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ys
  • Hours
  • Mins
  • Secs

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어도비 AI, '한복' 검색에 일본 기모노 노출…문화 왜곡 논란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어도비 AI 이미지 생성 기능에서 '한복'을 검색하면 기모노가 노출되며 문화 왜곡 논란이 일고 있다. 서경덕 교수는 어도비에 시정을 요구하며 공식 항의에 나섰다.

 어도비 AI, '한복' 검색에 일본 기모노 노출…문화 왜곡 논란 / 연합뉴스

어도비 AI, '한복' 검색에 일본 기모노 노출…문화 왜곡 논란 / 연합뉴스

미국의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기업인 어도비가 운영 중인 인공지능(AI) 이미지 생성 기능에서 ‘한복’을 검색하면 일본 전통의상을 연상케 하는 이미지가 다수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하면서, 문화 왜곡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이 같은 문제는 성신여자대학교 서경덕 교수가 일반 이용자들의 제보를 토대로 확인하면서 알려졌다. 그는 어도비 포토샵의 생성형 이미지 기능에서 ‘한복’ 혹은 ‘Hanbok’이라는 단어를 입력했을 때, 실제 한복 이미지보다는 기모노와 유사한 일본식 전통 복장이 다수 검색된다고 지적했다. 단순한 기술적 오류를 넘어,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잘못된 문화 정보가 확산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서 교수는 이 문제를 어도비 본사에 바로잡아 줄 것을 요구하며 공식 SNS 계정을 통해 항의 메일을 발송했다. 메일에는 실제 한복의 특징과 역사적 배경을 알리는 영상까지 함께 첨부해, 단순 항의가 아니라 교육적 목적을 담은 시정 요청임을 강조했다. 그는 "이 오류는 한복의 정체성을 왜곡하는 것이며, 사용자에게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위험이 크다"고 밝혔다.

이번 사안은 최근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통문화 주도권 논란과도 맥이 닿아 있다. 중국에서는 한복이 자국 전통의상인 ‘한푸’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을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으며, 이는 한국 내에서 큰 반발을 사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글로벌 기업의 플랫폼에서 한복 표현이 잘못될 경우, 한복의 정통성과 국제적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서 교수는 "한복은 한국 고유의 문화유산으로, 전 세계가 관심을 가지는 만큼 이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이 필수적"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특히 글로벌 소프트웨어 도구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가 광고, 교육, 콘텐츠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현실을 감안할 때, 이번 문제의 파장이 단순한 기술적 오류 그 이상이라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이 같은 문화적 인식 오류는 기술 진화 과정에서 지속될 수 있는 부작용 중 하나로, 기업의 데이터 학습과 검수 과정에서 정교한 문화감수성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향후 어도비 측이 얼마나 신속하고 책임 있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유사 사례의 재발 여부와 공신력 회복의 분수령이 될 가능성이 크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달돌달돌

10:14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