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최근 상승세 뒤에 맞이한 변동성 장세에서 방향성을 찾지 못하며 약 15만 2,900달러(약 2억 1,241만 원)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다. 주요 기술적 지표들은 상승 동력이 둔화됐음을 시사하며 매수세와 매도세 간 치열한 줄다리기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이 가운데, 다수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이 단기적으로 10만 달러(약 1억 3,900만 원) 지지선을 안정적으로 방어할 수 있을지 여부가 향후 흐름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진단한다.
일간 차트에서는 비트코인이 수개월 간 유지해온 상승 채널을 이탈한 뒤, 최근에는 하락한 15만 2,900달러(약 2억 1,241만 원)를 아래에서 다시 테스트하고 있는 모습이 포착됐다. 이 구간은 100일 이동평균선과 겹쳐지는 지점으로, 시장이 재차 상승 흐름을 추세 전환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해당 레벨의 회복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상대강도지수(RSI)는 45선을 맴돌며 시장 참여자들의 매수 의지 둔화와 방향성 부재를 반영하고 있다.
반면 4시간 차트에서는 비교적 긍정적인 시그널도 포착됐다. 비트코인은 최근 하락 채널에서 벗어난 뒤 가격 반등에 나섰으나, 단기 고점인 15만 7,100달러(약 2억 1,873만 원) 부근에서 저항을 받으며 다시 지지선 구간인 15만 2,900달러~15만 1,500달러(약 2억 1,241만 원~2억 1,025만 원) 영역으로 되돌아왔다. RSI는 50선 부근에서 균형을 유지하고 있어, 다음 움직임에 따라 상하단 모두 열려 있는 기로에 서 있음을 시사한다. 분석가들은 해당 지지선이 유지된다면 다시 15만 7,100달러나 16만 2,400달러(약 2억 2,561만 원) 고점을 시도할 수 있다고 평가하는 한편, 지지선이 붕괴될 경우 14만 4,600달러(약 2억 78만 원) 인근 공백구간이 주요 하락 타깃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자선적인 투자심리를 대변하는 시장 펀딩 비율도 눈길을 끈다. 거래소 전반에서 비트코인 펀딩비는 플러스를 유지하고 있으나 극단적인 수준은 아니며, 여전히 일부 롱 포지션이 우위를 점하고 있는 구도로 풀이된다. 이는 올해 초 급등장과 대비했을 때 과열이 한풀 꺾였음을 의미하며, 오히려 새로운 상승 랠리를 위한 기반 다지기 국면일 수 있다는 낙관론도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펀딩비의 안정세가 이어진다면 일시적 하락에도 불구하고 장기 베팅은 유지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현 시점은 비트코인의 10만 달러 지지선과의 힘겨루기가 핵심 변수다. 해당 수준이 지켜진다면 다시금 사상 최고가(약 17만 2,400달러, 약 2억 3,948만 원)에 도전할 가능성도 열려 있지만, 무너질 경우 시장은 극심한 불확실성에 직면할 수 있다. 향후 며칠간의 흐름이 비트코인 상승기의 지속 가능성을 가늠할 중요한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