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10월 20일 출근길 팟캐스트 — 3조 6,900억 달러 시장이 깨어났다 — ETF·언락·이더리움, 격동의 한 주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2

암호화폐 시장이 3조 6,900억 달러 규모로 회복하며 다시 활기를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1.76% 상승한 10만 8,965달러를 기록했고, 이더리움은 2.44% 오른 3,988달러로 4,000달러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주요 알트코인들도 동반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심리가 일부 회복되는 모습이다.

 10월 20일 출근길 팟캐스트 — 3조 6,900억 달러 시장이 깨어났다 — ETF·언락·이더리움, 격동의 한 주

안녕하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입니다.

00:04
안녕하세요.

00:04
새로운 한 주를 시작하는 여러분을 위해 저희가 오늘 암호화폐 시장의 핵심 정보들 좀 짚어드릴까 합니다.

00:11
네 이번 주도 중요한 일정들이 많더라고요.

00:14
맞아요. 토큰포스트 자료들을 좀 보면서 이번 주 시장 흐름 또 놓치면 안 될 변곡점들 이런 것들을 좀 깊이 있게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00:23
바쁘신 와중에도 저희 브리핑 들으시면서 시장 맥을 잡는 데 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00:29
좋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해 볼까요? 이번 주는 특히 좀 주목해야 할 이벤트가 많다고요.

00:35
그렇습니다. 당장 시장 유동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규모 토큰 언락도 있고요.

00:40
아 언락이요.

00:42
그리고 이더리움의 기술적인 진전 소식도 있고 또 여러 ETF 승인 결정까지 예정돼 있습니다.

00:48
정말 여러 변수가 막 얽혀있는 그런 한 주가 되겠네요.

00:52
맞아요. 정말 그야말로 다양한 변수들이 얽혀있는 한 주가 될 것 같습니다.

00:56
흥미로운데요. 우선은 현재 시장 상황부터 좀 봐야겠죠. 10월 20일 오전 5시 10분 기준으로 데이터 좀 볼까요? 분위기는 전반적으로 괜찮은 것 같아요.

01:06
네 맞습니다. 비트코인 BTC는 전날보다 한 1.76% 정도 올라서요. 10만 8965달러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01:14
오 10만 달러 선 다시 회복했네요.

01:16
그리고 이더리움 ETH 역시 2.44% 상승하면서 3988달러 이제 거의 심리적 저항선인 4천 달러 바로 앞까지 왔습니다.

01:26
거의 다 왔군요. 그럼 다른 주요 알트코인들은 좀 어떤가요? 같이 따라가는 분위기인가요?

01:32
네, 대부분 동조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XRP는 한 1.49%, BNB는 1.32% 솔라나 SOL도 1.37% 올랐고요.

01:43

01:44
특히 좀 눈에 띄는 건 도지코인 DOG가 4% 넘게 그리고 카르다노 ADA가 3.7% 이상 오르면서 상대적으로 좀 강한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트론 TRX도 2% 상승했고요.

01:58
그렇군요. 전반적으로 보면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좀 살아난다고 볼 수 있을까요?

02:04
네, 어느 정도 회복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02:07
그럼 시장 전체 규모도 좀 커졌겠네요.

02:09
그렇습니다.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이 3조 6900억 달러

02:15
와 3조 6900억 달러요

02:18
네, 원화로는 한 5246억 원 정도 되고요. 24시간 거래량도 꽤 늘어서 1311억 달러 약 186조 원 수준입니다.

02:28
거래량도 상당하네요. 비트코인 점유율은 어떤가요?

02:31
비트코인 시장 점유율은 58.88%로 아주 약간 올랐고요. 반대로 이더리움 점유율은 12.73%로 조금 내려왔습니다.

02:42
아 이 점유율 변화도 자금 흐름을 좀 보여주는 단사가 될 수 있겠군요.

