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이 메인넷 출시 10주년을 맞았다. 지난 10년간 스마트컨트랙트 생태계를 주도해온 이더리움은 탈중앙화 금융(DeFi)의 핵심 인프라로 존재감을 확대해왔으며, 최근 기관 수요 확대가 동시에 관측되면서 이더(ETH)가 2021년 11월 기록한 사상 최고가 재도전에 나설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2024년 7월 현재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예치된 총 자산 규모(TVL)는 약 850억 달러(약 118조 1,500억 원)에 달한다. 이는 여전히 DeFi 생태계 전체에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수치로, 이더리움이 여전히 스마트컨트랙트 플랫폼의 정점에 있음을 방증한다.
이더리움은 러시아계 캐나다인 개발자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2013년 백서를 처음 공개하면서 시작됐다. 프로젝트는 2014년 진행된 초기코인공개(ICO)를 통해 약 1,830만 달러(약 254억 7,000만 원)를 모으는 데 성공했으며, 2015년 정식 메인넷을 출범했다. 비트코인(BTC)에 이어 시가총액 2위 암호화폐로 성장한 이더는 이후 ICO 붐, DeFi 열풍, 대체불가능토큰(NFT) 광풍 등 지난 10년간 주요 크립토 트렌드의 중심에 서 있었다.
다사다난했던 이더리움의 첫 10년은 크립토 산업의 급성장과 변동성을 그대로 반영한다. 특히 2020년 DeFi 여름이라 불린 시기에는 탈중앙화 거래소와 이자 농사(yield farming)를 통해 이용자들이 대거 유입됐고, 이후 NFT 붐으로 또 한 번 시장의 주도권을 잡았다. 물론 이 같은 과열은 이후 거품 붕괴와 프로젝트 정리로 이어졌고, 이더리움 역시 그 여파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그러나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Ethereum ETF 승인 움직임과 기관 투자 유입 확대는 이더리움의 또 다른 전환점을 시사한다. 업계 전문가들은 "기술적으로는 레이어2 확장성과 중심 커뮤니티의 안정성, 제도권 편입 가능성 등에서 긍정적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며 "당장 사상 최고가 도달은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새로운 서사를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은 갖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제 이더리움은 '검증된 네트워크'를 넘어 '제도권 기술 인프라'로의 도약이라는 숙제를 눈앞에 두고 있다. 10주년을 지나며 다시 상승 시동을 거는 이더리움이 다음 10년에는 어떤 역사를 쓸 수 있을지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