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리비아가 암호화폐 경제 활성화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탈중앙화 정책의 선두주자로 떠오른 엘살바도르와 손잡고, 블록체인 기술 및 디지털 자산 규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것이다.
볼리비아 중앙은행과 엘살바도르 디지털자산국(CNAD)은 지난 7월 30일, 디지털 자산 규제 및 블록체인 기술 개발 분야에 대한 협력을 명시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정은 양국이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분석, 규제 체계 구축, 리스크 관리 등 핵심 부문에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엘살바도르는 나이브 부켈레(Nayib Bukele) 대통령 주도하에 비트코인(BTC) 법정화폐 채택과 보유량 확대 전략으로 글로벌 주목을 받아왔다. 국제통화기금(IMF)을 비롯한 국제 기관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친(親)크립토 기조를 유지하며, 테더(Tether)와 같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를 자국으로 유치한 바 있다.
볼리비아 역시 이 같은 모델을 벤치마킹해, 자체 규제 프레임워크 구축과 외국인 투자 유치에 나설 계획이다. 이 같은 전략은 2024년 6월 발표된 ‘결의안 082/2024’에 기반한다. 해당 법령은 디지털 자산 거래의 합법화와 암호화폐를 활용한 전자결제를 허용하며 볼리비아의 시장 개방을 공식화했다.
이 규제 전환 이후, 볼리비아의 암호화폐 결제 규모는 1년 간 약 630% 급증해 2024년 6월의 약 650억 원(4,650만 달러)에서 2025년 6월 약 4,086억 원(2억 9,400만 달러) 수준으로 뛰어올랐다. 이에 따라 볼리비아 정부는 디지털 자산의 국가경제 통합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특히, 외환 부족을 해결하고 연료 보조금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영 석유회사 YPFB는 연료 수입 결제에 암호화폐 사용을 승인받기도 했다.
또한, 볼리비아 당국은 크로스보더(국경 간) 거래에서 디지털 자산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엘살바도르의 조기 도입 경험을 자국 정책 설계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 협력이 안정적이고 철저히 감독되는 암호화폐 생태계 구축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협력은 단순한 기술 이전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남미 국가 간 디지털 경제 연대 강화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으며, 암호화폐를 통한 경제 주권 회복과 혁신을 모색하는 흐름에 가속도를 붙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