02:47
그렇죠? 자금이 어디로 좀 더 쏠리는지 볼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죠.

02:52
디파이나 스테이블 코인 쪽 상황은 어떤가요?

02:55
시장 총시가 총액은 한 973억 달러 수준이고요. 24시간 거래량이 눈에 띄게 늘었습니다. 18억 4천억 달러를 넘어서면서 전날 대비 17% 이상 크게 증가했어요.

03:06
우와 17%나요?

03:09
스테이블 코인 역시 시가총액 2842억 달러, 24시간 거래량 1274억 달러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이 스테이블 코인 거래량 증가는 시장 활동이 좀 활발해지고, 있다는 또 다른 신호로 볼 수 있겠습니다.

03:24
여기서 진짜 눈에 띄는 건 파생상품 시장인데요. 24시간 거래량이 무려 1조 2506억 달러 와 우리 돈으로 약 1778조 원. 이게 전일 대비 거의 24% 급증했어요.

03:39
맞습니다. 엄청난 증가세죠

03:42
네, 이건 그냥 거래량이 늘었다 이 정도가 아닌 것 같은데요.

03:45
정확하게 보셨습니다. 이 파생상품 거래량 급증은 트레이더들이 굉장히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특히 레버리지를 활용한 거래가 크게 늘었다는 걸 보여주는 거죠.

03:55
아하

03:56
최근 시장 상승세랑 맞물려서 가격 변동성에 베팅하는 움직임이 강해졌다. 이렇게 풀이할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종종 큰 변동성의 전조가 되기도 하고요.

04:08
그렇죠.

04:08
실제로 이거랑 관련된 아주 흥미로운 데이터가 있습니다.

04:11
레버리지 포지션 청산 소식 말씀이시군요. 바로 이어서 그 이야기 해보죠. 지난 24시간 동안 꽤 큰 규모의 청산이 있었다고요.

04:20
네 맞습니다. 약 1억 9368만 달러 우리 돈으로 한 2830억 원 정도 되는 규모의 레버리지 포지션이 청산됐습니다.

04:29
2830억 원이요.

04:31
여기서 주목할 부분은 청산된 포지션의 거의 대부분이 숏 포지션이었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가격 하락에 베팅했던 포지션들이죠.

04:39
숏 포지션이 대거 청산됐다. 아 그럼 예상과 달리 가격이 오르면서 손실 때문에 강제로 포지션이 정리됐다. 이런 의미군요. 그 쇼스 퀴즈 현상으로 볼 수 있겠네요. 비율이 어느 정도였나요?

04:52
네, 전체 청산 금액 중에서 숏 포지션이 1억 5284만 달러 이게 무려 78.9%를 차지했습니다.

05:00
78.9% 와

05:02
반면에 롱 포지션 청산은 21.1%에 불과했고요. 말씀하신 대로 최근 암호화폐 가격 상승이 이 쇼트 포지션을 가진 트레이더들한테 압박을 주면서 발생한 전형적인 쇼트 퀴즈로 분석됩니다.

05:15
이게 특정 거래소에서만 그런 건가요? 아니면 좀 전반적인 추세인가요?

05:20
거래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현상입니다. 지난 4시간 데이트만 좀 봐도요. 바이비트에서는 청산된 1400만 달러 중에 숏 포지션 비중이 거의 86%였고요.

05:31
86%요

05:32
바이랜스에서도 1191만 달러 청산 중에 숏 비중이 68%를 넘었습니다. 하이퍼리퀴드, 게이트IO, OKX 같은 다른 주요 거래소들도 숏 포지션 청산 비율이 대부분 70에서 80%대에 달했습니다.

05:48
이야 시장 전반에 걸쳐서 숏 커버링이나 강제 청산이 일어났다고 봐야겠네요.

05:54
네, 그렇습니다.

05:55
코인별로 보면 역시 비트코인이랑 이더리움 청산 규모가 제일 컸겠죠.

