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고용시장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2025년 하반기 들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이민 단속 강화가 겹치며 고용 증가세가 둔화될 것이란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다양한 경제 예측 기관들이 발표한 중간 전망 보고서들은 기업의 투자심리를 위축시키는 무역 불확실성과 노동력 공급 축소가 미국 고용시장에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미 연방준비은행 필라델피아지부가 실시한 경제 전망 조사에 따르면, 하반기 실업률은 현재의 4.2%에서 4.5%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최근 6개월간 유지됐던 4% 초반대의 안정적 고용지표가 흔들릴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더 비관적인 전망도 존재한다. 팬테온 매크로이코노믹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수입관세가 고용에 더 큰 충격을 줄 것으로 보고, 연말 실업률이 4.8%까지 오를 수 있으며 월 평균 신규 고용이 7만5000명 수준에 그칠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지난 5월 기록된 13만9000명보다 큰 폭의 하락세다.
특히 JP모간은 고용시장의 체력이 예상 외로 약화될 수 있다는 경고를 내놨다. 이들은 "노동공급 증가가 월 10만 명을 밑도는 상황에서 경기 사이클에 작은 충격만 있어도 월간 고용이 마이너스로 돌아설 수 있다"고 진단했다. 4년 반 넘게 지속된 고용 시장의 순증세가 무너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민 규제가 실업률 급등을 다소 억제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코메리카은행의 빌 애덤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민 감소로 노동시장 진입자가 줄면서 고용이 다소 둔화되더라도 실업률은 급격히 오르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그는 하반기 고용 시장이 "데이터만 보면 다소 불안정한 상태"라고 평가했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른 경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는 점이 고용과 동일하게 소비 · 투자 심리를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다. KPMG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다이앤 스웡크는 "노동시장이 한 번 하락세로 들어서면 하락 폭이 빠르게 커지기 때문에, 불안 수준은 결코 낮다고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결국 향후 고용시장 흐름은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및 이민 정책이 미국 기업들의 인건비 부담과 인력 운용 계획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달렸다. 2025년 후반기로 접어들면서, 미국 경제의 고용 창출 능력이 얼마나 흔들리지 않고 유지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