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C, $5억 자금조달 추진...BTC 매집 활용
뉴욕증권거래소 상장 이커머스 기업 DDC엔터프라이즈가 주주 서한을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5억 달러 규모의 자금조달 신고서(F-3)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DDC는 이 자금을 활용해 올해 말까지 보유 BTC 물량을 1만개까지 늘리고 3년 내 비트코인 비축 기업 3위 안에 들겠다고 설명했다.
나스닥 상장사 실스크, $3000만 암호화폐 펀드 조성
나스닥에 상장된 사이버보안 기업 실스크(티커 LAES)가 3000만달러 규모 암호화폐 펀드를 조성한다고 발표했다. 이 펀드는 BTC, ETH, HBAR 및 실스크 관련 토큰 QAIT, WeCan에 투자한다.
기관 ETH 전략 보유량 $70억 돌파
스트래티직 ETH 리저브에 따르면 기관들의 ETH 전략 보유량이 70억달러(187만 ETH)를 돌파했다. 전체 공급량의 1.55% 규모다.
서틱 "올 상반기 스테이블코인 결제량 $2500억 돌파"
블록체인 보안업체 서틱이 올 상반기 Skynet 스테이블코인 종합 보고서를 통해 "이 기간 스테이블코인 공급량이 2500억 달러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해당 기간 중 월간 결제 규모도 1.4조 달러로 전년 대비 43% 증가했다. 보고서는 "스테이블코인 산업의 핵심 리스크는 과거 스마트 컨트랙트였으나 이제는 중앙화 플랫폼으로 이동하고 있다. 키 유출 및 운영상의 실수 등이 대표적이다. 아울러 실물자산(RWA) 기반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올해 안에 시장 점유율이 8~10%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원화 스테이블코인 등록제 아닌 인가제 유력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인 자격을 등록제가 아닌 인가제로 관리하는 방안이 유력하다고 파이낸셜뉴스가 전했다. 안도걸 의원실 원화 스테이블코인 TF에서 함께 활동하고 있는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3일 ‘스테이블코인의 제도권 편입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는 자격요건을 갖춘 주체에 대해서만 발행을 허용하되, 인가방식으로 발행인 자격을 부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FTX 중·러 채권자 상환 길 열리나...논의 중
FTX 채권자로 추정되는 X 이용자(@historian_ftx)가 FTX 중국, 러시아 채권자들이 자금을 청구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수 있다고 전했다. 그는 "23일(한국시간) 진행된 FTX 법원 심리에서 FTX 중국, 러시아 채권자들이 다른 국가로 청구권을 옮겨 상환 받는 옵션이 논의됐다"고 설명했다.
미 시애틀 검찰, $710만 암호화폐 범죄수익 몰수 추진
미국 시애틀 연방 검찰이 710만 달러 상당 암호화폐 범죄 수익에 대해 몰수 절차에 돌입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이 자금은 지난해 12월 국토안보부가 가짜 석유 및 가스 투자 사기 사건에서 압수한 것이다.
영국 중앙은행, CBDC 도입 계획 재검토
영국 중앙은행(BOE)이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DBDC) 도입 계획을 다시 검토하고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전 세계적으로 CBDC를 지지하는 여론이 줄고 있고, 영국의 CBDC 개발 상황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처져 있다는 이유에서다.
포세이돈 설립자 “AI 확장 과정서 블록체인은 큰 강점”
스토리 기반 AI 데이터 인프라 프로젝트 포세이돈(Poseidon)의 이승윤 설립자(SY Lee)가 블룸버그 테크 라이브에 출연해 “AI는 물리적 세계로 나가고 있다. 이 과정에 블록체인을 활용하면 위변조 불가능한 데이터 기록과 보상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타이코, 암호화폐 데이터 플랫폼 듄과 파트너십...온체인 데이터 통합
암호화폐 데이터 플랫폼 듄(Dune Analytics)이 공식 X를 통해 이더리움 레이어2 타이코(TAIKO) 메인넷의 온체인 데이터 통합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사용자 및 개발자는 타이코 메인넷 내 다양한 데이터를 듄 플랫폼에서 확인 가능하다.
3년 이상 휴면 고래, $12.6억 BTC 외부 이체
3년 이상 휴면 상태였던 3개 고래 주소(동일 고래로 추정)가 최근 1만606 BTC(12.6억 달러)를 외부 주소로 이체했다고 룩온체인이 전했다. 해당 주소들은 모두 2020년 12월 13일 BTC를 수령했으며, 당시 BTC 가격은 1만8807 달러였다.
PUMP 프라이빗 세일 투자자 대다수 '매도 또는 이전'
펌프닷펀(PUMP)이 프라이빗 세일가인 0.004 달러를 하회한 가운데, 프라이빗 세일 투자자 중 12.7%만이 물량을 여전히 보유 중이다. 나머지는 매도했거나 다른 주소로 이전했다.
바이낸스, PENGU/USDC 등 3종 무기한 선물 페어 상장
바이낸스가 7월 23일 16시 30분(이하 한국시간) PENGU/USDC, 20시 30분 CVX/USDT, 20시 45분 SLP/USDT 무기한 선물을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세 페어 모두 최대 75배 레버리지를 지원한다.
바이낸스 알파, COA 추가
바이낸스 알파가 7월 23일 18시 COA를 추가한다고 공지했다. 바이낸스 알파는 바이낸스 월렛 내 온체인 거래 플랫폼으로 초기 단계 코인을 집중 상장하고 있다.
업비트, APT 입출금 일시 중단
업비트가 7월 23일 18시 앱토스(APT)의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빗썸, APT 입출금 일시 중단
빗썸이 오는 7월 23일 18시 앱토스(APT)의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빗썸, USDT 이더리움 네트워크 지원
빗썸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7월 23일 15시부터 테더(USDT)의 이더리움(ETH) 네트워크를 지원한다고 공지했다.
빗썸, CORE 입출금 일시 중단
빗썸이 7월 31일 10시 코어(CORE)의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업비트, 7/31 서버 점검
업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이달 31일 0시부터 1시까지 원화 마켓 호가 단위 변경을 위한 서버 점검을 실시한다고 공지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50.33% / 숏 49.67%, 바이낸스: 롱 51.2% / 숏 48.8%, 바이비트: 롱 49.3% / 숏 50.7%, 게이트아이오: 롱 48.71% / 숏 51.29%
분석 "BTC, 올해 $20만 도달 가능성은 희박"
비트코인이 올해 안에 20만 달러에 도달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글래스노드 수석 애널리스트 제임스 체크가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분석 "XRP, 상승 초기 단계...42일 내 1만8000원 간다"
XRP가 향후 42일 이내 13달러(약 1만8000원)에 도달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토니 세베리노는 7년 삼각수렴 및 불 플래그 패턴 분석을 기반으로 이 같은 전망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