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PEPE 지난주 60% 급등해도 대다수 홀더 손실 상태"]
인투더블록이 X를 통해 "밈 코인 페페(PEPE)가 지난주 60% 급등했지만 대다수 PEPE 홀더는 아직 손실 상태다. 현재로선 고래들의 매집 시그널이 보이진 않으나 대규모 거래가 눈에 띄게 늘고 있다"고 전했다.
[유명 DJ 스티브 아오키, 솔라나 기반 NFT 출시...스테픈과 협업]
미국 유명 DJ 스티브 아오키(Steve Aoki)가 M2E 프로젝트 스테픈(GMT)과 손잡고 솔라나 기반 디지털 스니커즈 NFT 컬렉션을 출시한다고 디크립트가 전했다. 10월 31일부터 11월 4일(현지시간)까지 NFT 마켓 MOOAR에서 개당 3500 GMT에 판매된다.
[지난주 블록체인·암호화폐 보안 사고로 792만 달러 피해]
블록체인 전문 보안업체 슬로우미스트(SlowMist)가 주간(10월 22일~10월 28일) 보안 보고서를 통해 "지난주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생태계에서는 7건의 주요 보안사고가 발생했다. 총 피해액은 792만 달러 상당"이라고 전했다. 이중 리네아 사칭 토큰 러그풀로 130만달러 손실, 비밀번호 저장 소프트웨어 라스트패스 해킹으로 440만달러 손실이 발생했다.
[지난주 디지털자산 투자 상품 3억2600억 달러 순유입...2022년 7월 이후 최대]
코인쉐어스 주간 자금 흐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주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에 약 3억 2,600만 달러가 순유입되며 2022년 7월 이후 주간 유입액이 최대를 기록했다. 비트코인 투자 상품에만 2억 9600만달러가 유입됐고 솔라나 투자 상품에도 2400만달러가 유입됐다. 반면 이더리움 투자 상품에서는 600만달러가 유출됐다. 현재까지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에 대한 월간 유입액은 5억달러 규모다.
[디파이 TVL 420억 달러...3개월래 최대]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디파이 시장 TVL(락업예치금)이 420억달러로, 3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2주 전에는 디파이 TVL이 2021년 2월 이후 최소 규모인 360억달러를 기록한 바 있다.
[분석 "30일 2억5000만 달러 이더리움 콜옵션 블록딜 체결"]
암호화폐 옵션 데이터 추적 플랫폼 그릭스라이브가 X를 통해 "오늘 2.5억달러 상당 ETH 콜옵션 블록딜이 체결했다. 이중 대부분은 11월 24일 만기 ETH 콜옵션이었으며 행사가격은 $1650/$1700/$1800이었다. 고래들이 향후 ETH 가격 상승을 기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사우디 네옴시티 펀드, 애니모카브랜드와 웹3 파트너십]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사우디의 초대형 신도시 건설 프로젝트 네옴시티(NEOM)의 투자 기관 네옴인베스트먼트펀드(NIF)가 애니모카브랜드와 웹3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애니모카브랜드는 네옴시티와 웹3 엔터프라이즈 서비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앞서 NIF는 애니모카브랜드에 5000만달러 투자를 제안한 바 있다.
[UN "BTC 가격 오를수록 채굴 에너지 사용량도 늘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UN이 보고서를 통해 “2020~2021년 동안 비트코인 채굴을 하는 76개 국가의 활동을 분석한 결과, 비트코인 가격이 오를수록 채굴 에너지 사용량도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해당 기간 비트코인 가격은 400% 올랐고 전 세계 비트코인 채굴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비량도 140% 증가했다. 이 기간 중국, 미국, 카자흐스탄, 러시아 등 비트코인 채굴량 상위 10개국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92~94% 비중을 차지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영국, 내년 초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 규제안 도입]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영국 정부가 암호화폐 규제안을 단계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이중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 규제안은 내년 초 도입할 계획이다. 해당 규정에 따르면 영국 금융감독청(FCA)이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 규제를 관할한다. 또한 거래소가 신규 자산을 상장할 때 발행자 요건 등을 작성하도록 의무화할 예정이다. 이 외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기타 암호화폐 규제는 점진적으로 도입된다. 지난 5월 영란은행은 스테이블코인 관련 규제 프레임워크 구축을 위한 협의를 시작한 바 있다.
[플랜비 "10월 말, 반감기 6개월 전 비트코인 매수·18개월 후 매도 전략 시작점"]
비트코인 가격 예측 모델 'S2F 모델'을 고안한 네덜란드 출신 유명 애널리스트 플랜비(PlanB)가 X를 통해 "10월 종가는 역사적으로 반감기 6개월 전 비트코인을 매수하고 반감기 18개월 후에 매도하는 전략의 시작점이다. 이것은 BTC 희소성과 반감기가 가격을 결정한다는 S2F 모델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앞서 그는 이 전략이 역사적으로 '바이앤홀드(매수 후 장기보유)' 전략을 이겼다고 언급한 바 있다.
[영국 재무부, 암호화폐 기업 승인제 법안 상정 계획]
영국 재무부가 암호화폐 기업이 금융감독청(FCA)의 승인을 받도록 하는 내용의 규제안을 의회에 상정할 예정이라고 로이터가 보도했다. 재무부는 성명에서 "유럽연합이 이와 유사한 규정을 도입함에 따라 영국 역시 내년에 이러한 내용이 담긴 법안을 마련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해당 규정이 도입되면 암호화폐 기업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FCA로부터 승인을 받아야 한다. 앞서 앤드류 그리피스(Andrew Griffith) 영국 재무부장관은 "12개월 내 암호화폐 산업 규제 법안이 도입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