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주최한 밈코인 투자자 만찬을 두고 미국 하원의원들이 법무부에 공식 조사를 요청하며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들은 외국인의 영향력 행사 가능성과 부패 소지를 지적하며, 미국 헌법상의 외국 수익 조항(Emoluments Clause) 위반 여부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논란이 된 이번 만찬은 지난 5월 22일, 워싱턴 D.C. 인근 트럼프 내셔널 골프클럽에서 열렸다. 해당 행사에 참석한 인원의 다수가 암호화폐 거래소와 연계된 외국 국적자일 가능성이 높다는 블룸버그 보도가 나오면서 정치권에서는 외국 정부나 외국인 투자자들의 영향력이 미국 정책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됐다. 하원의원 35명은 같은 날 법무부 공공청렴부에 공식 서한을 통해 이 행사가 연방 뇌물수수법 또는 외국 수익 조항을 위반했는지 조사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특히 밈코인 $TRUMP의 마케팅 전략을 지적하며 “대통령과의 독점 만남을 약속한 만찬 등은 외국 정부가 대통령에게 우회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경로가 된다”며 “이는 기부자의 신원이 공개되지 않은 채 미국 정치에 개입하는 길을 여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만찬 개시 수 시간 전 하원의원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참석자 명단을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행사 당일에는 민주당 소속 제프 머클리 상원의원이 참여한 시위대가 골프클럽 외부에 모여 “불법 암호화폐 파티”, “민주주의는 매물 아니다”라는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항의했다.
같은 날, 바이낸스 전 CEO 창펑 자오(CZ)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을 정면 반박하며 또 다른 논란의 중심에 섰다. 그는 WSJ이 자신을 트럼프 대통령과 연계된 디파이 프로젝트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의 ‘조정자(fixer)’로 규정한 보도에 대해 “악의적인 왜곡”이라며 강하게 부인했다.
WSJ은 자오가 WLF의 공동 창업자 잭 위트코프와 함께 해외에서 주요 인사들을 소개하고 회의를 주선했다고 보도했으며, 특히 파키스탄 방문 당시 체결된 양해각서(MOU)에 자오가 역할을 했다고 암시했다. 그러나 자오는 X(구 트위터)를 통해 “WLF와 해당 인사들은 이미 오래 전부터 알던 사이고, 나는 파키스탄에서 사키브 씨와 처음 만났을 뿐”이라며 “어떤 만남도 주선하거나 해외 행사에 개입하지 않았다”고 일축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암호화폐 산업의 연결고리를 둘러싼 정치권과 업계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사건이 향후 암호화폐를 둘러싼 규제 환경과 정치 논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