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추천 추천

AM WEEKLY REPORT 25년 10월 3주차

AM WEEKLY REPORT 요약 (2025년 10월 13일 기준)

 

주간 시장 개요

미국 정부 셧다운이 장기화되며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중단되고, 시장의 불확실성이 한층 확대된 한 주였다. 연방정부 기능이 일부 마비된 가운데 고용·소비·물가 등 핵심 지표가 발표되지 않아 연준의 정책 판단 근거도 약화된 상황이다. 장기금리는 하락했지만 달러 강세가 이어졌고, 주식시장은 거래량이 감소한 상태에서 기술주 중심의 제한적 반등세만 나타났다. 트럼프 대통령의 100% 대중 관세 발언은 시장 전반의 위험회피 심리를 자극하며 글로벌 자산 전반에 충격을 주었다. 특히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하루 만에 약 190억 달러 규모의 포지션이 청산되었다. 비트코인은 10만 달러 초반대로 밀렸고, 알트코인은 평균 -50%~-80%의 급락세를 보였다. 이후 트럼프가 관세 조정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단기적인 반등세가 나타났으나,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는 여전히 불안정한 상황이다.


금주 주요 일정

이번 주 미국에서는 연준의 베이지북 공개와 함께 제조업 PMI,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2분기 GDP 수정치, PCE 물가지수 등이 예정되어 있다. 다만 셧다운으로 인한 통계 공백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실제 발표 일정이 변동될 수 있다. 해외 주요 일정으로는 유로존 CPI, 일본 산업생산 및 금리 결정, 중국의 GDP 및 소매판매 발표가 예정되어 있으며, 글로벌 경기 둔화 여부를 가늠할 핵심 데이터로 주목되고 있다.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Starknet, Sei, Arbitrum, Wormhole 등 주요 프로젝트의 토큰 언락과 메인넷 업그레이드 이벤트가 집중되어 있어, 시장 내 단기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거시경제 및 금리 전망

현재 기준금리는 4.25%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10월 FOMC에서 375~400bp로 추가 인하될 확률은 97% 이상으로 반영되고 있다. 이는 셧다운 장기화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와 함께 물가 압력이 완화되고 있다는 판단이 반영된 결과다. 12월 FOMC에서도 완화적 기조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지만, 경기둔화 속도가 예상보다 빠를 경우 인하 폭이 확대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반면 셧다운 장기화로 재정 지출이 위축되고 소비가 감소할 경우 중장기적으로 경기침체 리스크가 커질 수 있어, 연준이 향후 금리 조정 속도를 조심스럽게 조절할 것으로 보인다.


암호화폐 시장 흐름

글로벌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전주 대비 6.5% 감소한 3.87조 달러를 기록했다. 비트코인 시가총액은 2.29조 달러로 감소했지만, 상대적으로 방어적인 움직임을 보이며 도미넌스는 59.5%까지 상승했다. 반면 이더리움은 도미넌스가 12.9%로 하락하며 비트코인 대비 약세를 보였다. 테더 도미넌스는 4.67%로 상승하며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강화된 것을 보여주었다. 테더 비중 상승은 현금화 수요가 커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단기적으로 비트코인 가격 회복을 제한할 요인이 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시장은 단기 기술적 반등 국면에 있지만 주요 지지선 이탈 가능성이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며, 투자심리는 여전히 보수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ETF 수급 동향

미국 상장 비트코인 현물 ETF는 총 1,523,000 BTC를 보유 중이며, 이는 전체 발행량의 약 7.25% 수준에 해당한다. 주간 기준 약 26억 달러 규모의 순유입이 발생하며 기관 중심의 자금 유입세가 강화되었다. 블랙록의 IBIT와 피델리티의 FBTC가 주요 유입을 주도하고 있으며, 구조적 수요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이더리움 ETF는 전주 대비 약 5.46억 달러 규모의 순유입이 발생하며 직전 주 유출세를 일부 만회했다. 피델리티와 블랙록을 중심으로 자금이 재유입되고 있으며, 비트코인 대비 상대적 회복 속도는 느리지만 점진적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애널리스트 시황

비트코인은 트럼프의 관세 발언 여파로 급락했으나, 이후 기술적 반등이 진행 중이다. 하락 구간이 CME 거래소 휴장 중 발생해 하방 갭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추가 리테스트 가능성이 남아 있다. 현재 단기 핵심 지지 구간은 10만 7천 달러로, 해당 구간이 유지된다면 기술적 반등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다만 장기 상승 전환을 위해서는 일봉 이동평균선(30일선) 위로 재안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장 전반의 반등세는 단기 기술적 성격이 강하며, 아직은 매수세보다 관망세가 우세한 상황이다.


종합 결론

미국 셧다운 장기화와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겹치면서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이 극대화된 상황이다. 비트코인은 급락 이후 단기 반등에 성공했지만, CME 갭이 남아 있어 추가 조정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ETF 자금 유입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점은 중장기적으로 긍정적이지만, 당분간은 정책 리스크와 통계 공백에 따른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단기적으로는 보수적 접근이 필요하며, 일봉 이동평균선 재안착 또는 CME 갭 해소 이후 비중 확대를 검토하는 전략이 합리적이다.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Bitcoin 로고 Bitcoin (BTC)
155,610,863 (-1.31%)
Ethereum 로고 Ethereum (ETH)
5,623,652 (-0.86%)
Tether USDt 로고 Tether USDt (USDT)
1,423 (-0.02%)
BNB 로고 BNB (BNB)
1,649,433 (-1.17%)
XRP 로고 XRP (XRP)
3,389 (-2.39%)
Solana 로고 Solana (SOL)
270,019 (-3.71%)
USDC 로고 USDC (USDC)
1,422 (0.00%)
TRON 로고 TRON (TRX)
455.5 (+2.26%)
Dogecoin 로고 Dogecoin (DOGE)
273.2 (-3.33%)
Cardano 로고 Cardano (ADA)
939.3 (-2.16%)
왼쪽
2025 10월  16(금)
오른쪽
진행기간 2025.10.16 (목) ~ 2025.10.17 (금)

41명 참여

정답 85%

오답 15%

진행기간 2025.10.15 (수) ~ 2025.10.16 (목)

44명 참여

정답 61%

오답 39%

진행기간 2025.10.14 (화) ~ 2025.10.15 (수)

47명 참여

정답 83%

오답 17%

진행기간 2025.10.13 (월) ~ 2025.10.14 (화)

47명 참여

정답 62%

오답 38%

기간 2024.03.20(수) ~ 2024.04.0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 에어드랍
신청인원

126 / 100

이더리움(ETH) 일반 마감

[Episode 11] 코인이지(CoinEasy) 에어드랍

기간 2024.02.27(화) ~ 2024.03.1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총 150 USDT 지급
신청인원

59 / 50

기간 2023.10.11(수) ~ 2023.10.25(수)
보상내역 $10상당의 $AGT
신청인원

172 / 150

기간 2023.09.01(금) ~ 2023.10.01(일)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만원 상당의 상품권 에어드랍 (50명)
신청인원

26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