05:59
네 맞습니다. 비트코인 관련 포지션 청산액이 8749만 달러로 전체 45% 이상이었고요. 이더리움이 7893만 달러로 약 41% 정도를 기록했습니다.

06:11
거의 뭐 둘이 합쳐서 86% 이상이네요.

06:15
이 두 코인이 청산 규모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 셈이죠. 솔라나도 89만 달러로 적지 않았고 나머지 알트코인들 다 합쳐서 한 1726만 달러 정도 됐습니다.

06:26
이렇게 숏 포지션이 대규모로 청산되는 걸 보면 단기적으로는 상승 압력이 꽤 강하다 이런 신호로 읽히긴 하네요. 그렇죠? 근데요. 불과 한 열흘 전쯤에는 완전 반대 상황 아니었나요? 그때 비트코인 급락하면서 엄청난 규모의 롱 포지션이 청산됐던 기억이 나는데

06:43
정확히 기억하고 계시네요. 맞습니다. 10월 10일하고 11일 사이에 비트코인 가격이 고점 대비 거의 14% 가까이 급락했었죠.

06:51
네 그때 정말 시장에

06:53
특히 10월 10일에는 196억 달러 청산이라는 이게 역대 최대 1일 청산 기록이기도 했어요.

07:00
196억 달러 하루 만에요.

07:03
그렇게 롱 포지션이 대거 청산된 지 얼마 안 돼서 이번에는 또 숏 포지션이 청산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는 겁니다. 그만큼 최근 시장 변동성이 정말 극심하고 또 레버리지 포지션 청산이 변동성을 더 키우는 그런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07:20
단기간에 이렇게 큰 규모의 롱쇼 청산이 번갈아 일어난다는 건 무라까 시장 참여자들이 방향성에 대해 확신을 갖기 좀 어렵다는 뜻으로도 볼 수 있겠네요.

07:30
그럴 수 있습니다.

07:31
이런 변동성 속에서 다음 주에는 또 시장에 영향을 줄 만한 중요한 일정들이 많다고 하셨잖아요. 하나씩 좀 자세히 보죠. 우선 그 토큰 언락 이슈부터 볼까요?

07:42
네, 다음 주에는 몇몇 주요 프로젝트의 대규모 토큰 언락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가장 좀 주목받는 건 크로스체인 메세징 프로토콜인 레이어 제로의 ZRO 토큰인데요.

07:54
아 레이어제로

07:56
네, 한국 시간으로 10월 20일 저녁 8시에 약 2571만 개의 ZRO 토큰이 언락될 예정입니다. 이게 전체 공급량의 7.86%에 해당하거든요. 꽤 큰 분량이죠.

08:10
7.86%면 상당한데요. 시세로 따지면 어느 정도 규모인가요?

08:16
현재 시세로 대략 한 5천만에서 6천만 달러 규모 정도로 추산됩니다.

08:21
아 5천에서 6천만 달러 전체 공급량의 거의 8%면 정말 무시 못할 규모네요. 이런 락은 보통 시장의 매도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런 우려가 있잖아요.

08:32
그렇죠.

08:32
이번 ZRO 언락은 좀 어떻게 보세요? 뭐 이전에 다른 대형 언락 사례들이랑 비교했을 때 좀 특징 같은 게 있을까요?

08:41
네, 좋은 질문입니다. 과거에 뭐 앱토스나 아비트럼 같은 대형 프로젝트들 락 사례를 보면요. 단기적으로는 분명히 매도압력이 증가하면서 가격에 좀 부담을 주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특히 초기 투자자나 팀 물량이 풀릴 때 더 그럴 가능성이 높죠.

08:57
음 그렇죠.

08:59
지하로의 경우에도 단기적인 가격 변동성은 불가피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장기적으로 보면 이게 프로젝트 로드맵에 따라서 예정된 유통용 공급이라는 점도 있거든요.

09:10
아 예정된 수순이다.

