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ys
  • Hours
  • Mins
  • Secs

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거래소 간 경계가 무너진다: 글로벌-로컬 인프라 연동의 시대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2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블록핀이 국내 거래소 고팍스와 업비트 싱가포르와의 기술적 연동을 완료하면서, 국내외 거래소 간 자산 송금 장벽이 사실상 사라졌다. 기존의 인증 절차와 송금 한도가 제거되며, 사용자들은 보다 직관적이고 간편한 방식으로 글로벌 플랫폼 간 자산 이전이 가능해졌다.

 거래소 간 경계가 무너진다: 글로벌-로컬 인프라 연동의 시대

거래소 간 경계가 무너진다: 글로벌-로컬 인프라 연동의 시대

암호화폐 산업에서 ‘글로벌 거래소’와 ‘국내 거래소’는 오랫동안 분리된 생태계로 인식돼 왔다. 규제 체계, 유동성 구조, 송금 프로세스, 사용자 인증 등에서 뚜렷한 장벽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 경계가 무너지기 시작했다. 그 중심에는 글로벌 거래소와 로컬 거래소 간의 직접 연동이라는 변화가 있다.

단순 입출금이 아닌 ‘인프라 연결’

최근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BlockFin(블록핀)이 국내 거래소 고팍스(GOPAX) 및 한국거래소의 해외 법인인 업비트 싱가포르(Upbit SG)와의 연동을 공식 완료하면서, 유저들은 각 플랫폼 간 자산을 직접 송금할 수 있는 기술적 인프라를 확보하게 됐다. 이는 단순한 지갑 주소 전송을 넘어, VASP 규제 체계 내에서 인증된 사용자 간 실명 거래가 가능한 구조로 전환된 것이다.

이러한 연동은 CODE, VerifyVASP 등 트래블룰(Travel Rule) 기반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사용자는 별도 인증 없이도 자산 이전이 가능하다. 특히, 기존에 존재하던 100만 원 송금 한도가 제거되면서, 글로벌 거래소와의 송금 장벽은 실질적으로 사라지게 됐다.

사용자 중심의 패러다임 전환

사용자 입장에서 가장 큰 변화는 "송금 = 입금"이라는 직관적인 사용성이다. 이전에는 글로벌 거래소 입금 시 별도 송금인 정보, 메모, 한도 확인, 인증 절차 등이 필요했지만, 이제는 ‘인증된 계정 간 연결’을 통해 그 절차가 획기적으로 줄어들었다. 이는 특히 암호화폐 시장에 익숙하지 않은 신규 유저들에게 심리적 장벽을 낮추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블록핀은 현물 및 선물 거래에 특화된 차세대 암호화폐 거래소로, 400개가 넘는 USDT-M 선물, 코인마진 기반 파생상품(Coin-M) 페어가 있으며, 다중 카피트레이딩 지원, K-Line 기반 실시간 오더 관리 UI, 모바일-웹 완전 대응형 구조 등을 통해, ETF 기반 투자 유저들의 거래 환경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2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엠마코스모스

13:34

등급

디스나

10:14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엠마코스모스

2025.09.08 13:34:0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디스나

2025.09.08 10:15:01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