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GM, 전기차 계획 축소에 2.3조 원 손실…트럼프 정책 변수 작용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GM이 전기차 투자 계획을 축소하며 2조 3,000억 원의 손실을 공시했고, 여기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변화와 전기차 수요 감소가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GM, 전기차 계획 축소에 2.3조 원 손실…트럼프 정책 변수 작용 / TokenPost.ai

GM, 전기차 계획 축소에 2.3조 원 손실…트럼프 정책 변수 작용 / TokenPost.ai

미국 대표 자동차 제조사 제너럴모터스(GM)가 전기차 전환 계획을 대폭 수정하면서 약 2조 3,000억 원에 달하는 재무적 부담을 떠안게 됐다. 이 같은 결정을 내린 배경에는 전기차 시장의 성장 둔화와 미국 정부의 정책 변화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GM은 현지시간 14일 공시를 통해 이번 3분기 실적에 16억 달러(약 2조 3,000억 원)의 비용이 반영된다고 밝혔다. 이 중 12억 달러는 비현금성 손실로, 나머지 4억 달러는 계약 해지 수수료 등 현금 지출로 처리될 예정이다. 이는 전기차 투자 및 생산능력 계획을 대폭 축소하고 기존 계약을 되돌리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이다.

회사는 이번 결정을 소비자 수요 변화에 따른 전략 조정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전기차 구매자에게 제공됐던 세제 혜택이 점진적으로 종료되면서 미국 내 전기차 수요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GM은 이에 따라 생산시설 재배치와 배터리 부품 공급망 재검토 등을 포함한 전반적인 구조 조정에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흐름은 전기차 중심의 정책 기조에 제동이 걸리면서 촉발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 들어 보조금 폐지와 같은 반전기차 정책 기조가 뚜렷해지면서, 완성차 업계 전반에서 전기차 사업에 대한 속도 조절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GM뿐만 아니라 다른 대형 제조사들 역시 유사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GM은 향후 전기차 관련 투자 및 생산계획을 보다 점진적이고 수요에 유연한 방향으로 조정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비용 발생 가능성도 열려 있는 상태다. GM 측은 “배터리 생산 거점과 전기차 생산라인 배치 등 전반적인 전략을 전면 재검토 중”이라며 향후 수익성과 기술 경쟁력을 균형 있게 갖춘 새로운 포트폴리오 구성을 예고했다.

이번 GM의 결단은 향후 전기차 산업 전반에 대한 투자 열기와 향방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정부의 정책 변화와 소비자 인식 전환이 맞물리며 전기차 시장의 구조 자체가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사계절

09:35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10.15 09:34:5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