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팟캐스트 Ep.78] ETF·디파이 실사용이 이끄는 이더리움 구조적 랠리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4

ETF 자금 유입과 디파이 실사용 증가가 이더리움 상승세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컨트랙트 내부 호출 급증은 네트워크 실사용 확대를 반영하며, 구조적 강세장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팟캐스트 Ep.78] ETF·디파이 실사용이 이끄는 이더리움 구조적 랠리

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입니다. 최근에 이더리움 가격 정말 많이 올랐죠 네 다들 주목하고 계실 텐데요. 오늘은 10x 리서치 보고서를 좀 깊게 들여다보면서요 이 상승세 뒤에 숨어있는 진짜 동력이 뭘까? 특히 그 디파이 활동이 이더리움 미래에 대해서 뭘 보여주는지 좀 파헤쳐 보려고 합니다. 단순히 가격 뉴스만 보는 게 아니라 그 너머에 어떤 본질적인 변화를 같이 짚어보는 거죠. 저희가 참고한 자료는 뭐 이더리움 시장 동향이나 ETF 자금 흐름 디파이 활동 또 기관 투자자들 움직임까지 꽤 상세하게 분석한 리서치 보고서입니다. 자 그래서 최근 이더리움 가격이 정말 인상적으로 올랐는데 이게 예전처럼 그냥 레버리지 잔뜩 낀 투기 뭐 이런 것만은 아니라는 분석이 있더라고요. 특히 그 비트코인 대비해서 이더리움 미결제 약정 그러니까 아직 청산 안 안 된 파생상품 계약 총액이 눈에 띄게 늘었다는 점 이게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일까요?

진행자
네 맞습니다. 그 미결제 약정 증가는 일단 이더리움에 대한 시장의 관심 뭐랄까 포지션 구축이 활발해졌다는 첫 번째 신호죠 근데 여기서 더 흥미로운 건 이런 랠리 속에서도 그 펀딩 비율이라는 게 비교적 안정적이었다는 거예요.

토큰포스트
펀딩 비율이요. 그 선물 가격이랑 현물 가격 맞추려고 롱쇼끼리 주고받는 수수료 그거 말씀이시죠.

진행자
네 바로 그겁니다. 이게 막 과열되지 않았다는 건 그러니까 막 레버리지 낀 투기보다는 진짜 현물 현물을 사려는 매수세가 꽤 강하게 이 랠리를 받쳐주고 있다는 뜻이거든요. 그래서 좀 더 지속 가능한 상승일 수 있다. 뭐 이런 해석이 가능한 거죠. 말씀하신 것처럼 기관들 움직임 뭐 이더리움 etf로 돈이 들어온다거나 기업들이 직접 이더리움을 산다거나 하는 이런 현물 수요가 이걸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와 기관자금 유입 얘기하니까요? 규모가 진짜 어마어마하더라고요. 7월 한 달 동안 이더리움 ETF로 30억 달러가 순이입됐고 어떤 주에는 뭐 22억 달러가 몰리기도 했다구요. 특히 아시아 시장 역할이 컸다는 분석도 좀 인상 깊었어요. 한국 시장 거래량이 전월 대비 200%나 늘고 이번 랠리 상승분의 한 66% 정도가 아시아 거래 시간에 나왔다. 이건 좀 의미가 크죠

진행자
네 맞습니다. 아시아 시장 영향력도 그렇고 또 동시에 기업들이 자기들 대차대조표의 이더리움을 직접 담는 트렌드 이것도 주목해야 합니다. 뭐 비트마인 샤프링크 비트 디지털 이런 회사들이 예전에 마이크로 스트레트지가 비트코인 했던 것처럼 이더리움을 사고 있거든요. 근데 여기서 또 흥미로운 지점은 이 회사들 주가가 실제 들고 있는 이더리움 가치보다 꽤 높은 프리미엄에 거래된다는 사실이에요.

토큰포스트
아 그래요. 주가가 더 높게 평가받는군요.

진행자
네 이게 뭐 나중에 주식 발행 같은 걸로 돈을 더 모아서 추가로 이더리움을 확보하려는 뭐 그런 전략일 수도 있다는 거죠.

토큰포스트
기업들의 관심도 중요하긴 한데 결국에는 이더리움 네트워크 그 자체가 얼마나 튼튼한가 이게 중요하잖아요. 그런 면에서 디파이 쪽 데이터를 보니까 이더리움 기반 디파이에 묶여있는 총자산가치 그 TVL이라고 하죠. 이게 840억 달러를 넘어서면서 2022년 2월 이후로 최고치라고 하더라구요. 이 숫자 자체도 대단한데 이게 예전 과열대랑은 좀 다른 의미가 있을까요?