09:12
그래서 시장이 이 물량을 얼마나 잘 소화하느냐가 중요합니다. 레이어 제로 생태계가 얼마나 활성화되어 있는지 또 ZRO 토큰의 활용처가 얼마나 확대되는지 이런 것들이 소화 능력을 좌우할 수 있겠죠. 그리고 지난번 대형 언락대랑 좀 비교해보면 지금 시작의 전반적인 투자 심리가 그래도 상대적으로 좀 양호하다는 점 이건 좀 긍정적인 요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09:35
그렇군요. 레이어 제로 말고 또 다른 연락 일정도 있나요?

09:39
네 있습니다. 10월 23일에는 NFT 마켓 플레이스 관련 프로젝트인 조라 토큰이 약 1억 6667만 개 언락됩니다. 전체 공급량의 한 4.5% 수준이고요.

09:51
조라도 있군요.

09:52
그리고 25일에는 플라즈마 파이낸스의 XPL 토큰이 8888만 개 풀립니다. 이게 약 9천만 달러에 해당하니까 이것도 비교적 큰 규모죠.

10:03
9천만 달러

10:04
네, 이런 언락들이 이렇게 연달아 예정되어 있다는 점은 다음 주 시장의 단기 수급에는 분명한 변수가 될 겁니다.

10:11
알락 말고도 에어드롭이나 토큰 생성, 이벤트, 티지 이런 것도 있다고요.

10:16
네 있습니다. 프라이버시 강화 기능을 갖춘 레이어 원 블록체인을 목표로 하는 미드나이트 프로젝트의 NIGT 토큰 1차 에어드랍 글레이시어 드랍의 클레임 신청이 10월 20일에 마감됩니다.

10:30
아 미드나이트

10:32
그리고 솔라나 기반의 유동성 프로토콜인 메테오라는 10월 23일에 자체 토큰 MET의 TGE 즉 토큰 생성 이벤트와 함께 초기 거래소 상장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10:44
메테오라도요

10:46
이런 이벤트들도 관련 생태계에는 활력을 줄 수 있지만 동시에 초기 매도 물량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점은 염두에 둬야겠죠.

10:54
네, 이런 공급 측면 이슈 외에 기술적인 진전 소식도 중요해 보입니다. 특히 이더리움 다음 업그레이드 소식이 있던데요.

11:02
맞습니다. 이더리움은 푸사카라는 코드명의 다음 주요 업그레이드를 준비 중인데요. 현재 관련 테스트넷이 10월 중에 가동되고 있습니다.

11:12
테스트 다 진행 중이군요.

11:14
이 프사카 업그레이드의 핵심 목표는 EIP7702 같은 걸 통해서 사용자 경험 UX를 개선하고 동시에 EIP7547 인클루전 리스트라고 하죠. 이걸 도입해서 검증자, 즉 밸리데이터 운영 부담을 줄여서 네트워크의 탈중앙성을 강화하는 데 있습니다.

11:32
그렇군요. 메인넷 적용은 언제쯤 목표인가요?

11:36
메인넷 적용 목표 시점은 12월 3일로 잡혀 있습니다. 이더리움의 지속적인 발전을 보여주는 중요한 마이스톤이라고 할 수 있죠.

11:44
사과 업그레이드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까요? 특히 뭐 노드 운영 비용 절감이나 확장성 개선 이런 측면에서요.

11:55
푸사가 직접적으로 샤딩 같은 확장성 솔루션을 바로 도입하는 건 아닙니다.

12:01
아 그런 건 아니고요. 하지만 그 Inclusion List 도입이 MEV 최대 추출 가능 가치 관련 이슈를 좀 완화하고 블록 제한 과정을 더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거든요. 그래서 간접적으로 네트워크 처리량이나 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12:18
간접적인 효과군요.

