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충전만 해도 보상이?” … Piggycell,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Web3 인프라 혁신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NFT 논란을 넘어 Piggycell은 실물 충전 인프라를 블록체인과 연결하며 국내 대표 DePIN 프로젝트로 자리잡았다. 이미 14,000개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과 400만 명의 사용자를 확보했고, KT·하이트진로 등 대기업이 참여하며 신뢰성을 입증했다. 일상적인 충전만으로도 보상을 받는 구조는 Web3 대중화를 이끄는 새로운 온보딩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충전만 해도 보상이?” … Piggycell,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Web3 인프라 혁신

“충전만 해도 보상이?” … Piggycell,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Web3 인프라 혁신

NFT 논란 넘어선 실물 기반 DePIN, 하이트진로·KT도 선택한 진짜 Web3

“그냥 충전했을 뿐인데, 포인트가 쌓인다?”

이제 Web3는 더 이상 개발자나 코인 투자자만의 영역이 아니다. 충전만 해도 보상을 받고, 특정 기기를 소유하면 수익을 공유받는 새로운 블록체인 생태계가 현실이 되고 있다. 그 중심에 바로 한국판 DePIN 프로젝트, Piggycell(충전돼지)이 있다.

Piggycell은 누구나 자주 사용하는 스마트폰 충전 서비스를 실물 인프라로 구축하고, 이를 블록체인에 연결한 혁신적인 모델이다. 전국에 이미 14,000여 개의 충전 스테이션과 10만 개 이상의 배터리를 운영하며 400만 명의 유료 사용자를 확보했고, 시장 점유율은 95%에 달한다. 즉, 이미 수많은 한국인이 ‘모르는 사이에’ Web3를 경험하고 있는 셈이다.


실물 기반 DePIN으로 돌아온 Piggycell

Piggycell의 시작은 순탄치 않았다. 2021년, 전신 프로젝트 The Recharge는 NFT 판매 논란에 휘말리며 신뢰 위기를 겪었다. 그러나 팀은 실패를 인정하고 “실물 기반 Web3만이 살아남는다”는 교훈 아래 완전히 다른 모델로 탈바꿈했다. NFT 트렌드에 휘둘리기보다, 실체 있는 인프라를 블록체인에 연결하고 사용자에게 실질적 보상을 제공하는 ‘진짜 Web3’로 방향을 틀었다.

이후 Piggycell은 ‘Charge-to-Earn’ 모델을 도입해 충전만 해도 즉시 보상을 제공하고, ‘Dominate-to-Earn’ 모델을 통해 NFT로 충전기를 소유한 참여자가 수익을 배분받는 구조를 설계했다. 이 모든 흐름은 100% 온체인에 기록되어 누구나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대기업도 주목한 신뢰 모델

이러한 구조는 Web2 기업의 눈도 사로잡았다. 하이트진로는 직접 투자에 나섰고, KT는 공중전화 부스를 Piggycell 스테이션으로 전환하는 등 운영 파트너로 참여했다. 단순한 제휴가 아니라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인프라”라는 평가 속에 Web2 대기업들이 Piggycell을 선택한 것이다.

특히 KT의 참여는 온보딩 측면에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공공시설에 설치된 Piggycell 충전기는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사용자가 블록체인을 전혀 몰라도 자연스럽게 Web3 생태계에 참여하게 만든다.

수치로 입증된 가능성

Piggycell은 올해 오픈 베타 테스트에서 단 2주 만에 9,423,761건의 온체인 기록을 남기며 실행력을 입증했다. 이 수치는 단순히 ‘얼마나 많은 사람이 썼는가’가 아니라, 실물 인프라 기반 활동이 실제 블록체인 상에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강력한 신호다. 글로벌 벤처캐피털 Animoca Brands, Elevate Ventures 등이 투자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대중이 Web3에 참여하는 법

Piggycell의 모델은 Web3의 ‘대중화’를 실현하는 드문 사례다. 참여자가 복잡한 지갑 연결이나 토큰 스왑 없이 일상적인 행위—스마트폰 충전—를 통해 보상을 받고, Web3 인프라에 기여할 수 있다. 이처럼 자연스러운 온보딩 구조는 기존 블록체인 프로젝트와는 차별화된 강점이다.

Piggycell 관계자는 “누구나 쓰는 충전 서비스를 통해, 누구나 보상을 받고, 누구나 Web3에 기여할 수 있는 구조가 바로 Piggycell의 철학”이라며 “앞으로도 더 많은 사용자가 Web3를 어렵지 않게 경험할 수 있도록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충전으로 시작하는 Web3”

NFT 논란을 넘어, 실물 인프라에 집중하며 신뢰를 회복한 Piggycell. 이제는 국내 대표 DePIN 프로젝트로 자리잡으며 대기업의 신뢰를 얻고, 대중에게는 가장 쉽고 실용적인 Web3 진입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Web3가 여전히 낯설게 느껴진다면, 오늘 한 번 Piggycell 스테이션에 휴대폰을 꽂아보자.
그 순간부터, 당신도 Web3의 일원이 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