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5위 가상자산 거래소 고팍스의 최대주주 변경 심사가 2년여 만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14일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최근 고팍스의 임원 변경 신고에 대한 심사를 재개했으며 업계에서는 이르면 연말 수리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관련 심사는 세계 최대 거래소 바이낸스가 2023년 2월 고팍스 지분 67%를 인수하고 같은 해 3월 임원 등재를 위한 '임원 변경 신고서'를 FIU에 제출하면서 시작됐다.
하지만 같은 해 각종 규제 리스크에 휘말리면서 국내 금융당국의 승인 절차가 장기간 지연됐다.
바이낸스는 2023년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불법 서비스 제공 및 고객 자금 사용 혐의로 피소됐고 같은 해 11월 법무부·재무부와의 합의로 자금세탁방지(AML) 위반에 대해 43억 달러의 벌금을 납부했다.
당국은 이러한 사건을 이유로 바이낸스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에 신중한 태도를 보여 왔으나 올해 5월 SEC가 바이낸스 관련 소송을 종결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금융 당국은 미국 내 규제 리스크가 해소됐다고 판단하고 고팍스 임원 변경 신고를 긍정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금융권에서는 이르면 연말께 FIU가 고팍스 임원 변경 신고를 수리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뉴시스에 "임원 변경은 단순 신고 사항이지만 그간 금융당국 기조에 따라 금융회사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와 동일한 수준으로 이뤄져 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 당국의 바이낸스 관련 소송이 모두 취소되면서 고팍스의 대주주 리스크도 사라졌다"며 "올해 안에 임원 변경 신고가 수리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고팍스는 2022년 제휴사 제네시스 트레이딩의 파산으로 촉발된 고파이(GOFi) 예치금 미상환 사태 이후 바이낸스의 산업회복기금 지원을 통해 피해자 보상과 경영 정상화를 추진해왔다. 바이낸스는 이미 약 7000만 달러 규모의 피해 보상을 완료했으며 FIU 승인이 이뤄지는 대로 잔여 금액 지급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을 밝혀왔다.
지난 9월 한국을 방문한 바이낸스 CEO 리차드 텅 역시 고팍스 문제는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지만 관련 규제 당국의 승인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는 "투자에는 항상 규제적 확실성이 전제돼야 한다"면서 "이러한 조건들이 충족돼야 한국에서 투자를 확대하고 고팍스를 기반으로 더 많은 국내 사례를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고팍스는 전북은행과의 실명계좌 계약을 유지하며 원화 입출금 서비스를 이어가고 있으며 금융당국이 연내 승인 결정을 내릴 경우 실명계좌 기반과 바이낸스의 자금 지원을 바탕으로 경영 정상화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