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CME 비트코인 선물 미결제약정 규모 50억 달러 外

작성자 이미지
하이레 기자
45
62

[CME 비트코인 선물 미결제약정 규모 $50억]

코인글래스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비트코인 선물 미결제약정(OI) 규모가 50억달러로 1위에 랭크돼 있다. 바이낸스는 40억달러로 2위다.

[외신 "TIA 강세...스테이킹 내러티브"]

코인데스크는 "셀레스티아(TIA)가 스테이킹 내러티브로 힘을 얻어 강세를 보이고 있다. 네이티브 플랫폼에 TIA 스테이킹 시 수수료 제외 15~17%의 수익률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수요에 힘입어 지난 24시간 동안 역대 가장 많은 약 8억 달러 거래량이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향후 셀레스티아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의 스테이커들에게도 에어드랍 이벤트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례로 이번주 초 디멘션은 TIA 스테이커를 포함한 여러 시장 참여자들에게 DYM 토큰을 에어드랍했다"고 설명했다. TIA는 코인게코 기준 20.9% 오른 $16.31에 거래되고 있다.

[1/9 비트코인캣츠 제네시스 NFT 민팅 시작]

비트코인 게임 프로젝트 비트코인캣츠(1CAT) 제네시스 NFT가 비트코인 오디널스 프로토콜에서 1월 9일 17시 발행될 예정이다. 총 발행 수는 1만개이며 이중 8500개가 개당 0.3 ETH(~0.015 BTC)에 판매된다. ETH, 1CAT, BAKE로 구매 가능하다. 앞서 비트코인캣츠는 DWF랩스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RSS3 메인넷 유틸리티 토큰 전환 관련 투표 진행 중]

스냅샷에 따르면 탈중앙화 정보 배포 플랫폼 RSS3(RSS3) 네이티브 토큰을 곧 출시될 RSS3 메인넷의 유틸리티 토큰으로전환할지 여부를 두고 투표가 진행 중이다. RSS3 테스트넷은 약 2년 동안 운영돼 왔으며, 메인넷 론칭을 앞두고 RSS3가 메인넷 유틸리티 토큰으로 채택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안건 발의자는 설명했다. 유틸리티 토큰으로서 RSS3는 메인넷 데이터 서브 레이어, 가치 서브 레이어와 상호 작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해당 안건 투표 참여자 중 무작위로 100명에게 제네시스 RSS3 아바타 NFT가 지급될 예정이다. 투표는 1월 6일 오후 1시 12분 종료된다.

[P2E 게임 픽셀 "PIXEL 토큰 곧 출시"]

로닌(RON) 기반 P2E 게임 픽셀(Pixels)이 "PIXEL 토큰이 곧 출시된다. 플레이 투 에어드랍 2.0(Play-to-Airdrop 2.0)이 이제 시작된다. 픽셀 일일 활성 지갑 수는 10만 개가 넘는다. PIXEL은 게임 내 프리미엄 화폐로, 길드 가입, 펫 민팅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고 전했다. PIXEL TGE(토큰발행)은 1~2주 내 진행될 전망이며, 플레이 투 에어드랍 시즌1 보상은 TGE 이전 지급될 예정이다.

[분석 "코인베이스서 BTC 매수세 집중"]

비트코인 온체인 애널리스트 마튠(maartunn)이 크립토퀀트 온체인 데이터를 인용 ”연초부터 코인베이스 프리미엄(바이낸스 BTC/USDT-코인베이스 BTC/USD 스프레드)이 최대 50달러를 넘어서며 코인베이스에서 강력한 매수세가 형성되고 있다. 마이크로스트레티지가 비트코인을 추가로 매수하는 것인지, 현물 ETF 승인 기대감에 수요가 몰리는 것인지 아직 불확실하다. 현물 ETF 승인 여부에 따라 이유가 명확히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솔라나 설립자 "L1에 주력...L2 개발도 막진 않아"]

아나톨리 야코벤코 솔라나(SOL) 공동 설립자가 X를 통해 "솔라나는 개발자들이 레이어2 솔루션을 개발하는 것을 막지 않을 것이다. 다만 우리는 레이어1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메커니즘캐피털 설립자 "BTC 현물 ETF에 $7억 시드 자금 유입 예상"]

암호화폐 트레이딩 업체 메커니즘캐피털 공동 설립자 앤드류 캉(Andrew Kang)이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BTC 현물 ETF 출시 이후 BTC 가격 하방 리스크는 10%로 줄어들고 상승 가능성은 향후 12개월 간 100%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현물 ETF 승인으로 BTC 매수에 필요한 시드 자금이 5억~7억달러 유입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상위 150개 비거래소 ETH 월렛, 5625만 ETH 보유...역대 최다]

암호화폐 온체인 분석 플랫폼 샌티멘트(Santiment)가 X를 통해 "상위 150개 ETH 셀프 커스터디(비거래소) 월렛의 ETH 보유량이 5625만개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상위 150개 거래소 월렛 보유량은 946만개로 2018년 6월 이래 가장 적다"고 전했다.

