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리플(XRP)에 약 55조 6,000억 원 규모의 국가 암호화폐 준비금을 조성했다는 소문이 확산되고 있다. 일부 SNS에서는 시진핑 국가 주석이 XRP를 합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막대한 비축 자산을 구성하겠다고 발표했다는 주장까지 나왔으나, 사실 확인 결과 이는 전혀 근거 없는 루머로 드러났다.
이번 주장을 처음 제기한 트위터 이용자 'Shibo'는 시 주석이 XRP 합법화 및 400억 달러(약 55조 6,000억 원) 상당을 구매하겠다고 공식 선언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해당 발언을 뒷받침할 만한 중국 정부의 발표 자료, 주요 언론 보도, 중앙은행 발표 등은 어디에서도 확인되지 않았다. 중국 정부 또는 인민은행(PBoC)이 XRP를 인정하거나 전략적 자산으로 비축할 계획을 밝혔다는 증거는 없다.
중국 당국의 암호화폐에 대한 입장은 여전히 엄격하다. 2017년부터 암호화폐 거래를 단계적으로 금지해 왔으며, 2021년에는 채굴을 포함한 모든 암호화폐 관련 민간 활동을 금지했다. 현재는 국가 주도의 디지털 위안(CBDC)에 집중하고 있으며, 리플처럼 탈중앙화된 자산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한편, 중국의 한 민간 기업인 웹버스 인터내셔널(Webus International)은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신청서를 제출하고 3억 달러(약 4,170억 원) 규모의 XRP 펀드 조성 계획을 공개했다. 이 자금은 XRP를 기업 사업 모델에 통합하기 위한 것으로, 국가나 정부 차원에서의 전략 비축과는 무관하다.
미국이 올해 초 비트코인(BTC)을 중심으로 한 전략 비축 자산 구성을 선언한 것과 달리, 중국은 여전히 비트코인이나 리플과 같은 민간 암호화폐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정부 차원의 실제 관여도 확인되지 않았으며, 공식 입장은 CBDC 중심의 디지털 금융 강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번 소동은 SNS와 암호화폐 커뮤니티 내에서 무분별하게 확산된 루머에 기반한 것이다. 코인 관련 루머는 투자자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공식 발표와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기반으로 정보를 판단해야 한다는 경각심이 다시 한번 강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