12:19
네, 그리고 향후에 있을 Dank, Sharding 같은 본격적인 확장성 업그레이드를 위한 기반을 다지는 역할도 하구요. 그래서 단기적인 비용 절감 효과보다는 중장기적인 네트워크 건전성이나 확장성 로드맵의 일환으로 이해하는 게 더 정확합니다.

12:36
했습니다. 이더리움 말고 다른 플랫폼 소식은 어떤가요? 아까 솔라나 얘기도 잠깐 나왔는데 뭔가 기대감이 있는 것 같던데요.

12:44
네 맞아요. 솔라나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10월 중에 뭔가 중요한 발표가 있을 거다. 이런 기대감이 돌고 있습니다.

12:51
어떤 내용일까요?

12:52
아직 뭐 공식적으로 확인된 내용은 없지만요. 솔라나 페이 솔라나 페이랑 연계된 새로운 결제 서비스라던가 아니면 실물 카드 형태의 제품 출시 뭐 이런 것과 관련된 게 아니냐는 루머가 좀 있습니다.

13:05
실물 카드요 만약 사실이면

13:07
네, 만약 사실이라면 솔라나의 실사용 사례를 크게 확장하는 계기가 될 수 있겠죠. 또 기관 투자자들을 위한 움직임도 있습니다. 코인베이스가 10월 20일에 자사 파생상품 플랫폼에 수의 선물 상품을 상장합니다.

13:20
아 수의 선물 상품

13:22
네, 이건 기관이나 전문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알트코인 파생상품 선택지를 좀 더 넓혀준다는 의미가 있겠습니다.

13:29
기술개발만큼이나 규제 환경 변화도 시장의 큰 변수잖아요. 특히 다음 주는 ETF 관련해서 중요한 결정들이 많이 몰려 있네요. 그렇습니다. 먼저 영국 소식부터 좀 보면요. 금융감독청 FCA가 자산운용사 위즈덤트리가 발행한 비트코인하고 이더리움 ETP 상장지수 상품이죠. 여기에 대해서 일반 투자자들의 거래를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13:54
아 영국에서요

13:56
10월 20일 시작되는 주간부터 순차적으로 거래가 가능해질 예정인데요. 이건 영국 시장에서도 암호화폐 투자 접근성이 확대된다. 이런 의미가 있습니다.

14:07
그렇군요. 그래도 역시 가장 큰 관심은 미국 SEC 결정일 텐데요. 특히 리플 XRP 현물, ETF 승인 여부. 이게 정말 초미의 관심사죠.

14:17
맞습니다. 다음 주에 여러 자산운용사들이 신청한 XRP 연물 ETF에 대한 SEC의 결정 기한이 정말 줄줄이 다가옵니다.

14:26
줄줄이요.

14:27
네, 비트와이즈 신청 건에 대한 결정 기한이 10월 20일이고요. 케너리 캐피털이 23일에서 24일 사이 그리고 위스덤 트리와 코인 쉐어스가 25일에 각각 기한을 맞습니다.

14:40
와 정말 며칠 간격으로 계속 있네요. SEC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시장이 정말 숨죽여 지켜보겠는데요. 그렇죠? 만약에 정말 만약에 하나라도 승인이 된다면 이게 비트코인이랑 이더리움 빼고 주요 알트코인으로는 첫 현물이 ETF가 되는 거잖아요. 파급력이 상당할 것 같은데요.

14:59
맞습니다. 그 의미가 굉장히 크죠

15:02
다만 그 미국 정부 셧다운 가능성이라는 변수도 있지 않습니까?

15:06
아 네. 그 점도 꼭 고려해야 합니다. 지금 미국 정치권의 예산안 협상 추이에 따라서 연방 정부의 일시적 업무 정지 즉 셧다운 가능성이 계속 제기되고 있거든요. 그렇죠? 만약에 셧다운이 현실화된다면 SEC의 심사나 결정 일정이 당연히 지연될 수 있습니다.

15:23
그럼 또 미뤄지는 거군요.

