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코인 “연내 실명계좌 확보 불가"]
가상자산 결제 서비스 페이코인(PCI)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실명인증 입출금계좌 발급과 관련해 금융당국이 요구한 기한 내 마무리 짓지 못해 기한 연장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페이코인은 “우리는 현재 ‘실명인증 입출금 계좌 발급’을 위해 은행과 신중히 관련 절차를 진행 중에 있다. 다만 최근 발생한 FTX 사태 등 시장 환경 변화로 리스크를 더 확인하는 검토 과정이 추가됐고, 이로 인해 금융당국이 요구한 기한(12월 30일)까지 보완 자료를 제출하지 못하게 됐다. 은행의 평가가 완료되는대로 빠른 시일 내에 실명인증 입출금계좌발급 확인서를 금융당국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PCI는 현재 1.61% 오른 0.269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스택스, 사이드체인 기반 BTC 페그 자산 sBTC 출시 계획...디파이 활성화]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 스마트 컨트랙트 레이어 스택스(STX)가 공식 채널을 통해 비트코인 페그 토큰 sBTC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BTC는 비트코인 가치와 1:1로 연동되는 파생 자산으로, 사이드체인을 활용해 스마트 컨트랙트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정교한 애플리케이션에서 BTC 기반 디파이를 활성화할 수 있다는 게 스택스 측의 설명이다. 현재 sBTC 출시를 골자로 한 거버넌스 제안 SIP-21의 커뮤니티 투표를 진행 중이며, 투표 통과 시 스택스는 8~9개월 후 sBTC를 스택스 체인 상에 구현할 예정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STX는 현재 2.08% 내린 0.207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바하마 대법, 증권당국 월렛으로 FTX디지털마켓 35억 달러 이전 명령]
바하마증권위원회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바하마 대법원의 명령에 따라 FTX 바하마 사업 관련 청산인인 FTX디지털마켓(FTX Digital Markets)이 관리 중인 35억 달러 상당의 디지털 자산을 위원회 관리 월렛으로 이전했다“고 밝혔다. 해당 자산은 대법원의 별도의 지시 또는 판결이 있기 전까지 위원회가 임시 관리한다. 앞서 위원회는 지난달 12일 대법원에 ‘FTX 해킹 사건 등을 감안하면 자산이 탈취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안전한 월렛으로 옮길 수 있도록 허가해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3iQ "내년 3분기경 암호화폐 반등 예상"]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디지털 자산 관리자 3iQ의 연구 책임자인 Mark Connors는 2023년 3분기경 암호화폐가 반등하고 금융 서비스 회사 등이 규제 개발에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내년 3분기 이전 연준이 양적 긴축을 중단함에 따라 암호화폐는 2020년 3월처럼 급격한 반전 장세를 맞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라인 블록체인, 토큰이코노미 2.0 공개..."LN 현재 유통량 제외 재단 발행 없다"]
네이버의 일본 관계사 라인의 블록체인 부문인 라인 블록체인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라인링크(LN) 토큰이코노미 2.0 버전을 발표했다. 이와 관련 라인 블록체인은 "최근 3세대 메인넷 핀시아를 성공적으로 출시했다. 향후 핀시아 기반 토큰이코노미 2.0을 시행하고, 웹3 대중화를 실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라인 블록체인이 발표한 LN 토큰이코노미 2.0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제로 리저브(Zero Reserve) 전략 채택. 사전 예비 물량 발행 안해. 현재까지 유통된 6,734,458 LN 이외 LN 토큰은 블록 생성에 따른 인플레이션으로만 발행되며, 그 외 어떠한 발행도 없다. 리저브 기반 무분별한 토큰 투자도 원천 봉쇄된다. 토큰이코노미 1.0에서 정한 1.1억 개의 유통 한도 정책 또한 영구적으로 폐지.
2. 핀시아 체인 프로토콜 기반 인플레이션 물량 중 80%는 LN 스테이킹 및 결제 보상으로 분배. 20%는 리저브로 메인넷 개발 및 생태계 활성화에 투자.
- 전체 인플레이션 중 50%는 네트워크 기여 보상으로 활용. LN 예치, 블록 생성 및 검증 벨리데이터와 유저들에게 분배.
- 전체 인플레이션 중 30%는 서비스 기여 보상으로 활용. 링크 결제와 서비스 개발사들에게 할당.
-전체 인플레이션 중 20%는 리저브. 생태계 운영을 위해 필요한 연구개발 및 인프라 비용을 포함한 생태계 활성화와 마케팅 비용으로 활용.
3. 연간 인플레이션율 5% 내로 운영. 초기 단계서 LN 스테이킹 및 결제 활성화를 위해 연간 최대 15% 내에서 인플레 통제. 네트워크 안정성 확인해 매년 인플레 축소.
