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최근 일주일간 12% 넘게 상승하며 9만 2,000달러(약 1억 3,505만 원)를 회복했지만, 이런 상승세가 오래가지 못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블룸버그의 수석 상품 전략가 마이크 맥글론은 이 반등이 결국 ‘전형적인 조정’ 구간으로 되돌아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그는 최근 X(구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은 연간 피벗 구간인 5만 달러(약 7,340만 원)를 다시 테스트할 수 있다”며, 현재 시세 대비 약 45% 하락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의 관점은 디플레이션 가능성과 낮은 시장 변동성이 주요 촉매 요인이다. 특히 그는 미국 주식시장 대표지수인 S&P 500과 비트코인의 높은 상관관계를 지목하며, 최근 S&P 500의 변동성이 사상 최저 수준(120일 기준 11.3%)에 근접한 점이 시장 안일함을 나타낸다고 지적했다.
맥글론은 “S&P 500이 조용하거나 하락세를 보일 때 비트코인 역시 그에 맞춰 약세 경향을 보인다”며, 전반적인 위험자산 회피 심리와 디플레이션 환경이 BTC 가격을 압박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상황에서 비트코인은 5만 달러 선까지 밀려날 가능성이 있다는 게 그의 전망이다.
비슷한 우려는 다른 투자자 집단에서도 나오고 있다. 예측시장 플랫폼 폴리마켓(Polymarket)에 따르면, 참가자의 74%가 비트코인이 곧장 10만 달러(약 1억 4,680만 원)를 돌파할 가능성에 회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시장에는 여전히 비관론이 우세하다는 것이다.
실제 비트코인은 24시간 동안 최저 9만 604.51달러(약 1억 3,282만 원)에서 최고 9만 2,969.09달러(약 1억 3,641만 원)까지 등락을 거듭했으며, 현재는 소폭 하락한 9만 2,686.04달러(약 1억 3,604만 원)에 거래되고 있다. 가격은 오름세를 유지했지만, 전체 거래량은 24.98% 급감한 539억 1,000만 달러(약 79조 1,298억 원)로 줄어 투자 분위기의 위축을 보여준다.
지난해 추수감사절 당시 비트코인은 9만 5,737달러(약 1억 4,058만 원)까지 상승했던 반면, 올해는 그만한 성과를 재현하지 못했다. 기대와 실망 사이에 놓인 시장은 당분간 상승세 지속 여부를 시험받을 전망이다.
🔎 시장 해석
디플레이션 신호와 낮은 변동성이 결합된 매크로 환경은 비트코인과 같은 위험자산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S&P 500과의 높은 상관성은 비트코인의 향후 방향성 판단에 중요한 단서가 된다.
💡 전략 포인트
단기 반등에 현혹되기보다는 주요 지지선인 5만 달러 근처까지의 조정 가능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매수 시점보다 자산 배분 전략이 중요해지는 구간이다.
📘 용어정리
- 디플레이션(Deflation): 전체적인 물가 수준이 지속해서 하락하는 경제 현상으로, 소비 위축과 자산가치 하락을 초래할 수 있음
- S&P 500: 미국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500개 대형주의 주가를 기준으로 산정되는 대표지수
- 포지션 청산(Liquidation): 보유 중인 포지션을 강제로 종료시키는 것으로, 시장 가격 급변 시 나타나기 쉬운 현상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