[데이터 "이더리움, ETH 언스테이킹 요청 쇄도...대기열 최대 6일"]

우블록체인이 비콘차닷인 데이터를 인용해 “ 5일(한국시간) 이더리움(ETH) 네트워크 상의 밸러데이터 중 언스테이킹(밸리데이터 해제)을 요청한 곳이 16,000 개 이상으로 급증했다. 이에 ETH 언스테이킹 대기열은 최대 6일까지 늘어났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우블록체인 측은 "파산한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셀시우스(CEL)가 채권자들에게 자산을 분배하기 위한 ETH 언스테이킹 작업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스트라티스 "스트라티스EVM 전환 시작"]

레이어1 블록체인 플랫폼 스트라티스(STRAX)가 X를 통해 "스트라티스EVM으로의 전환이 시작됐다. STRAX 보유자는 1:10 비율로 STRAT를 받게 된다"고 공지했다. 앞서 스트라티스 커뮤니티는 스트라티스EVM 전환 관련 투표를 통과시킨 바 있으며, 이에 따라 STRAX 토큰을 STRAT으로 스왑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바이낸스 "오늘 BUSD→FDUSD 전환 진행"]

바이낸스가 X를 통해 "오늘 오후 BUSD를 1대1 비율로 FDUSD로 전환한다. 이는 BUSD 지원 종료의 일환"이라고 전했다. 앞서 바이낸스는 2024년 BUSD 지원을 중단한다며 바이낸스 사용자의 BUSD 잔액을 FDUSD로 전환해주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더리움 레이어2 프로토콜 TVL, 사상 최대]

비인크립토가 L2비트(L2Beat) 데이터를 인용, 지난 3일(현지시간) 기준 이더리움 레이어2 프로토콜의 총 락업예치금(TVL)이 작년 동기 대비 333% 증가한 211억 6000만 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아비트럼 TVL이 100억 달러로 1위를, 옵티미즘 TVL이 58억 달러로 2위를 차지했다.

[전날 아비트럼 기반 DEX 거래량, 이더리움 제치고 1위]

디파이라마에 따르면, 전날 레이어2 네트워크 아비트럼(ARB)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DEX)에서 발생한 일일 거래량이 18억 달러를 돌파해 이더리움(14억4400만 달러), 솔라나(6억800만 달러)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솔라나 기반 인스크립션 솔매시, 거버넌스 토큰 출시]

솔라나 기반 인스크립션 프로토콜 솔매시(SolMash)가 X를 통해 "거버넌스 토큰 MASH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출시는 스테이킹, 화이트리스트, 어니스트풀 등 3가지 라운드를 통해 진행된다. 이중 화이트리스트, 어니스트풀 라운드를 통해 총 47만달러를 모금하는 게 목표다. MASH 총 공급량은 1억개이며 이중 57%는 퍼블릭 세일에 할당됐다.

['1000억 가상자산 해킹' 北 소행 가능성 대두되자…국정원 나섰다]

뉴스1에 따르면 클레이튼 생태계의 메인 브리지로 쓰이는 오르빗 브리지가 익스플로잇(취약점 공격)으로 인해 약 8150만달러(1060억원)에 달하는 암호화폐를 탈취당한 가운데 해당 공격의 주체가 북한의 해킹 그룹 '라자루스'라는 제보가 잇따르자 국정원이 나섰다. 국정원은 "사고 원인 및 공격 주체에 대해 조사 중"이라며 "현재까지 북한과의 연관성 여부는 확인된 바 없으나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유관기관들과 협업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분석 "BTC CME 선물 미결제약정 급증, 단기 조정 가능성 시사"]

크립토퀀트 온체인 애널리스트 사치(sachi)가 “CME 선물 미결제약정이 과도하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현재 시장이 과열됐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이는 2021년 10월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던 시기에도 이와 유사한 패턴이 발생했다. BTC 가격과 CME 선물 미결제약정 간 다이버전스 현상이 뚜렷할 때 가격 조정 가능성이 높다. 결국 BTC 가격이 상승하는데도 CME 미결제약정이 추가로 늘어나지 않는다면 조정 가능성이 확대된다. 현물 ETF 승인 여부에 따른 가격 변동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셀시우스 추정 주소, 코인베이스에 1만 ETH 입금]

온체인 분석가 엠버CN이 X(구 트위터)를 통해 "셀시우스(CEL) 추정 주소가 9시간 전 코인베이스에 10,000 ETH(약 2,240만 달러 상당)를 입금했다. 해당 주소는 11월 13일 이후 2개월 동안 총 185,560ETH(4.1억 달러)를 언스테이킹한 후 팔콘엑스, 코인베이스, OKX에 입금했다. 현재 셀시우스는 55.6만 ETH(12.4억달러)를 스테이킹 중"이라고 전했다. 앞서 셀시우스는 구조조정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보유 중인 ETH를 수일에 걸쳐 언스테이킹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4兆 KOK 토큰 사기 논란 미디움, 새 코인 ‘리고’ 판매한다]

