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시드와 KB국민은행이 합작해 설립한 가상자산 보관·관리 전문기업 한국디지털에셋(KODA, 이하 코다)이 삼성화재와 최대 2000만 달러까지 보상 가능한 가상자산 전용 보험을 체결했다. 이는 국내 커스터디 업계 최초로 금융권 수준의 내부통제와 보험 보장 체계를 동시에 갖춘 사례로, 제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업계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한 것이다.
현재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가상자산사업자들은 보험 가입이 의무화되어 있지만, 100% 콜드월렛 기반 보관 시 가입 가능한 보험 한도는 최대 5억 원에 불과하다. 이는 코다처럼 고객별로 수백억 원대 가상자산을 수탁하는 커스터디 사업자 입장에서는 실질적 보호 장치로는 부족한 상황이다.
코다는 하반기 법인 계좌 허용 및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 도입 검토 등 제도 변화에 맞춰 투자기관, ETF 운용사 등 기관 고객 수요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이번 보험을 추진했다. 초기 보험 가입 금액은 2000만 달러이며 수탁 자산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보상한도 확대를 논의할 계획이다.
코다는 고객 자산을 고객별 개별 지갑과 독립된 프라이빗 키로 관리하고 있어 특정 지갑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사고 범위가 제한되며, 나머지 고객의 지갑 잔고는 안전하게 보호된다.
조진석 코다 대표는 “ETF와 법인 시장 개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체결한 이번 보험은 고객 자산 보호 수준을 전통 금융권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중대한 전환점"이라며 "삼성화재와의 가상자산 전용 보험 계약을 통해 커스터디 서비스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한층 강화했다"고 말했다. 또한 "앞으로도 고객 자산을 안전하게 수탁하고, 국내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시장을 선도하는 신뢰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겠다"고 강조했다.
글자크기
가
가
가
가
한국디지털에셋(KODA), 삼성화재와 최대 2천만 달러보상 가능한 ‘가상자산 전용 보험’ 체결

코다가 삼성화재와 업계 최대 규모인 2000만 달러 보험 계약을 체결하며 가상자산 보호 수준을 강화했다. 이는 커스터디 업계 최초로 실효성 있는 보험 보장을 확보한 사례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