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AI, 공격자 무기가 됐다… 사이버보안 판도 뒤흔든 ‘팔콘 2025’ 경고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크라우드스트라이크는 AI가 사이버공격 정교화에 활용되고 있으며, 방어 측 전략 재정립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공격자는 빠르고 유연해지는 반면 방어자는 구조적 약점을 노출하고 있다고 전했다.

 AI, 공격자 무기가 됐다… 사이버보안 판도 뒤흔든 ‘팔콘 2025’ 경고 / TokenPost.ai

AI, 공격자 무기가 됐다… 사이버보안 판도 뒤흔든 ‘팔콘 2025’ 경고 / TokenPost.ai

인공지능(AI)이 사이버보안 지형에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키면서 공격자는 새로운 무기를 손에 넣었고, 방어자는 점점 더 복잡해진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글로벌 정세의 불안정성과 클라우드 도입 가속화까지 더해지며 AI 사이버보안 리스크는 과거 어느 때보다 심각해졌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WD)의 적대세력 대응 부문 책임자 애덤 메이어스는 최근 열린 ‘팔콘 2025(Fal.Con 2025)’ 컨퍼런스를 통해 AI 도구가 실제 위협 행위자에게 어떤 식으로 활용되고 있는지를 공개했다. 그는 "공격자들이 AI를 이용해 다국어 정보 조작과 허위 콘텐츠 배포에 활용하고 있다"며, AI 기반 영상 생성 기술이 확산될 경우 상황은 더욱 악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AI 기술은 단순한 자동화를 넘어서 공격의 실제 속도와 정교함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는 데 활용되고 있다. 메이어스는 "공격자는 단 한 번만 성공하면 되지만, 우리는 모든 위협을 매번 정확히 막아야 한다"며 AI로 인한 힘의 불균형이 방어자에게 얼마나 불리한지를 강조했다. 한 번의 헛디딤도 치명적 결과를 부르는 구조에서, 공격자의 속도와 규모에 대응할 AI 방어 전략의 시급성이 부각된다.

그러나 방어자의 미래가 암울하지만은 않다는 것이 메이어스의 주장이다. 그는 무술가 브루스 리의 철학인 “물처럼 유연하라”는 말을 인용하며, 공격자처럼 사고하는 유연성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그는 지난 18개월 동안 위협 지형이 이동하는 방식을 예로 들며, "엔드포인트 보안이 강화되자 공격자는 이를 우회해 신원 시스템과 관리되지 않은 디바이스로 옮겨갔다"고 말했다.

이처럼 공격 벡터가 이동하는 가운데, 방어자는 더 높은 ‘방벽’을 쌓는 것보다 ‘가장 약한 연결고리’를 식별해 지능적으로 대처하는 역동성이 요구된다. 메이어스는 “공격자가 더 많은 노력을 들여야 할수록 우리는 더 유리해진다”며 신원 보안 강화와 클라우드 환경 방어체계 고도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발언은 실리콘앵글과 크라우드스트라이크가 공동 주최한 ‘팔콘 2025’ 행사에서 진행된 인터뷰를 통해 공개됐다. 메이어스는 현재 사이버보안의 위협 양상이 AI로 재정의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해 AI를 방어 전략 전반에 걸쳐 ‘규모 있게 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누차 강조했다.

변화의 중심에 있는 AI가 지금은 공격자의 손에 더 유리하게 쥐어졌지만, 방어자가 이를 조직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판세는 역전될 수 있다. 그 힘의 균형을 되찾기 위한 기술적 돌파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달돌달돌

10:43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