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포스트입니다. 2025년 7월 22일 화요일 퇴근길에 들으시는 여러분과 함께 오늘 암호화폐 시장의 주요 소식들 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진행자
네 안녕하세요. 오늘 나온 여러 자료들 보면서 핵심만 딱 짚어보도록 하죠.
토큰포스트
좋습니다. 먼저 시장 상황부터 봐야겠죠. 지금 오후 4시쯤 됐는데 시장이 영 방향을 못 잡네요. 좀 혼란스러워 보여요.
진행자
맞아요. 그 토큰포스트 마켓 데이터 보니까요? 비트코인 BTC라고 하죠. 이게 어제보다 한 1.13% 정도 내렸어요.
토큰포스트
아 조금 내렸군요. 가각대는 어느 정도인가요?
진행자
지금 11만 7800달러 선이구요. 우리 돈으로 하면 대략 1억 6350만 원 정도 그 정도 수준입니다.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이더리움은요, 이더리움도 좀 내렸나요?
진행자
이더리움도 한 2.63% 빠져서요 3690달러 선 그러니까 원화로는 한 512만 원 정도 되는 거죠.
토큰포스트
음 비트코인이랑 이더리움 둘 다 좀 하락세군요. 다른 주요 알트코인들은 분위기가 어떤가요
진행자
어 이게 좀 갈리는데요. 리플 있잖아요. xrp 이건 2.65% 하락했어요.
토큰포스트
리플도 내렸네요.
진행자
그런데 솔라나 SOL은 오히려 5% 넘게 5.10%나 올랐어요.
토큰포스트
솔라나는 강세네요. 혼자 좀 다르게 움직이는군요.
진행자
다른 상위 알트코인들은 대부분 조금씩 내리거나 뭐 보합세인데 솔라나 혼자 좀 눈에 띄게 올랐습니다.
토큰포스트
흐름이 재밌네요. 그럼 시장 전체 규모나 비트코인 영향력 같은 건 변화가 있었을까요?
진행자
전체 시가총액은 뭐 거의 그대로예요. 약 3조 9천억 달러 수준이고요. 24시간 거래량은 한 2100억 달러 좀 넘구요. 근데 비트코인 점유율 도미노스라고 하죠. 이게 조금 올랐어요. 60.13%
토큰포스트
아 비트코인 비중은 오히려 늘었군요.
진행자
네 아주 약간요 반대로 이더리움 점유율은 살짝 줄었구요. 그리고 좀 눈여겨볼 만한 게 파생상품 거래량이 확 늘었어요.
토큰포스트
파생 상품 거래량이요. 얼마나 늘었는데요.
진행자
하루 만에 18% 이상 증가했거든요. 이게 뭐랄까 단기 변동성에 좀 대비하려는 움직임 그런 게 활발해졌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해징 수요도 있겠고 뭐 투기적인 움직임도 있겠죠.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시장은 전반적으로 좀 조심스러운데 또 단기적인 움직임은 활발하다 이렇게 봐야겠네요. 알겠습니다. 자 이제 주요 뉴스로 넘어가 볼까요? 오늘 특히 기관 투자자들 소식이 만전돼요.
진행자
네 맞습니다.
토큰포스트
특히 나스닥 상장사가 아주 그냥 어마어마한 매입 계획을 발표했죠.
진행자
네 바로 그 소식인데요. 나스닥에 상장된 부동산 개발 업체 무라노입니다. 앞으로 5년 동안에요. 무려 100억 달러
토큰포스트
100억 달러요 와
진행자
네 우리 돈으로 하면 이게 거의 14조 원 가까이 되거든요. 이만큼의 비트코인을 사들이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초기 투자금만 해도 10억 달러래요.
토큰포스트
야 정말 대단한 규모네요. 이게 그냥 투자 목적을 넘어서는 의미가 있을 것 같은데요.
진행자
그렇죠. 단순히 뭐 기술기업이 사는 거랑은 좀 다르게 이런 전통적인 부동산 기업까지 비트코인을 이제 중요한 재무자산으로 그 가치 저장 수단으로 본다는 거잖아요. 이건 상당히 중요한 신호탄이 될 수 있다고 봅니다.
토큰포스트
확실히 그렇네요. 100억 달러면 뭐 기업의 재무 전략 자체가 바뀌는 수준이니까요? 다른 기업들한테도 영향이 크겠어요. 어 또 다른 나스닥 상장사 소식도 있었죠.