진행자
TVL 증가 어 물론 좋은 신호죠 긍정적입니다. 근데 보고서가 정말 중요하게 강조하는 포인트는 따로 있어요. 바로 내부 스마트 컨트랙트 호출의 증가입니다.

토큰포스트
내부 스마트 컨트랙트 호출이요. 그게 정확히 뭐죠

진행자
이게 단순히 돈이 디파이에 들어와서 쌓여있다. 뭐 티비엘이 높다 이걸 넘어서는 이야기인데요. 디파이 프로토콜들 사이에서 실제로 뭔가 복잡한 상호작용 예를 들면 뭐 대출을 실행한다거나 다른 서비스랑 연동한다거나 하는 그런 거래나 서비스 이용이 진짜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는 증거거든요. 비유하자면 주차장에 차가 얼마나 많이 주차되어 있느냐 TVL 가 아니라 실제로 도로 위에서 차들이 얼마나 바쁘게 움직이고 상호작용 하는지 내부 호출을 보여주는 지표랄까요?

토큰포스트
그러니까 실제 네트워크가 얼마나 활발하게 쓰이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거군요.

진행자
그렇죠. 이 지표가 이더리움 생태계가 얼마나 진짜로 돌아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거구요. 어쩌면 현재 가격이 이런 실제 네트워크의 유용성 그 유틸리티에 비해서 아직 저평가된 것 아니냐 이런 가능성까지도 시사하는 거죠. 그러니까 가격 뉴스나 뭐 ETF 들어왔다는 헤드라인보다 훨씬 더 본질적인 활동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게 청취자분들께 중요한 이유는 이게 어떤 투기적인 수요를 넘어서는 진짜 사용량 증가를 의미하기 때문이죠.

토큰포스트
아 그리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만한 동력들도 언급됐었죠. 뭐 디파이나 앞으로 자산 토큰화 이런 게 확산될 때 이더리움이 핵심 인프라가 될 거라는 기대감 같은 거요 베센트 재무장관이나 래리 핑크 같은 거물급 인사들 발언도 이런 기대를 좀 키우는 것 같구요.

진행자
네 맞습니다. 그런 기대감에 더해서 미국에서 나올 수도 있는 규제 변화 예를 들어 그 제니어스 액트 같은 법안이요. 이건 암호화폐 혁신을 좀 촉진하려는 움직임인데 이런 것도 변수가 될 수 있고요. 또 블랙록이 추진하는 것처럼 ETF 자체의 스테이킹 기능 같은 게 추가될 가능성 이것도 장기적으로는 꽤 긍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겠죠.

토큰포스트
자 그럼 이 모든 분석을 종합해 볼 때 현재 이더리움 상황을 어떻게 정리해 볼 수 있을까요?

진행자
그러니까 최근 상승세는 ETF를 통한 기관 자금 유입이라던가 아시아 시장의 적극적인 참여 기업들의 이더리움 채택 같은 외부적인 요인도 있지만 결정적으로는 그 내부 스마트 컨트랙트 호출 증가로 나타나는 실질적인 디파이 사용량 증가라는 내재적인 요인 이게 함께 작용한 결과다 이렇게 볼 수 있겠네요.

토큰포스트
네 정확합니다. 그래서 마지막으로, 이 분석을 바탕으로 청취자 여러분께서 한번 생각해 보실 점을 좀 던져드리고 싶어요.

진행자
물론 시장에는 아직 투기적인 요소가 분명히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 보고서가 보여주듯이 표면적인 가격 움직임 너머에 있는 근본적인 온체인 활동 데이터를 보면 이더리움의 기초 체력 이 펀더멘털이 생각보다 더 단단할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거든요. 기관 투자자들의 참여 그러니까 ETF나 기업 매입 같은 것과 이렇게 유기적으로 성장하는 디파이 생태계가 앞으로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이더리움의 다음 단계를 만들어 갈지 특히 지니어스 액트 같은 잠재적인 규제 환경 변화 속에서 그 경로가 어떻게 그려질지 이걸 좀 주목해 보시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이게 과연 단순한 시작 랠리를 넘어선 어떤 구조적인 변화의 시작일까요? 그리고 내부 호출 증가가 보여주는 디파이 프로토콜 간의 그 복잡성 증가 이건 앞으로 또 어떤 새로운 형태의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요? 이런 질문들을 한번 곱씹어 보시면 좋겠습니다.

토큰포스트
이상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였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4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위당당

2025.07.22 23:28:0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낙뢰도

2025.07.22 21:59:4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