조선비즈에 따르면 4조원대에 이르는 가상자산 KOK(콕) 토큰 사기 혐의로 검·경 수사를 받는 미디움이 신규 가상자산 판매를 계획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조선비즈가 입수한 미디움 사내 간담회 녹취 파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4일 미디움 대표와 CFO는 직원 대상 간담회를 열고 미디움 직원의 소속 법인 변경과 새로운 가상자산 판매 계획을 언급했다. 경영진은 싱가포르와 한국에 거점을 둔 블록체인 관련 업체 리고 재단에서 만든 가상자산 리고를 프라이빗 세일(비공개 판매) 방식으로 판매할 것이라 밝혔다.

[ORDI 최초 발행자 "BRC-20, 오디널스 업그레이드 따르기로"]

오디널스(ORDI) 최초 발행자인 도모(Domo)가 X를 통해 "유니샛 및 기타 관계자들과 논의 후 BRC-20이 오디널스 업그레이드를 따르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앞서 그는 유니샛이 제안한 주블리 포크가 BRC-20에 잠재적 불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다며 이를 거부할 것을 BRC-20 커뮤니티에 제안한 바 있다.

[전날 아비트럼 기반 유니스왑 일일 거래량 $11.15억 기록]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 유니스왑(UNI) 개발사 유니스왑랩스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듄애널리틱스에 따르면, 1월 3일(현지시간) 아비트럼(ARB) 기반 유니스왑에서 발생한 일일 거래량이 약 11.15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4일(현지시간) 전했다. 이어 유니스왑랩스는 "아비트럼 네트워크는 유니스왑에서 10억 달러 이상의 일일 거래량이 발생한 첫 번째 레이어2 네트워크"라고 덧붙였다. 한편 5일 오전 9시 기준 아비트럼 기반 DEX에서 발생한 일일 거래량은 약 18.34억 달러로, 전체 블록체인 중 1위를 기록했다. 이더리움(ETH)은 2위로 밀려 약 14.44억 달러의 DEX 거래량을 나타냈다.

[유니샛, 오늘 17시 BRC-20 마켓 서비스 중단...오디널스 업그레이드]

BRC-20 월렛 유니샛(Unisat)이 5일 17시~6일 17시(한국시간) 진행되는 오디널스 주블리 BRC-20 업그레이드를 지원하기 위해 BRC-20 마켓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고 X를 통해 공지했다.

[매트릭스포트 "3일 BTC 급락 전 약세 신호 포착"]

암호화폐 금융 서비스 업체 매트릭스포트가 공식 X를 통해 자사 리서치 총괄 마커스 틸렌(Markus Thielen)의 코인데스크 인터뷰를 인용 "최근 비트코인 시세 급락 전 우리의 트레이딩 모델 중 한 곳에서 지난해 8월 이후 처음으로 비트코인 약세 신호를 포착했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매트릭스포트는 "우리는 4분기 비트코인의 강력한 랠리를 전망했고, 12월 중순 횡보 혹은 가격 조정에 대한 경고도 했었다. 또 2024년 연초 강세 시작을 예상했고 2일까지 비트코인에 낙관적이었지만, 약세 신호 포착과 함께 미국 증시의 추세 전환을 보고 비트코인 약세를 전망했다. 수 차례 지적했듯이 비트코인 선물 시장 내 펀딩비율은 수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고 미결제 약정도 뚜렷하게 증가했다. 이는 차익 실현 물량으로 인한 단기 하락 리스크를 키웠다. 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을 거부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한 주요 논거는 글로벌 비트코인 마켓을 대표하는 충분한 규모의 감시 공유 계약이 부재하다는 점이다"라고 설명했다. 매트릭스포트는 지난 3일(현지시간) 자체 보고서에서 "SEC가 1월 중 신청이 접수된 모든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 승인을 거부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TOKEN2049] “정부가 비트코인을 사는 건 중요하지 않다”…아서 헤이즈, 진짜 승부는 ‘자유로운 개발 환경’

FIFA 컬렉트, 5월 20일부터 EVM 호환 블록체인으로 마이그레이션 진행

댓글

45

추천

62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45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에버조

2024.01.08 04:08:48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eeyclim

2024.01.07 23:51:38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eeyclim

2024.01.07 23:51:29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jbm장미

2024.01.07 20:45:29

좋아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4.01.07 14:43:30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bityou

2024.01.07 10:14:04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에버조

2024.01.07 04:48:21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cryptoworld

2024.01.06 21:00:11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흰토끼를따라가라

2024.01.06 19:05:44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bleu28

2024.01.06 19:01:16

굿굿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