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추천 추천

AM WEEKLY REPORT 25년 10월 4주차

AM WEEKLY REPORT 요약 (2025년 10월 20일 기준)

 

1. 주간 시장 개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첨단제품 전반에 대한 100% 관세 방침을 일부 완화하는 발언을 내놓으면서 글로벌 시장은 단기 안도 국면에 진입했다. 트럼프는 “중국을 걱정하지 말라, 결국 잘될 것”이라며 시진핑 주석에 대한 긍정적 메시지를 덧붙였고, 미국 재무장관 또한 양국 간 실무급 협상 재개 가능성을 언급했다.

다만 관세 철회가 공식화된 것은 아니며, 협상 일정 또한 확정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시장은 이번 발언을 정책 리스크 완화보다는 급락 국면에서의 단기 안정 신호로 해석하고 있다. 일부 기관은 여전히 변동성 확대 리스크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며, 기술적 반등 이후의 재차 조정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한편 미국 정부 셧다운 장기화로 CPI, PPI, 소매판매 등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연기되면서 시장은 데이터 공백(Data Void) 국면에 놓였다. 연준의 정책 판단 역시 지표 부재로 제약을 받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실물 데이터 없이 정책 발언과 헤드라인 뉴스에 의존해 방향성을 탐색하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2. 금주 주요 일정

이번 주 시장의 초점은 트럼프의 완화적 발언이 실제로 협상 재개로 이어질 수 있을지 여부에 맞춰져 있다. 직전 주 급락의 원인이었던 100% 관세 발언이 한발 물러나면서 단기 안도감이 형성되었지만, 아직 실질적인 협상 진행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번 주는 정책 신호의 진정성을 검증하는 관망 구간이 될 전망이다.

셧다운 장기화로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연기되며 시장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다. 9월 CPI 발표가 24일로 연기된 가운데, 인플레이션 데이터가 향후 연준의 기조를 결정할 핵심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여전히 내수 부진과 수출 둔화에 직면해 있으나, 미·중 실무 협상 재개 가능성이 제기되며 단기 긴장 완화 기대가 유지되고 있다.


3. 거시경제 및 금리 전망

미국 기준금리는 현재 4.25%이며, 10월 FOMC에서 375~400bp로 추가 인하될 확률은 99%로 반영되고 있다. 이는 셧다운 장기화로 인한 경기둔화 우려와 최근 완화된 관세 리스크를 고려한 결과다. 12월 FOMC에서는 동일 구간 인하 확률이 93.9%로 유지되며, 시장은 사실상 추가 완화를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다만 경제지표 공백으로 인해 연준의 향후 판단이 데이터가 아닌 정치적 변수나 발언 리스크에 더 크게 의존하게 되는 점은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 셧다운이 장기화될 경우, 재정 지출 위축과 소비 둔화가 경기 하방 압력을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


4. 암호화폐 시장 흐름

비트코인은 트럼프의 완화적 발언 이후에도 약세 흐름을 이어가며 주간 기준 -6.41% 하락한 107,759달러에 마감했다. 글로벌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3.61조 달러로 전주 대비 -6.71% 감소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59.61%(+0.15%), 이더리움 도미넌스는 12.84%(-1.07%)로 집계되었다.

관세 리스크 완화에도 불구하고 셧다운 불확실성으로 자금이 위험자산에서 이탈하며, 시장 전반의 유동성이 위축된 모습이다. 단기적으로는 기술적 반등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으나, 시장의 신뢰 회복에는 추가적인 정책 확신이 필요하다.


5. ETF 수급 동향

미국 상장 비트코인 ETF 총 보유량은 약 1,555,000 BTC로 전체 발행량의 7.4%에 해당한다. 비트코인 ETF는 여전히 순유입 우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더리움 ETF는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기관 자금은 비트코인 중심으로 재집중되고 있으며, 이더리움은 기술적 조정 구간에서 재매수 타이밍을 탐색하는 양상이다.