진행자
네, 그렇습니다. 이번엔 전기차 기업인데요. 볼콘이라는 곳입니다. 여기도 비트코인을 사기 위해서 5억 달러 자금 조달을 마쳤다고 해요.
토큰포스트
5억 달러 무라노보다는 작지만 이것도 상당한 금액이네요.
진행자
네 규모는 차이가 나지만 이렇게 전통 산업 분야 기업들이 연달아서 비트코인 투자에 나선다는 점 이 자체가 좀 의미심장하죠.
토큰포스트
점점 더 많은 기업들이 비트코인을 받아들이는 추세가 뚜렷해지는 것 같습니다. 자 그럼 그 외에 또 주목할 만한 뉴스들 좀 빠르게 짚어주시죠.
진행자
네 몇 가지 더 볼게요 우선 jp모건 소식인데요. 파이낸셜타임즈 보도인데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암호화폐를 담보로 잡고 대출해주는 상품 이걸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
토큰포스트
아 드디어 jp 모건까지 움직이는 건가요?
진행자
뭐 아직 검토 단계지만요 제도권 금융이 계속 관심을 보인다는 거죠. 반면에 영국 중앙은행은 좀 다른 소식인데요. 일반 소비자들 대상으로 디지털 파운드 발행하는 거 이거 좀 보류할 수도 있다는 얘기가 나왔어요. 블룸버그 보던데 효용성에 좀 의문이 있다는 거죠.
토큰포스트
디지털 화폐는 좀 신중한 입장이군요.
진행자
그런 것 같고요. 또 기업 쪽 보면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 엑스 있잖아요. 여기가 3년 만에 처음으로 1억 5천만 달러 넘는 비트코인을 외부 익명 주소로 옮겼다는 정황이 아캄 데이터에서 나왔어요.
토큰포스트
스페이스 엑스요 이유가 뭘까요?
진행자
그건 아직 불분명합니다. 그리고 캐시우드의 아크 인베스트는 최근에 이더리움 매입 전략을 밝힌 채굴 기업 비트마인 주식은 많이 샀구요. 반대로 코인 베이스 주식은 꽤 많이 팔았어요. 좀 엇갈린 행보죠.
토큰포스트
아크는 여전히 좀 공격적이네요. 국내 소식도 있죠.
진행자
국내에서는 민병덕 의원이 원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 도입을 위한 디지털 자산 기본법 이것 좀 본격적으로 추진하자고 촉구했고요. 또 토큰 증권 sto 관련 법안도 8월 중에는 처리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고 합니다.
토큰포스트
법안 관련 논의가 다시 좀 활발해지는군요.
진행자
네 그 외에는 뭐 비앤비 체인 재단이 생태계 지원 차원에서 태그 토큰을 좀 매수했다는 소식 그리고 캠프 네트워크라고 7월 29일에 서울에서 빌더 이벤트 더 캠프 그라운드 점 서울 이걸 연다는 소식이 있구요. 아 그리고 좀 재미있는 건 에릭 트럼프가 예전에 이더리움 사라고 권유했던 걸 누가 조롱했었는데 최근에 이더리움 가격 오르니까 변동성을 받아들여라 뭐 이런 식으로 응수했다는 가십성 뉴스도 있었네요.
토큰포스트
하하 그런 일도 있었군요. 마지막으로, 시장 심리 좀 볼까요? 선불시장 롱 숏 비율은 어떻습니까?
진행자
네 3대 거래소 기준으로 비트코인 무기한 선물 롱 숏 비율 보면요 숏 포지션 그러니까 가격 하락에 베팅하는 쪽이 51.38%로 롱 포지션보다 약간 더 많아요.
토큰포스트
어 기관들은 막 산다고 하는데 단기적으로는 하락을 보는 시각이 좀 더 우세하다는 거네요.
진행자
네, 뭐 단기적인 트레이더들의 심리는 또 다를 수 있으니까요? 앞서 본 기관들의 매수 소식과는 또 다른 측면을 보여주는 거죠.
토큰포스트
정말 다양한 소식들이 얽혀있네요. 기관들의 큰 움직임과 또 단기적인 신중함이 같이 보이는 시장입니다. 오늘 저희가 준비한 소식은 여기까지인데요. 이렇게 상반된 신호들이 계속 나오고 있는데, 앞으로 암호화폐가 정말 제도권 자산으로 확실히 자리를 잡을지 아니면 뭐 여전히 변동성 큰 투자처로 남을지 여러분도 퇴근길에 한번 생각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진행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토큰포스트
이상 토큰포스트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