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이 다시 한 번 조정 국면에 들어섰다. 7월 5일 기준, 전체 시가총액은 약 3조 3,300억 달러(약 4,632조 원)로 전일 대비 0.76% 하락했다. 거래량도 16.5% 급감해 약 930억 달러(약 129조 원)를 기록하면서 투자자들의 *위축된 심리*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은 각각 시장 지배율 64.6%, 9.1%를 유지했지만, 대부분의 주요 자산이 하락하는 압박을 피하지 못했다.
이번 시장 하락의 배경에는 ▲14년간 잠자고 있던 고래 지갑의 깜짝 이동 ▲30억 달러(약 4조 1,700억 원)를 웃도는 대규모 옵션 만기 ▲단기 이익 실현 매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투자자 심리를 반영하는 ‘공포와 탐욕 지수’는 현재 51포인트로, 시장이 방향성을 잃고 혼조세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한다.
비트코인은 지난 24시간 동안 0.68% 하락해 10만 8,295달러(약 1억 5,063만 원) 수준에서 거래 중이다. 특히 시장을 긴장시킨 계기는 80,009 BTC를 보유하고 있던 *비활성 고래 지갑*의 갑작스러운 이동이다. 이번 이동으로 전송된 규모는 약 87억 달러(약 1조 2,093억 원)에 달한다. 이처럼 대규모 자산 이동은 보통 보안 또는 매도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며, 시장에 단기적인 하락 압력을 가하는 경우가 많다.
같은 날 만기도래한 옵션 계약 규모도 시장 하락에 기름을 부었다. 특히 비트코인 기반 옵션 계약은 약 29억 8,000만 달러(약 4조 1,472억 원), 이더리움은 6억 1,000만 달러(약 8,479억 원)로 분석된다. 계약 해소 과정에서 유입된 불확실성은 기술적 조정과 겹쳐 매도세를 가속화했다.
이더리움도 전날 대비 1.2% 하락해 2,527.90달러(약 351만 원)로 내려앉았다. 이번 하락은 지난 한 주간 4.09% 상승한 이후 단기 차익 실현이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특히 2,600달러 일대에서 저항을 받으면서 과도하게 레버리지된 롱 포지션이 대거 청산된 것으로 보인다.
투자심리를 악화시킨 또 하나의 요인은 급격한 *청산(리퀴데이션)*이었다.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약 14.9%의 거래량 감소를 보이며 약 424.7억 달러(약 590조 원) 규모로 거래됐다. 반면 XRP는 0.25% 하락한 2.22달러(약 3080원)로 후퇴하면서 최근 발표된 바이킹 면허 취득 호재에도 불구하고 상승 모멘텀을 발휘하지 못했다.
이런 하락장 속에서도 일부 알트코인은 선전했다. 특히 밈코인 BONK는 9.52% 상승해 시장의 주목을 받았고, PENGU(5.60%)와 XDC(2.45%)도 이례적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이날 하락폭이 컸던 종목은 TIA(-5.00%), 유니스왑(UNI, -4.56%), IMX(-4.16%) 등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분석할 때, 이번 암호화폐 시장 하락은 매크로 환경의 변화와 대규모 자산 이동, 숏 포지션 청산의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렇다고 즉각적인 장기 하락 국면으로 해석하기엔 무리가 있으며, 투자자들은 향후 글로벌 정세 및 주요 자산에 대한 고래 움직임을 주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