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오후 뉴스브리핑] 미 SEC, 비트와이즈 암호화폐 ETF 전환 승인 돌연 정지 外

프로필
강수빈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와이즈의 암호화폐 인덱스 펀드 ETF 전환 승인을 번복하고 위원회 수준에서 검토하기로 했다. 승인 중단 결정은 SEC 비서보 셰리 헤이우드에 의해 내려졌다.

 미 SEC, 비트와이즈 암호화폐 ETF 전환 승인 돌연 정지 / Tokenpost

미 SEC, 비트와이즈 암호화폐 ETF 전환 승인 돌연 정지 / Tokenpost

미 SEC, '비트와이즈 암호화폐 인덱스 펀드 ETF 전환' 승인 번복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와이즈 10종 암호화폐 인덱스 펀드의 ETF 전환 승인 조치를 정지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앞서 SEC는 해당 펀드의 ETF 전환을 승인했으나, SEC 비서보 셰리 R. 헤이우드(Sherry R. Haywood)가 해당 조치를 정지시킨 뒤 이를 위원회 차원에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감원, “코인베이스 더 담지마라”...국내 ETF ‘코인 관련주’ 투자 제동

금융감독원이 최근 국내 자산운용사들을 상대로 상장지수펀드(ETF) 내 코인베이스, 스트래티지 등 가상자산 관련 기업의 비중 확대를 자제하라는 구두 지도를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고 헤럴드경제가 보도했다. 2017년 금융당국이 발표한 ‘가상통화 관련 긴급대책’이 유효하다는 취지다. 해당 행정지도는 제도권 금융회사의 가상자산 보유, 매입, 담보 취득, 지분투자를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실제로 국내 상장 ETF 가운데 가상자산 관련 종목 비중이 10%를 넘는 상품이 다수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의 ‘ACE 미국주식베스트셀러 ETF’는 코인베이스를 14.59% 비중으로 보유하고 있다.

고래 투자자, $2.2억 BTC 숏포지션 보유 중

고래 투자자 'jasonleo'가 2.2억 달러 규모 BTC 숏 포지션을 공개했다. 증거금 규모는 3620만 달러이며, 진입가는 119,425 달러, 청산가는 133,678 달러다.

ETH 현물 ETF 13거래일 연속 순유입 '7371억원'

트레이더 T에 따르면 22일(현지시간)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에 5억 3470만 달러(7371억원)가 순유입됐다. 13거래일 연속 순유입이다. 블랙록 ETHA에서만 4억 2705만 달러가 순유입되며 자금 유입을 주도했다. 이 밖에 피델리티 FETH와 그레이스케일 미니 ETH에서 각각 3501만 달러, 7264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나머지 ETF에서는 순유출입이 없었다.

BTC 현물 ETF 937억원 순유출...2거래일 연속

트레이더 T에 따르면 22일(현지시간)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에서 6794만 달러(937억원)가 순유출됐다. 2거래일 연속 순유출이다. 비트와이즈 BITB에서 4227만 달러, 아크인베스트 ARKB에서 3318만 달러가 순유출된 반면 그레이스케일 GBTC에는 751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나머지 ETF에는 순유출입이 없었다.

분석 "바이낸스 수익 중인 BTC 역대 최대...장기 투심 살아있다"

바이낸스의 BTC 잔고 중 수익 상태인 물량이 6만 BTC로 역대 최대 수준이라고 크립토퀀트 기고자 다크포스트가 전했다. 그는 "2024년 9월 이후 바이낸스의 BTC 잔고는 63.1만개에서 57.4만개로 감소했지만 수익 상태인 물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해왔다"고 분석했다. 이어 "바이낸스 BTC 잔고 변화는 장기 투심을 반영하는 핵심 지표로, 잔고 감소는 강한 매수 신호로 해석된다"고 덧붙였다.

디지털X, 74.7 BTC 추매

호주 소재 블록체인 컨설팅 및 자산운용사 디지털X가 74.7 BTC를 추가 매수했다고 밝혔다. 현재 총 499.8 BTC를 보유 중이다.

신규 고래, 팔콘엑스서 $1.26억 ETH 출금

신규 고래 주소가 팔콘엑스에서 3만3644 ETH(1.26억 달러 상당)를 추가로 출금했다고 온체인 렌즈가 전했다. 현재 해당 주소는 10만5977 ETH(3.96억 달러 상당)를 보유 중이다. 거래소 출금은 보통 보유 목적으로 해석된다.

익명 고래, 4년 만에 1000 WBTC 매도

4년 전 1074 WBTC를 평단가 1만708 달러에 매수했던 익명 고래 주소가 9시간 전 300 WBTC(3562만 달러 상당)를 매도한 것으로 보인다고 온체인 애널리스트 ai_9684xtpa가 전했다. 해당 주소는 지난 4일 동안 총 1000 WBTC를 매도했으며, 추정 실현 수익은 1억700만 달러다.

페지펭귄 디플로이어, 24시간 동안 $905만 PENGU 거래소 입금

퍼지펭귄(PENGU) 토큰 디플로이어(컨트랙트 배포자) 주소에서 지난 24시간 동안 2억2660만 PENGU(905만 달러 상당)를 복수 중앙화 거래소(CEX)로 입금했다고 엠버CN이 전했다. 지난 12일부터 누적된 입금량은 18억1000만 PENGU(5461만 달러 상당)다.

트럼프 WLFI, $650만 ETH 추매

트럼프 일가의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이 2분 전 1740 ETH(650만 달러)를 추가 매수했다고 온체인 애널리스트 ai_9684xtpa가 전했다. WLFI 관련 주소 3개는 지난 6일 동안 총 5608 ETH(1946만 달러)를 매수했으며, 현재 145만 달러의 미실현 이익을 기록 중이다.

블록체인 인프라 기업 DSRV, 16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블록체인 인프라 기업 DSRV가 약 16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1차 투자를 유치했다고 이데일리가 전했다. DSRV는 전 세계 70개 이상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인프라를 공급하고 있으며, 4조원 이상의 디지털 자산을 관리하고 있다.

퍼지펭귄 NFT 바닥가, 4년 만에 950배 상승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퍼지펭귄(PENGU) NFT 바닥가가 출시 4년 만에 950배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4년 전 해당 NFT 초기 판매가는 0.03 ETH로, 당시 시세 기준 63달러였다. 현재 바닥가는 15.97 ETH로 약 5만 9700달러 상당이다.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ETH 청산 규모: $1.32억, 청산 비율: 롱 71.13%

BTC 청산 규모: $4762만, 청산 비율: 숏 59.92%

SOL 청산 규모: $2845만, 청산 비율: 롱 61.25%

BTC $119,000 하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19,000 달러를 하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118,983.83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mini

2025.07.23 17:22:45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