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정부 시스템 화재 여파…통신 3사 서비스도 줄줄이 마비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전산망이 마비되면서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통신사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했다. 일부 서비스는 아직 복구되지 않아 민간-공공 전산 연동 구조의 취약성이 드러났다.

 정부 시스템 화재 여파…통신 3사 서비스도 줄줄이 마비 / 연합뉴스

정부 시스템 화재 여파…통신 3사 서비스도 줄줄이 마비 / 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전산망에 차질이 생기면서, 통신사들의 일부 서비스 제공도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등 파장이 확산됐다.

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 9월 26일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리튬이온배터리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면서, 정부 시스템을 뒷받침하던 전산 인프라가 일시에 마비됐다. 이 영향으로 27일부터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주요 통신 3사가 운영하는 일부 서비스에도 접근 장애가 수반됐다. 해당 통신사들은 서비스 복구 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해, 29일 현재 대부분 정상화된 상태다.

구체적으로 KT는 정부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배송지 주소 자동 입력, 공공 마이데이터 인증 등 기능에 문제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KT.com과 마이케이티 앱상의 일부 서비스가 일시 중단됐다. KT는 자사 홈페이지에도 관련 내용을 공지하며,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복구 완료되는 시점에 맞춰 서비스를 다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유사한 상황이었다. 두 통신사 모두 휴대전화 결합 할인 신청과 관련된 공공 마이데이터 인증이나 전자문서지갑 서비스 등에서 장애가 발생했으며, 이 역시 정부 시스템 이용이 어려워진 데 따른 간접적인 결과다. 통신 3사는 현재 해당 기능 대부분이 복구됐다고 전하면서,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세 통신사 모두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 서비스에 대해서는 여전히 접속이 불가능하다고 알렸다. 이는 정부 시스템의 일부 복구가 아직 완료되지 않았음을 시사하며, 민간 서비스 복구에도 제약이 있음을 보여준다. 주민정보 연동은 각종 인증 절차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완전한 복구 없이는 일부 서비스에 계속해서 영향이 남을 수 있다.

이 같은 상황은 민간과 정부 간 전산망 연동 구조의 민감성을 다시 한 번 드러낸다. 정부의 전산 인프라에 문제가 생기면, 통신·금융 등 연계 정보 시스템을 활용하는 민간 서비스에도 연쇄적인 영향이 불가피해지는 구조다. 향후에는 데이터 백업망과 대체 인프라 확충 등 다양한 재난 대응 체계를 보다 촘촘하게 마련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