달러가 넘구요. 우리 돈으로는 거의 4조 원이 넘는 엄청난 규모입니다.
토큰포스트
4조는 어마어마하네요. 그게 어디로 갔나요?
진행자
일단은 그 물량이 대부분 갤럭시 디지털 여기로 추정되는 주소로 이체가 됐구요. 근데 그중에서 일부 한 2천 BTC 정도는 이미 바이낸스나 바이비트 같은 중앙화 거래소로 입금이 된 게 확인이 됐어요.
토큰포스트
아 거래소 입금이라면 보통은 매도하려는 거 아닌가 이렇게 생각하게 되잖아요.
진행자
네, 그렇죠. 보통은 그렇게 해석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거래소로 들어오면 아무래도 매도 압력이 커질 수 있으니깐요. 물론 이게 뭐 100% 매도로 이어진다고 단정할 수는 없어요. 다른 목적일 수도 있거든요. 그렇지만 이렇게 단기간에 엄청난 물량이 이동했고 또 그 일부가 거래소로 갔다는 거 이것 자체는 시장 참여자들이 상당히 주목하는 부분이죠.
토큰포스트
네, 그렇겠네요.
진행자
네 그리고 이거랑 별개로 또 코인베이스 프로 쪽으로도 약 9861억 원 거의 1조 원 가까운 BTC가 또 입금된 움직임도 포착됐어요.
토큰포스트
아 여기저기서 큰 움직임이 많았네요.
진행자
그렇죠. 그러니까 이런 대규모 자금 이동이 과연 시장 심리에 어떤 영향을 줄지 이걸 좀 지켜봐야 하는 상황인 거죠. 여기서 이제 중요한 질문은 이 고래가 정말로 매도를 준비하는 걸까 이 부분이죠.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아 정말 흥미로운 움직임이네요. 이거 말고 다른 소식들도 좀 간단하게 짚어주시죠.
진행자
네 몇 가지 더 있습니다. 좀 상반된 소식들도 있는데요. 우선 이더리움 현물 ETF있잖아요. 이게 7거래일 연속으로 순유입을 기록했어요.
토큰포스트
오 이더리움 ETF는 계속 돈이 들어오네요.
진행자
네 꾸준히 들어오고 있어요. 이번 주에만 약 2억 5900만 달러 우리 돈으로 한 3500억 원 넘게 유입됐습니다. 기관들의 관심이 여전하다는 걸 보여주죠
토큰포스트
비트코인 쪽 움직임과는 좀 다른 분위기네요.
진행자
네 좀 그렇죠. 그리고 또 지난 30일 동안 10개 기업이 총 55만 ETH를 매수했다는 소식도 있어요.
토큰포스트
기업들도요 55만 개면 이것도 금액이 상당하겠는데요.
진행자
네 이게 약 16억 5천만 달러 우리 돈으로 2조 원이 넘는 규모입니다. 기업들이 전략적으로 ETH 투자를 계속하고 있다는 거죠.
토큰포스트
긍정적인 소식도 많네요. 근데 안 좋은 소식도 있다구요.
진행자
네 좀 안타까운 소식인데 디파이 프로토콜 중에 아카디아 파이낸스라는 곳이 해킹을 당했어요. 그래서 160만 달러 한 22억 원 정도 되는 자산을 탈취당했다고 합니다. 디파이 쓸 때는 역시 보안 위험을 항상 생각해야 한다는 걸 다시 한번 보여주는 사례죠
토큰포스트
디파이 해킹은 정말 끊이지 않네요. 국내외 규제 관련 소식은 없었나
진행자
네 국내에서는 임광현 국세청장 후보자가 가상자산 거래 내역 수집 체계를 좀 정비하겠다. 이렇게 언급했어요. 앞으로 국내 규제 환경이 어떻게 바뀔지 좀 주목해야 할 것 같고요.
토큰포스트
네 세금 관련해서는 계속 이슈가 되겠네요.
진행자
그리고 또 재미있는 거는 소위 서학개미라고 하죠. 해외 주식 투자하시는 분들 이분들이 최근에 테슬라 같은 주식은 좀 팔고 오히려 서클이나 코인베이스 같은 암호화폐 관련 기업 주식을 많이 샀다는 소식도 있더라구요.
토큰포스트
오 그래요.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 방향도 좀 변하는 걸까요?
진행자
뭐 그렇게 해석할 수도 있겠죠. 그리고 마지막으로, 장현국 전 위메이드 대표 위믹스 유통량 조작 의혹 관련해서 1심 재판이 있었는데, 무죄를 선고받았다는 소식도 있었습니다.
토큰포스트
아 그 재판 결과가 나왔군요. 네, 알겠습니다. 그럼 오늘 내용을 좀 정리해 보면 시장 가격 자체는 좀 하락했지만, 그 이면에서는 비트코인 거대 고래의 움직임 때문에 좀 긴장감이 돌았구요.
진행자
반면에 이더리움 쪽으로는 ETF나 기업들의 자금 유입 같은 긍정적인 소식도 계속됐고 또 규제나 개인 투자자 동향 변화도 있었네요.
토큰포스트
자 이 상반된 신호들 속에서 우리는 뭘 봐야 할까요?
진행자
네 맞습니다. 그 대규모 BTC 이동은 단기적으로는 좀 매도 압력이나 변동성에 대한 걱정을 하게 만들죠 하지만 동시에 또 이더리움 ETF로 계속 돈이 들어오고 기업들이 매수하는 모습은 중장기적인 성장 기대감은 여전하다는 걸 보여주거든요. 그니까 정말 상반분 신호들이 같이 나타나고 있는 거예요.
토큰포스트
네 정말 그러네요.
진행자
그래서 이런 상황에서는 한쪽으로 너무 치우쳐서 생각하기보다는 이 양쪽의 신호들을 다 주의 깊게 보면서 앞으로 시장이 어느 방향으로 갈지 좀 신중하게 관찰하는 게 중요해 보입니다. 특히 아까 말씀드린 그 고래 그 고래가 다음에 어떤 움직임을 보일지가 단기적인 시장 분위기를 결정할 수 있는 꽤 중요한 변수가 될 것 같아요.
토큰포스트
네 그 고래의 다음 행보 정말 주목해야겠네요. 자 오늘 저희가 준비한 이야기는 여기까지입니다. 오늘 저희가 나눈 이야기들이 여러분께서 시장을 이해하시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진행자
부디 남은 저녁 시간도 편안하게 보내시구요.
토큰포스트
지금까지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