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위즈덤AI, 330억 시드 투자 유치… 'BI 대체할 실전형 AI'로 출범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0
0

위즈덤AI가 2,300만 달러 규모의 시드 투자를 유치하고 기업용 AI 통찰 플랫폼 시장에 본격 진입했다. 기존 BI 도구를 대체할 차세대 에이전틱 AI 기술이 주목받는다.

위즈덤AI, 330억 시드 투자 유치… 'BI 대체할 실전형 AI'로 출범 / TokenPost Ai

위즈덤AI(WisdomAI)가 8일(현지시간) 공식 출범과 함께 2,300만 달러(약 330억 원)의 시드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기업용 AI 통찰 플랫폼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했다. 이번 투자에는 코튜 벤처스를 비롯해 매드로나, GTM 캐피털, 앤솔로지 펀드, 유퍼스트 캐피털, 라티튜드 캐피털이 참여했다.

위즈덤AI는 생성형 AI에 기반한 ‘에이전틱 AI(agentic AI)’ 기술을 활용해 기존의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 도구와는 다른 방식으로 기업 데이터를 해석하고 통찰을 제공한다. 이 회사는 자체 기술로 개발한 ‘지식 패브릭(Knowledge Fabric)’을 중심으로, 데이터에 숨겨진 맥락과 연관성을 자동 정제하고 연결하는 체계를 구축했다. 위즈덤AI의 공동 창업자이자 CEO인 소함 마주므다(Soham Mazumdar)는 “AI 에이전트는 조직 내부 전문가들이 구축한 지식 프레임 위에서 학습하며, 단순 데이터 분석을 넘어선 통찰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지식 패브릭은 다양한 데이터 저장소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단순히 데이터를 조회하는 것을 넘어 관련 맥락을 반영해 의미있는 정보로 재구성한다.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도 직관적인 인터페이스가 돋보인다. 사용자는 마케팅 성과 분석 대시보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자연어로 질문을 던지면, AI가 실시간으로 답변을 제공하거나 이상 징후를 감지해 선제적으로 경고를 울리는 방식이다.

특히 위즈덤AI는 생성형 AI의 ‘환각(hallucination)’ 문제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췄다. 생성형 AI는 종종 틀린 정보를 그럴듯하게 작성하는 오류를 범하는데, 위즈덤AI는 응답 생성에 AI를 사용하지 않고 쿼리 작성 과정에만 활용한다. 마주므다 CEO는 “우리는 AI가 데이터를 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쿼리를 자동화하는 도구이길 원한다”며 “결과는 실제 데이터에서 직접 가져오기 때문에 신뢰도가 월등히 높다”고 설명했다.

현재 위즈덤AI는 세 가지 주요 AI 에이전트를 운영 중이다. 지식 큐레이션 에이전트는 회사 특유의 문화와 용어를 학습해 지식 패브릭을 구축하고 업데이트하며, 인스턴트 앤서 에이전트는 기술적 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도 빠르게 데이터를 질의하고 답변을 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 마지막으로 프로액티브 인사이트 에이전트는 배경에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며 트렌드, 이상 징후, 사업 기회를 자동으로 포착한다.

위즈덤AI는 현재 코노코필립스(ConocoPhillips), 시스코(CSCO), 루브릭(Rubrik) 등 대기업 고객들을 확보했으며, 빠르게 기업용 AI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AI 기반 업무 자동화와 통찰 추출이 차세대 기업 경쟁력을 좌우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위즈덤AI의 기술 접근 방식은 ‘실전형 AI’의 표준으로 주목받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0

추천

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