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블록, 실적 쇼크에 시간외 거래서 18% 급락…가이던스도 하향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1
1

블록이 기대 이하의 실적과 하향된 연간 가이던스를 발표하며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18% 급락했다. 스퀘어 감소세와 캐시앱, BNPL 성장에도 투자심리는 위축됐다.

블록, 실적 쇼크에 시간외 거래서 18% 급락…가이던스도 하향 / TokenPost Ai

블록(Block Inc.)의 주가가 실적 부진에 따른 시장 실망감 속에 시간외 거래에서 18% 이상 급락했다. 2025 회계연도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이익과 매출 모두 시장 기대치를 밑돈 데다, 연간 가이던스까지 하향 조정하며 투자심리에 찬물을 끼얹었다.

블록은 지난 3월 31일 마감된 분기 동안 주당 56센트의 조정 순이익을 기록해 전년 동기(47센트)대비 소폭 증가했지만, 시장 예상치였던 98센트에는 한참 미치지 못했다. 매출 역시 56억 6,000만 달러(약 8조 1,500억 원)로 연간 기준 3% 감소하며 전문가 추정치인 62억 1,000만 달러를 하회했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스퀘어(Square)의 분기 총결제금액(GPV)은 541억 달러(약 77조 8,000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7.2% 성장했지만 직전 분기의 589억 달러보다는 줄었다. 반면 캐시앱(Cash App)의 월간 활성 이용자는 5,700만 명으로 변동 없었으며, 전환 사용자 1인당 총이익은 81달러로 9% 증가했다. BNPL(선구매 후지불) 부문은 총 상품판매금액(GMV)이 103억 달러로 19% 증가하며 성장을 견인했다.

암호화폐 사업에서는 분기 매출 24억 3,000만 달러에 6,800만 달러의 이익을 기록했다. 전체 총이익은 9% 늘어난 20억 9,000만 달러에 달했지만, 이 역시 시장의 23억 2,000만 달러 전망에는 미치지 못했다.

블록은 분기 중 주요 기술 투자를 단행했다. 엔비디아(NVDA)의 차세대 AI 인프라인 DGX 슈퍼팟(SuperPOD) 및 DGX GB200 시스템을 북미 최초로 도입하기로 결정, 오픈소스 생성형 AI 모델의 연구 및 학습에 활용할 계획이다. 또 캐시앱 내 애프터페이(Afterpay)의 ‘지불 유예(Pay Over Time)’ 기능을 론칭하며 BNPL 확장을 적극 추진 중이다.

하지만 2분기 가이던스를 통해 회사는 총이익이 24억 5,000만 달러, 연간 총이익은 99억 6,000만 달러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각각 시장 추정치인 25억 4,000만 달러 및 102억 달러보다 낮은 수치로, 전반적인 시장 환경에 보다 신중한 접근을 보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블록은 주주 서한을 통해 "보다 역동적이고 예측 불가한 거시경제 환경에 맞춰 가이던스를 조정했다"며 "하반기에는 캐시앱 고객과의 접점을 확대하고 BNPL 기능을 더욱 강화함으로써 수익 성장세를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투자자들은 하반기 전략 실행의 성과 여부에 따라 불확실한 주가 흐름에 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1

추천

1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릴라당

10:22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릴라당

2025.05.02 10:26:58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