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심리가 다시 ‘상승’ 모드로 전환되고 있다. XWIN 리서치가 발표한 새로운 지표에 따르면, XWIN 트렌드 지수는 100점 만점에 72점을 기록하며 ‘완만한 상승세(mild uptrend)’ 구간에 진입했다. 시장 전반에 여전히 ‘극단적 공포’ 분위기가 존재하지만, 실제 수요와 유동성 흐름은 신중한 강세장을 뒷받침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트렌드 지수의 회복은 최근 비트코인의 가격 움직임과도 맞물려 있다. 비트코인은 최근 11일간 약 99,500달러(약 1억 4,632만 원)에서 86,500달러(약 1억 2,703만 원)로 하락한 뒤 고점 대비 조정 중이며, 현재 91,000달러(약 1억 3,376만 원) 부근에서 회복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다수의 ETF 매수 평균 가격인 82,000달러(약 1억 2,044만 원)와 단기 보유자 기준가격인 85,500달러(약 1억 2,556만 원)를 각각 상회하는 수준이다.
XWIN은 트렌드 지수 60~79점대를 ‘완만한 상승’ 국면으로 분류하며, 폭발적 상승보다는 건전한 회복세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실제로 비트코인이 92,000달러(약 1억 3,510만 원)에 근접하며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이 1,300억 달러(약 190조 원)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과 고래 투자자들의 움직임도 흥미롭다. XWIN이 인용한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1만 BTC 이상을 보유한 고래 주소들이 다시 순매수로 돌아섰으며, 1,000~10,000 BTC 보유자뿐 아니라 1 BTC 미만 보유 지갑까지 꾸준한 매수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코인텔레그래프 자료에 따르면 세계 100대 상장 기업이 합산 1,058,000 BTC 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 비축’ 트렌드가 점차 투자 핵심 논리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레버리지 청산 흐름도 눈에 띈다. 지난 24시간 동안 중앙화 거래소에서 3,959 BTC가 순유출됐으며, 이번 사이클 최대 규모의 선물 미청산 잔고가 450억 달러(약 66조 1,915억 원)에서 280억 달러(약 41조 1,236억 원)로 감소했다. 이는 과도한 레버리지가 어느 정도 해소되고, 현물 기반 수요가 회복되고 있다는 신호로 읽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 공포·탐욕 지수는 여전히 ‘극단적 공포’ 구간인 22를 기록하고 있어 투자심리는 여전히 냉각돼 있다. XWIN은 많은 투자자들이 80,000달러(약 1억 1,750만 원) 수준을 ‘공정가치’로 간주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시장이 바닥 다지기를 준비 중이라고 판단한다.
한편, 11월 28일 만기를 맞는 147,000 BTC 규모의 옵션 계약(약 130억 달러, 약 19조 6,931억 원)은 단기 변동성을 자극할 수 있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XWIN은 가격이 93,000~94,000달러(약 1억 3,654만~1억 3,801만 원)를 돌파할 경우, 상징적 저항선인 100,000달러(약 1억 4,687만 원)까지 열릴 수 있다고 보았고 반대로 85,500달러 아래로 붕괴될 경우 추가 하락도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알트코인은 여전히 부진하다. 11월의 하락으로 대부분 주요 종목이 고점 대비 50% 이상 하락한 가운데 ETH는 3,000달러(약 440만 원)를 회복하며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메인넷 블록 가스 한도 상향, 토큰화된 MMF 등의 시범 도입으로 인해 이더리움은 신규 상승 사이클 초기국면에 접어들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 시장 해석
극단적 공포가 시장 심리를 지배하고 있지만, 고래의 매수세와 기업 수요 확대, 레버리지 청산 효과 등은 비트코인의 중기적 상승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 전략 포인트
규모 있는 옵션 만기가 단기 변동성을 자극할 수 있는 만큼, 향후 93,000달러 돌파 여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래 매수 움직임·현물 유출세도 주요 추적 지표로 활용 가능하다.
📘 용어정리
- 트렌드 지수(Trend Index): 시장 방향성과 강도를 수치화한 지표로, 통상 60~79 구간은 ‘완만한 상승’, 80 이상은 ‘강한 상승’으로 분류됨
- 옵션 만기(Expiry): 일정 시점에 정해진 조건으로 계약을 이행시키는 파생상품의 만료 시점으로, 대규모 만기 시 시장에 급격한 유동성 유입 또는 청산이 발생할 수 있음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