15:25
그래서 ETF 승인 여부뿐만 아니라 이 셧다운 리스크가 어떻게 해소되는지도 함께 지켜봐야 할 중요한 변수입니다.

15:34
알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다음 주에 예정된 주요 글로벌 행사들도 좀 간단히 짚어주시죠. 업계 동향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5:44
10월 22일부터 23일까지 영국 런던에서는 런던 블록체인 컨퍼런스가 열립니다. AI와 블록체인의 융합이라던가 실물자산, 토큰화, RWA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예정이고요.

16:00
AI와 블록체인 융합 RWA 중요하죠.

16:04
네, 그리고 23일에는 미국 뉴욕에서 월스트리트 블록체인 얼라이언스 서밋이 개최됩니다. 여기서는 기관 투자자들의 암호화폐 시장 참여 확대, 또 규제 표준화 방안, 전통, 금융 시스템과의 연계 이런 부분들이 좀 심도 있게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16:23
뉴욕에서는 기관 투자자들 이야기가 많이 나오겠네요. 아 라스베가스에서는 머니 2020 USA 행사도 열리는군요. 마이크로 스트레티지의 마이클 세일러 회장이 기조연설을 한다고요.

16:35
네, 10월 26일부터 29일까지 열리는 머니 2020 USA는 세계적인 핀테크 및 금융 서비스 콘퍼런스입니다. 대표적인 비트코인 맥시멀리스트로 꼽히는 마이클 세일러 회장이 기조연설자로 나서는데요.

16:51
그렇죠. 워낙 유명하죠.

16:52
네, 그의 비트코인 보유 전략이나 시장 전망에 대한 발언은 뭐 언제나 큰 주목을 받기 때문에 이번에도 많은 관심이 쏠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17:01
와 정말 숨 가쁜 한 주가 예상되네요. 토큰 언락부터 기술 업그레이드, ETF 결정, 글로벌 컨퍼런스까지. 자 그럼 이 모든 정보들을 좀 종합해서 이번 주 시장을 바라보는 핵심 관전 포인트랄까요? 전망을 좀 정리해 보겠습니다. 어떤 점들을 좀 눈여겨봐야 할까요?

17:20
앞서 계속 말씀드렸듯이 다음 주는 공급 확대 요인 그러니까 토큰 언락 같은 거죠. 그리고 기술적 기대감 뭐 ETH 업그레이드 같은 거요. 마지막으로, 정책적 변수, 즉 ETF결정 이 세 가지가 서로 교차하고 또 충돌하는 매우 복잡한 구간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17:40
공급 기술 정책 이 세 키워드군요.

17:44
각 요인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시장의 변동성을 키울 수 있습니다.

17:49
그럼 좀 더 구체적으로 풀어볼까요? 단기적인 시장 흐름에는 어떤 영향들을 예상해 볼 수 있을까요?

17:55
우선 그 레이어 제로를 필두로 한 대규모 토큰 언락이나 에어드론 물량 이게 단기적으로는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측면도 있겠지만, 동시에 매도 압력으로 작용해서 가격조정을 유발할 위험이 있습니다.

18:09
그렇죠. 물량이 풀리니까요?

18:12
특히 최근에 쇼스퀴즈 때문에 단기 급등했던 만큼 차익 실현 욕구랑 맞물리면 조정 폭이 커질 수도 있고요. 반면에 이더리움 푸사카 테스트넷 진행이나 솔라나의 잠재적 호재 같은 기술을 관리한 기대감은 여전히 살아있습니다. 또 XRP 현물 ETF 승인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에 이미 좀 선반영되고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죠.

18:34
결국 단기적으로는 상생 요인이랑 하락 요인이 아주 팽팽하게 맞서는 그런 형국이네요.

18:40
그렇다고 볼 수 있습니다.

18:41
그렇다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어떤 점이 중요할까요?