[윌리 우 "디파이 앱, 진정한 탈중앙화 구현 불가능"]
약 100만 트위터 팔로워를 보유한 유명 암호화폐 온체인 애널리스트 윌리 우가 트위터를 통해 "디파이 앱은 진정한 의미의 탈중앙화를 구현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이 문제에 대해 깊이 생각해봤지만, 오늘날 작동하는 모든 것들은 신뢰할 수 있는 중앙집중식 주체가 필요하다. 만약 이러한 논리가 사실이라면 디입과 레이어1 블록체인은 지금 헛된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즈키 #4690, 203 WETH에 판매]
룩스레어에서 Azuki #4690이 203.0612 WETH(243,673$)에 판매됐다.
[dev.eth 20 ETH에 판매]
오픈씨에서 dev.eth ENS(이더리움네임서비스)가 20 ETH에 판매됐다.
[블룸버그 "SBF, 올해 바하마서 백악관 고위급 인사 만난 적 있어"]
블룸버그 통신이 "샘 뱅크먼 프리드(SBF) FTX 창업자는 FTX가 챕터11 파산 신청하기 전 바하마에서 백악관 고위급 인사들과 최소 네 차례의 회동을 가졌었다. 이는 그가 백악관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었다는 증거"라고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어 블룸버그는 "SBF는 4월, 5월, 9월 백악관 선임 고문 스티브 리체티(Steve Ricchetti)를 바하마에 초대해 회동을 가졌으며, 다른 한 차례의 회동에서는 또 다른 선임 고문 브루스 리드(Bruce Reed)도 자리에 동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SBF는 2020년 바이든 캠프에 520만 달러를 기부한 바 있으며, 올해 치뤄진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에 거액의 선거자금을 후원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설명했다.
[미 FBI, 30만개 3Commas API키 유출 사건 조사 착수]
국 FBI가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에 연결된 10만개 3Commas API키 유출 사건 조사에 나섰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이번 주 3Commas에 연결된 10만개의 바이낸스 및 쿠코인 API키가 한 신원미상의 인물에 의해 유출된 바 있다. API 데이터베이스 유출자는 3Commas 키가 회사 내부 누군가에 의해 판매됐다고 암시했지만, 3Commas CEO Yuriy Sorokin은 목요일 성명에서 내부 조사 결과 해당 직원을 파악할 수 있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블러, 이뮤터블X 기반 NFT에 최소 로열티 적용]
NFT 마켓플레이스 블러(Blur)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이뮤터블X(IMX) 기반 NFT에 대한 최소 로열티 적용 프로그램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최소 로열티 적용 시간은 1월 2일 15시(동부표준시)다. 로열티는 0.5%를 우선 적용하되 추후 0.5%p씩 높일 예정이다. 아울러 블러는 NFT 제작자에게 오는 1월 출시 예정인 자체 토큰 BLUR 에어드랍도 진행할 예정이며 스냅샷을 완료했다고 덧붙였다.
[베이더 프로토콜, 프로젝트 운영 중단 선언..."USDV 디페깅 극복 실패"]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탈중앙화 금융(디파이, DeFi) 프로토콜 베이더(VADER)가 프로젝트 운영을 중단한다고 2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자체 토큰인 VADER, xVADER, USDV 등 프로토콜 관련 토큰도 사용처를 잃게 된다. 이와 관련 베이더 측은 "USDV는 이미 실패한 테라-루나와 유사한 소각 메커니즘을 통해 유지되던 스테이블코인 네트워크였다. 하지만 5월 테라 붕괴 여파로 디페깅이 발생했고, 이러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극복하지 못하고 우리는 USDV 발행 기능을 일시 중단했다. 그 후 약 6개월간 우리는 USDV 메커니즘을 안정화 시키기 위해 방법을 연구했지만, 돌파구를 찾지 못했다. VADER, xVADER, USDV 등 토큰 보유자들에게 프로토콜 보유 자산을 반환하기 위한 머클드롭(상환)을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VADER는 현재 42.19% 내린 0.0000381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언스토퍼블, 웹3 네오뱅크와 .hi 도메인 제공]
3 도메인 제공 업체 언스토퍼블이 웹3 네오뱅크 하이(hi)와 협력해 .hi라는 새로운 TLD(최상위 도메인)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신원인증을 완료한 hi 유저는 지금 클레임 가능하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30...공포 지속]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보다 2포인트 오른 30을 기록했다. 공포단계가 지속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비탈릭 "솔라나, 유능한 커뮤니티 보유...공정한 기회 주어지길"]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ETH) 창시자가 트위터를 통해 "일부 현명한 사람들은 솔라나(SOL)에 유능한 스마트 개발자 커뮤니티가 있고, 사람들이 막대한 자금을 투입했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미래가 밝다고 말한다. 외부에서 말하기 어렵지만, 커뮤니티가 성공할 수 있는 공정한 기회를 갖기 바란다"고 밝혔다. 코인마켓캡 기준 SOL은 현재 1.38% 내린 9.6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