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파이코인, 지속 하락세 속 기술적 저항선에 부딪혀…9월 가격 반등 쉽지 않아

프로필
이도현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파이코인이 0.34달러대로 하락하며 주요 기술적 저항선에 막혀 반등에 실패하고 있다. 총 1억 1,600만 개의 추가 공급이 예정돼 있어 하락 압력은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개발팀은 메인넷 출시와 업그레이드를 추진하고 있으나, 단기적으로 투자심리 회복에는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파이코인, 지속 하락세 속 기술적 저항선에 부딪혀…9월 가격 반등 쉽지 않아 / 셔터스톡

파이코인, 지속 하락세 속 기술적 저항선에 부딪혀…9월 가격 반등 쉽지 않아 / 셔터스톡

파이코인, 지속 하락세 속 기술적 저항선에 부딪혀… 9월 가격 반등 쉽지 않아

파이코인(PI)은 2025년 9월 초 현재 약 0.34달러에서 거래되며 강한 하락 압력을 받고 있다. 이는 사상 최고가 대비 약 60% 하락한 수준으로, 시장 전반의 약세 심리와 기술적 지표가 아직도 회복세로 전환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가격 흐름 및 기술 분석

현재 파이코인은 0.345~0.35달러 사이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지난주 0.38달러 수준을 돌파하지 못하면서 저항선이 0.38~0.40달러 구간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선은 0.32~0.33달러 수준에서 형성돼 있으며, 0.30달러까지 하락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파이코인은 주요 이동평균선인 20일 EMA(0.359달러), 50일 EMA(0.363달러), 100일 EMA(0.380달러), 200일 EMA(0.398달러)보다 낮은 수준에서 거래 중이다. 이는 기술적으로 전체적인 하락 흐름이 여전히 유효함을 보여주는 신호이다. RSI(상대강도지수)를 비롯한 모멘텀 지표들 역시 매도 우위를 나타내고 있다.

공급 증가와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압력

특히 9월 중 파이코인 약 1억 1,600만 개가 추가로 시장에 유통될 예정인 점이 가격 하락 압력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다. 이는 기존 매도세에 추가적인 공급 부담을 얹게 되어 0.30달러선에 대한 재시험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한편, 파이 개발팀은 네트워크 성능 향상을 위한 v23.01 프로토콜 업그레이드와 함께 9월 3일 메인넷 정식 출시를 예고했다. 해당 업그레이드는 거래 속도 향상과 보안성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전환점이 될 수 있지만 단기 가격 반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생태계 확장과 로드맵

최근 해커톤 및 프로토콜 개선 작업 등 개발 진행 상황은 파이코인의 생태계와 인프라 강화를 목표로 두고 있다. 하지만 기술적 개선과 새로운 기능 도입이 단기 투자자 심리를 반전시키기엔 역부족인 상황이다.

프로젝트 로드맵은 파이코인을 장기적으로 실생활에 통합할 수 있는 블록체인으로 발전시키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유스케이스 확대와 인프라 확장을 계속 추진 중이다.

시장 심리 및 투자자 흐름

최근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실용적인 결제 기능과 명확한 채택 전략을 갖춘 레미틱스(RTX)와 같은 유틸리티 기반 알트코인으로 자금이 이동하는 흐름이 늘고 있다. 약 38%의 암호화폐 보유자들이 파이코인이 2026년까지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고 있으며, 이는 수급 불균형과 기술적 약세 구조가 지속되고 있는 데 기인한다.

시장 현황 및 수치

2025년 9월 2일 기준, 파이코인의 가격은 약 0.3419달러(한화 약 457원)이며, 시가총액은 약 27억 3,210만 달러(한화 약 3조 6,500억 원)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전 세계 암호화폐 중 41위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총 공급량은 1,000억 개이며, 현재 유통 중인 물량은 약 79억 9,073만 개이다. 24시간 거래량은 약 3,984만 달러(한화 약 533억 원)이다. 최근 24시간 동안은 0.71% 하락했고, 한 달간 약 6.07%, 두 달간 약 29.36%, 세 달 동안 약 47.80% 하락했다.

전망 요약

파이코인은 기술적 저항을 넘어서지 못한 채 공급 증가에 따른 하락 압력과 투자자 불신에 직면해 있다. 프로젝트 개발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가격 회복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수요 증가나 긍정적인 투자 심리 전환이 없다면 0.32달러선 재하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신중한 관측이 이어지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