18:45
중장기적으로는 역시 이더리움의 푸사카 업그레이드가 성공적으로 메인넷에 안착하는지 그리고 XRP 현물 ETF 승인 여부와 그 이후에 다른 알트코인 ETF로 확정될 가능성 이게 중요합니다.

18:58
아 푸사카 안착과 ETF 확장 가능성

19:02
네, 푸사카 업그레이드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장기적인 경쟁력과 직결되는 문제이고요. XRP, ETF 승인은 알트코인 시장 전반에 대한 제도권의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는 강력한 시그널이 될 수 있습니다.

19:16
그렇죠. 그 상징성이 크죠

19:18
네, 이 두 가지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진행된다면 뭐 단기적인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중장기적인 상승 추세에 힘을 실어줄 수 있습니다.

19:27
그렇군요. 단기 변동성에 대비하면서도 이 중장기적인 큰 그림을 놓치지 않아야 하는 그런 시점이네요. 마지막으로, 투자자 입장에서 이번 주 시장을 지켜보면서 특히 좀 유의해야 할 점이나 주목해야 할 지표가 있다면 뭘까요?

19:44
네, 몇 가지 포인트를 좀 짚어드리겠습니다. 첫째는 레버리지 청산 동향을 계속 주시하셔야 합니다. 특히 숏 포지션 청산 비율이 다시 높아지는지 아니면 반대로 롱 포지션 청산이 늘어나는지 이걸 보면서 시장의 과열 또는 냉각 신호를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20:01
청산 비율 변화

20:03
둘째는 지하로 제트와 같은 주요 토큰 언락 이후에 해당 토큰들의 가격 추이나 거래량 변화를 좀 면밀히 관찰하셔야 합니다. 언락 물량이 시장에 미치는 실제 영향력을 가늠해 볼 수 있겠죠.

20:17
언락 후 가격 추이

20:19
셋째, XRP 현물 ETF 관련해서 SEC의 발표 내용을 주시해야 합니다. 단순 승인이나 거부 결과뿐만 아니라 SEC가 어떤 논리를 제시하는지에 따라서 향후 다른 알트코인 ETF에 대한 전망도 달아질 수 있거든요.

20:34
SEC의 논리까지 봐야 하는군요.

20:37
마지막으로, 런던이나 뉴욕 등에서 열리는 컨퍼런스에서 나오는 기관 투자자들의 stance 변화나 규제 관련 발언들 이것들도 중장기적인 시장 방향성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20:49
정책 이 세 가지 키워드가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분기점이 될 수 있겠네요.

20:56
네 맞습니다.

20:56
각 변수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면서 시장을 이끌어갈지 정말 면밀히 지켜봐야겠습니다. 자, 오늘 저희가 준비한 깊이 있는 분석은 여기까지입니다.

21:07
분명 쉽지는 않겠지만, 그만큼 또 흥미로운 한 주가 될 겁니다. 다양한 정보 속에서 핵심을 잘 짚어내시고 여러 변수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시면서 신중하게 시장을 바라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21:19
네 좋습니다. 그럼 저희는 다음 시간에 더 유익한 정보와 분석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지금까지 토큰포스트 모닝브리핑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1:28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기술분석] ‘Uptober’는 취소됐다? 비트코인 10만 달러 붕괴 뒤, 시장은 다시 숨 고르기

[기술분석] ‘Uptober’는 취소됐다? 비트코인 10만 달러 붕괴 뒤, 시장은 다시 숨 고르기

미국 정부, 하루 만에 비트코인($BTC) 보유량 64% 급증…시장 불확실성 속 '국가 전략' 주목

미국 정부, 하루 만에 비트코인($BTC) 보유량 64% 급증…시장 불확실성 속 '국가 전략' 주목

댓글

댓글

2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광란의셔터

09:26

등급

토큰부자

08:33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광란의셔터

2025.10.20 09:26:51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5.10.20 08:33:00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