이더리움 ETF에서는 약 4.2억 달러 규모의 순유출이 발생했으나, Fidelity와 BlackRock을 중심으로 중장기 보유 포지션이 유지되고 있다. 일부 구간에서는 재유입도 확인되며, 단기 조정 구간 내 자금 재편 흐름으로 해석된다.


6. 애널리스트 시황

비트코인은 급락 이후 강한 매수세 유입으로 일시적 반등에 성공했으나, 지난주 다시 저점 리테스트 움직임을 보이며 상승 추세선을 이탈했다. 해당 추세선은 4월 이후 유지되어 온 핵심 지지선으로, 중기 상승 사이클 지속 여부를 판단할 주요 기준이었다.

현재 가격은 장기 이동평균선 부근까지 밀린 상태로, $102,000 구간이 사실상 마지노선으로 작용하고 있다. 해당 구간이 유지된다면 단기 반등 모멘텀을 회복할 수 있으나, 이탈 시 중장기 추세 전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비트코인이 중장기 구조를 유지하는 반면, 알트코인은 뚜렷한 우하향 추세를 지속 중이다. 알트코인의 고점 전환 신호가 나타나기 전까지는 보수적 포지션 관리가 필요하며, 시장 유동성은 당분간 비트코인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


7. 종합 결론

트럼프 대통령의 완화적 발언이 시장의 극단적 긴장을 완화시키며 단기 반등세를 유도했으나, 정책 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다. 셧다운 장기화로 인한 경제지표 발표 중단이 지속되면서 시장은 여전히 불확실성에 노출되어 있다.

단기적으로는 기술적 반등이 이어질 수 있으나, 미·중 협상 진전과 셧다운 해소가 가시화되기 전까지는 명확한 추세 복원은 어렵다.

AM 애널리스트는 알트코인 도미넌스가 고점을 높이는 추세 전환 신호가 나타나기 전까지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정책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주요 지표가 정상화되는 시점까지는 비중 확대보다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두는 전략이 유효하다.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Bitcoin 로고 Bitcoin (BTC)
154,453,650 (-0.27%)
Ethereum 로고 Ethereum (ETH)
5,465,667 (-0.86%)
Tether USDt 로고 Tether USDt (USDT)
1,432 (-0.06%)
BNB 로고 BNB (BNB)
1,546,892 (+1.90%)
XRP 로고 XRP (XRP)
3,390 (-1.98%)
Solana 로고 Solana (SOL)
259,250 (-2.64%)
USDC 로고 USDC (USDC)
1,432 (+0.01%)
TRON 로고 TRON (TRX)
461.1 (+0.01%)
Dogecoin 로고 Dogecoin (DOGE)
272.8 (-1.64%)
Cardano 로고 Cardano (ADA)
896.8 (-2.39%)
왼쪽
2025 10월  23(목)
오른쪽
진행기간 2025.10.23 (목) ~ 2025.10.24 (금)

5명 참여

정답 60%

오답 40%

진행기간 2025.10.22 (수) ~ 2025.10.23 (목)

43명 참여

정답 67%

오답 33%

진행기간 2025.10.21 (화) ~ 2025.10.22 (수)

45명 참여

정답 82%

오답 18%

진행기간 2025.10.20 (월) ~ 2025.10.21 (화)

48명 참여

정답 79%

오답 21%

기간 2024.03.20(수) ~ 2024.04.0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 에어드랍
신청인원

126 / 100

이더리움(ETH) 일반 마감

[Episode 11] 코인이지(CoinEasy) 에어드랍

기간 2024.02.27(화) ~ 2024.03.1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총 150 USDT 지급
신청인원

59 / 50

기간 2023.10.11(수) ~ 2023.10.25(수)
보상내역 $10상당의 $AGT
신청인원

172 / 150

기간 2023.09.01(금) ~ 2023.10.01(일)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만원 상당의 상품권 에어드랍 (50명)
신청인원

26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