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케빈 오리어리, 이더리움($ETH) '1,000달러 수수료' 비판…커뮤니티 '왜곡된 주장' 반발

프로필
서도윤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3

사업가 케빈 오리어리가 이더리움 확장성 한계를 지적하며 거래 수수료가 1,000달러에 달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더리움 커뮤니티는 과장된 해석이라며 반박에 나섰다.

 케빈 오리어리, 이더리움($ETH) '1,000달러 수수료' 비판…커뮤니티 '왜곡된 주장' 반발 / TokenPost.ai

케빈 오리어리, 이더리움($ETH) '1,000달러 수수료' 비판…커뮤니티 '왜곡된 주장' 반발 / TokenPost.ai

캐나다 출신 사업가이자 ‘샤크탱크’ 프로그램으로 유명한 케빈 오리어리(Kevin O'Leary)가 이더리움(ETH) 네트워크의 성능 한계를 공개적으로 지적하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최근 소셜미디어를 통해 “온체인 채택이 본격화되면서 이더리움의 균열이 드러나고 있다”며, 거래 수수료가 어떤 시점에는 1,000달러(약 139만 원)를 넘기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오리어리는 이 현상을 “1차선 고속도로에서 1,000달러짜리 통행료를 낸 셈”이라고 비유하며,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확장성 부족을 꼬집었다. 특히 그는 “10년 넘게 블록체인을 논의해왔지만 이제 와서야 진짜 문제들이 드러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 같은 발언에 대해 이더리움 커뮤니티는 강력히 반발했다. 실제 당시 단순한 토큰 스왑에 필요한 가스 요금은 22달러(약 3만 580원) 수준에 불과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프로젝트 내부 사정에 정통한 일부 개발자들은 오리어리의 설명을 “심각한 과장이자 맥락에서 벗어난 해석”이라며 일축했다. 특히 이더리움 커뮤니티 멤버 아드리아노 페리아(Adriano Feria)는 “마치 비행기의 바퀴가 작다고 비판하는 것과 같다. 맞는 말이긴 하지만 핵심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페리아는 더 나아가 이더리움이 단순한 거래 처리를 위한 플랫폼이 아니라, 보안, 중립성, 감사를 추구하는 온체인 경제의 최종 결제 레이어임을 강조했다. 그는 오리어리의 시각이 해당 네트워크의 근본 철학과 목적을 이해하지 못한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최근 오리어리는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에만 집중하겠다고 밝히며 알트코인을 공식적으로 거부한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가상자산 시장에서 이 두 코인이 전체 노출의 90%를 차지한다”고 주장하며, 일부 프로젝트들에 대한 회의적인 시선을 드러냈다.

이번 논란은 이더리움의 확장성과 관련된 사용자 경험 한계가 여전히 시장 내 주요 이슈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오리어리의 비판이 단기적인 혼잡 상황에 지나치게 편중된 해석일 수 있다며, 블록체인 인프라가 장기적으로 어떻게 진화해 나가는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3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