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폴리곤, '하임달 v2' 업그레이드 완료... 블록 최종 확정 시간 90초→5초 단축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3
좋아요 비화설화 8

폴리곤이 하임달 v2 업그레이드를 통해 최종 확정 시간을 90초에서 5초로 줄이며 트랜잭션 처리 속도와 확장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올해 10월까지 최대 5,000 TPS 목표와 함께 글로벌 인프라로 도약을 가속하고 있다.

 폴리곤, '하임달 v2' 업그레이드 완료... 블록 최종 확정 시간 90초→5초 단축 / TokenPost Ai

폴리곤, '하임달 v2' 업그레이드 완료... 블록 최종 확정 시간 90초→5초 단축 / TokenPost Ai

폴리곤(PoS)이 네트워크의 핵심 운영 인프라인 하임달(Heimdall) 업그레이드를 통해 대규모 성능 개선에 나섰다. 이번 업그레이드는 테스트넷 ‘아모이(Amoy)’를 통해 적용됐으며, 궁극적으로 트랜잭션 처리 속도 향상과 확장성 확보를 위한 거대한 전략의 일환이다.

하임달 v2는 기존 버전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최신 코스모스SDK(v0.50.13)와 코멧BFT(CometBFT v0.38.17)를 기반으로 성능을 대폭 개선했다. 이로써 블록 생산자 선출, 상태 동기화, 검증자 관리 등 주요 기능에서 더 빠르고 안정적인 합의를 제공하게 됐다. 가장 주목할 점은 블록 처리 ‘최종 확정 시간’이 90초에서 5초로 단축됐다는 것이다. 이는 온체인 데이터 반영 속도를 개선하고,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업그레이드는 PIP-62와 PIP-43, PIP-44 등을 통해 구성됐다. 특히 PIP-62는 이전 하임달 버전에서 v2로의 무중단 마이그레이션을 마쳤고, PIP-43은 트랜잭션 처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코멧BFT 도입을 통해 합의 레이어를 업그레이드했다. PIP-44는 필수 라이브러리 의존성 정리 및 최신화 작업까지 포함돼 전체 플랫폼의 안정성과 보안성까지 보완했다.

폴리곤은 해당 업그레이드를 기반으로 7월까지 초당 트랜잭션 처리횟수(TPS)를 1,00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으며, 올해 10월까지는 ‘애글레이어(AggLayer)’ 통합을 통해 1초 블록 생성, 재조직 없는 즉시 확정, 5,000 TPS를 실현할 예정이다. 궁극적으로 100,000 TPS 달성을 위한 로드맵까지 공개하며 글로벌 결제 인프라로의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번 업그레이드는 단순한 기술 적용을 넘어, 폴리곤이 미래 확장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했다는 신호탄이다. 하임달 v2가 메인넷에도 무리 없이 적용된다면, 폴리곤은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하는 레이어2 솔루션 중 가장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3

추천

8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6.28 15:31:3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바다거북이

2025.06.28 14:08:21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릴라당

2025.06.28 09:48:08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