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트코인 시장에서 주요 테마 간 희비가 교차하며 섹터별 양극화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전체 24개 섹터 중 6개 섹터만 상승세를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제한적인 반등 흐름을 나타냈다.
12일 오후 5시 8분 기준 업비트 데이터랩에 따르면, 전체 24개 섹터 가운데 6개 섹터가 상승하고, 18개 섹터가 하락해 시장 내 선별적 매수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섹터는 '소셜/DAO'(+11.31%)로, ▲사이버커넥트(CYBER, +78.09%) ▲래디컬(RAD, +2.46%) 등 일부 종목의 급등세가 상승장을 주도했다.
뒤를 이어 '모듈러 블록체인' 섹터는 +1.21% 상승하며 3개 주요 종목인 ▲프로메테우스(PROM, +16.42%) ▲라미나(LA, +11.88%) ▲마인터라(MNT, +4.01%)가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였다. '오라클'(+0.78%) 섹터에서는 ▲체인링크(LINK, +0.85%)가 소폭 올랐다.
'팬토큰'(+0.50%) 테마는 ▲아르헨티나축구협회토큰(AFC, +7.56%) ▲인터밀란토큰(INTER, +5.34%) ▲AC밀란토큰(ACM, +5.16%) 등이 상승장을 이끌었다. 이 외 'DID'(+0.32%) 섹터의 ▲스페이스아이디(ID, +2.64%), 'NFT/게임'(+0.11%) 섹터의 ▲매직(MAGIC, +6.37%) ▲엔진(ENJ, +1.32%) ▲블러(BLUR, +0.87%) 등도 상승했다.
반면 하락 흐름이 두드러진 섹터는 '상호운용성/브릿지'(–1.87%), '교육/기타 콘텐츠'(–1.45%), '광고'(–1.07%) 순이었다. '상호운용성/브릿지' 섹터에서는 ▲스타게이트(STG, –4.56%) ▲레이어제로(ZRO, –4.29%) ▲하이퍼리얼리티(HYPER, –3.36%)가 급락했다.
'교육/기타 콘텐츠' 섹터는 ▲에버아이큐(IQ, –1.62%) ▲아카데미AHT(AHT, –0.94%)가 하락했다. '광고' 섹터에서는 ▲밀크(MLK, –1.36%)와 ▲베이직어텐션토큰(BAT, –0.98%)이 조정 흐름을 보였다.
또한 '유동화 스테이킹/리스트레이킹'(–0.82%) 섹터에서는 ▲오리진프로토콜(OGN, –2.26%), ▲커널(KERNEL, –2.19%), ▲해달(HAEDAL, –2.07%)이 약세를 기록했다. '월렛/메시징'(–0.71%) 섹터는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SNT, –1.29%), ▲월렛커넥트(WCT, –0.69%), ▲세이프(SAFE, –0.66%)가 하락했다.
대형 섹터의 경우 '디파이'(+0.60%) 섹터는 소폭 반등했고,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은 전일과 큰 차이 없는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갔다. 반면 '인프라' 섹터는 –0.28%로 약세를 보이며 일부 매물 출회가 확인됐다.
이번 시장 흐름은 상승과 하락 테마 간 낙폭과 상승폭이 빠르게 엇갈리는 선별적 장세로 평가된다. 상승 섹터 중 일부가 10%를 넘는 급등을 보인 반면, 대다수 섹터는 마이너스 흐름을 지속해 전체 시장 분위기는 '양극화'로 요약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