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과 XRP를 중심으로 대규모 매도세가 포착된 반면, 솔라나와 이더리움에는 투자 자금이 유입되며 포지션 전환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22일 크립토미터에 따르면 최근 24시간 동안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서 유로(EUR) 자금 유입이 가장 활발했다. 이날 유입된 유로 기반 자금은 1380만 달러로 대부분 ▲USDC(1010만 달러) ▲SOL(240만 달러) ▲USDT(120만 달러)로 분산됐다.
FDUSD 유입 규모는 총 1150만 달러였으며 ▲BTC(680만 달러) ▲BNB(470만 달러)로 나뉘었다.
미국 달러(USD) 기반 자금은 1080만 달러가 새로 유입됐다. 달러 자금은 ▲SUI(340만 달러) ▲DIA(230만 달러) ▲USDC(210만 달러) ▲RLUSD(150만 달러) ▲TAO(150만 달러) 순으로 분산됐다.
한국 원화(KRW) 기반 자금은 총 820만 달러로, ▲ETH(410만 달러) ▲MOODENG(160만 달러) ▲USDT(140만 달러) ▲USDC(110만 달러) 등으로 이동했다.
영국 파운드(GBP) 기반 자금은 총 520만 달러로, 이 중 ▲BTC(400만 달러) ▲USDC(120만 달러)에 유입됐다.
아랍에미리트 디르함(AED) 기반 자금은 USDT(120만 달러)로, 터키 리라(TRY) 기반 자금은 USDC(170만 달러)로 이동했다.
이날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에 집결된 자금은 총 1억2380만 달러 상당이다. 해당 자금은 ▲USDC(4010만 달러) ▲SOL(2590만 달러) ▲PUMP(1020만 달러)로 분산됐으며 ▲ONDO(640만 달러) ▲UNI ▲RLUSD ▲LAYER ▲ANIME 등 다수 알트코인으로 흘러갔다.
BTC에는 총 6590만 달러가 유입돼 상당 부분이 ETH(3160만 달러), WBTC(1840만 달러), SOL(950만 달러), DOGE(240만 달러), XRP(280만 달러), BNB(130만 달러)로 분산됐다.
USDC로 모인 자금은 5640만 달러로 집계됐으며 ▲SOL(1110만 달러) ▲USDD(620만 달러) ▲XMR(270만 달러) ▲TAO(130만 달러)으로의 이동이 확인됐다.
최종적으로 알트코인 중 가장 많은 유입을 기록한 종목은 솔라나(SOL)이다. USDT·USDC·BTC를 통해 총 4890만 달러가 유입됐다.
이외에도 ▲ETH(3560만 달러) ▲WBTC(1840만 달러) ▲PUMP(1020만 달러) ▲BNB(800만 달러) ▲ONDO(640만 달러) ▲UNI(430만 달러) 등이 상위 유입 종목으로 집계됐다.
▲XRP(280만 달러) ▲DOGE(240만 달러) ▲PENGU(190만 달러) 등에도 자금 유입이 있었지만 XRP는 통상적인 자금 유입 규모에 비해 다소 약세를 보였다.

이날 비트코인(BTC), 리플(XRP), 도지코인(DOGE), 솔라나(SOL) 등 상위 자산에서 자금이 빠르게 이탈해 테더(USDT), 달러(USD) 등을 중심으로 재배치됐다.
비트코인(BTC)은 총 2억5620만 달러가 유출되며 가장 큰 매도세를 기록했다. 유입처는 ▲USDT(1억7040만 달러) ▲달러(5210만 달러) ▲USDC(1980만 달러) ▲원화(750만 달러) ▲유로(640만 달러) 순이었다.
XRP 역시 1억5900만 달러 규모의 차익 실현이 확인됐다. 자금은 ▲USDT(9420만 달러) ▲원화(2630만 달러) ▲USDC(1540만 달러) ▲달러(920만 달러) ▲유로(900만 달러) ▲FDUSD(500만 달러)로 분산되며 비교적 다채로운 현금화 흐름을 보였다.
도지코인(DOGE)에서는 총 8150만 달러가 빠져나가 ▲USDT(4890만 달러) ▲달러(1420만 달러) ▲FDUSD(1050만 달러) ▲원화(800만 달러)로 이동했다.
솔라나(SOL)의 매도 규모는 5840만 달러로, ▲달러(3910만 달러), ▲원화(1120만 달러), ▲FDUSD(810만 달러)로 분산됐다.
이외에도 ▲USD1(3680만 달러) ▲ENA(3450만 달러) ▲TRUMP(2550만 달러) ▲PEPE(2000만 달러) ▲SUI(1740만 달러) 등에서도 유의미한 매도세가 관측됐으며 HBAR, TRX, AVAX, WLD, FIL, PENGU, PNUT, TON, AAVE 등에서도 USDT로의 매도 흐름이 이어졌다.
USDT에 유입된 자금은 총 8억7510만 달러에 달하며 일부가 ▲달러(5250만 달러) ▲브라질 헤알화(BRL, 790만 달러)로 이체됐다.
매도 자산에서 ETH로 집결된 자금 4억9430만 달러는 ▲USDT(2억7210만 달러) ▲달러(1억3260만 달러) ▲FDUSD(4840만 달러) ▲USDC(4080만 달러)로 흘렀다.
FDUSD 유입 자금은 7240만 달러로, ▲USDT(4790만 달러)와 ▲USDC(1410만 달러)로 다시 분산됐다. USDC에는 9040만 달러가 최종 유입됐다.
법정화폐를 보면 달러로 흘러간 자금은 단연 가장 높은 2억9970만 달러로 기록됐다. ETH, USDT, BTC, SOL, DOGE, XRP 등에서 자금이 들어왔다.
원화로 들어간 자금은 총 8400만 달러로, BTC, XRP, DOGE, SOL, ENA, TRUMP, WLD, PENGU 등의 매도 자금이 현금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유로로 1530만 달러, 브라질 헤알로 790만 달러의 자금이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