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중순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던 비트코인(BTC)이 이후 급락한 배경에 대한 전문 분석 결과가 공개됐다. 단순한 조정이 아닌 복합적 수급 불균형이 낳은 구조적 하락이라는 관측이 제기되며, 향후 시장 흐름에 대한 경계심이 커지고 있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크립토퀀트(CryptoQuant)는 최근 보고서에서 7월 말 발생한 비트코인 가격 붕괴의 주된 원인으로 거래소 상장지수펀드(ETF)의 수급 붕괴와 전반적인 수요 부족을 지목했다. 7월 13일 비트코인은 12만 3,091달러(약 1억 7,093만 원)로 사상 최고가를 찍었으나, 이후 약 9,000달러(약 1,251만 원)가량 하락해 현재는 11만 4,314달러(약 1억 5,889만 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번 급락은 통상적인 공급 부족 시 나타나는 가격 상승과 다른 흐름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판매 가능한 비트코인이 시장에 적을 경우 가격이 오르지만, 7월에는 수요가 결정적으로 뒷받침되지 않아 가격이 도리어 하락했다는 것이다. ETF 등 기관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일시적으로 줄어들었으며, 이를 보상할 만한 대체 수요도 없었다는 분석이다. 크립토퀀트는 이를 ‘유동성 재고 비율 붕괴’라고 명명하며 시장의 구조적 약세 신호로 풀이했다.
7월 한 달 동안 ETF 유입은 들쭉날쭉한 흐름을 보이며 일관된 투자 수요를 제공하지 못했다. 기존에 시장 가격 방어선을 책임졌던 기관 매수세가 사라지자, 조그마한 매도 압력에도 시장이 쉽게 무너지는 취약한 구조가 드러난 셈이다.
다만, 일부 대량 투자자들의 매수 재개가 포착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일본 상장사 메타플래닛은 최근 463 BTC를 추가 매입하며 적극적인 자산 확대에 나섰다. 이는 약 5,290만 달러(약 735억 원)에 달하는 규모다.
한편,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로 유명한 로버트 기요사키(Robert Kiyosaki)는 향후 비트코인이 추가 하락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그는 8월 중 가격이 9만 달러(약 1억 2,510만 원) 초반까지 빠지길 기대한다며, 그 시점에서 보유 물량을 두 배로 늘릴 계획을 밝혔다. 이는 단기적인 추가 매도 압력 가능성에 대한 경고로도 해석된다.
이러한 시장 반응은 비트코인이 더 이상 단순한 투기 자산이 아니라, 글로벌 자금 흐름의 방향성과 ETF 수급 등 복잡한 구조에 의해 좌우되는 제도권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투자자들은 단기 가격 움직임에 일희일비하기보다는, 이러한 흐름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며 장기 전략을 새로 짤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