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WEB3기후테크] GESIAPlatform, “탄소 배출 데이터 실시간 검증 시스템 구축…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전환 가속”

1
1

GESIAPlatform이 5월 22일 ‘Web3 기후테크 포럼 2025’에서 기업별 탄소 배출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검증·자산화하는 시스템을 발표했다. 해당 시스템은 블록체인과 AI, IoT 기술을 접목해 탄소 배출 감축 크레딧의 디지털화 및 실시간 검증을 목표로 한다.

GESIAPlatform이 5월 22일 ‘Web3 기후테크 포럼 2025’에서 기업별 탄소 배출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검증·자산화하는 시스템을 발표했다. 해당 시스템은 블록체인과 AI, IoT 기술을 접목해 탄소 배출 감축 크레딧의 디지털화 및 실시간 검증을 목표로 한다.

발표를 맡은 GESIAPlatform 최고지식책임자(CKO) 하우성 이사는 “기존 탄소 배출 감축 활동은 데이터 불투명성과 검증 어려움, 인센티브 구조 부재 등으로 실효성이 낮았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기반 실증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밝혔다.

탄소 배출 데이터 자동 수집·검증… 클리머 AI·ZKP 연계

GESIAPlatform의 실증 시스템은 IoT 센서를 통해 탄소 배출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자체 개발한 AI 모델 ‘클리머 AI’가 분석하는 구조다. 이 데이터는 영지식증명(ZKP)을 활용해 외부에 민감한 정보를 노출하지 않고 검증 가능하도록 구성됐다.

관계자는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탄소 배출 데이터를 공개하기 꺼리는 현실을 반영해, ZKP로 실명을 드러내지 않고도 탄소 배출량을 검증할 수 있는 방식을 채택했다”고 설명했다.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토큰화… 배출·감축·상쇄 체인으로 구성

GESIAPlatform은 배출, 감축, 상쇄 등 세 가지 체인을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아키텍처를 도입했다. 탄소 배출 계수는 IoT 센서를 통해 실시간 측정되며, 데이터는 ‘배출 확장 토큰’이라는 형식으로 기록된다. 이 데이터는 ‘중립 체인’에서 감축 여부를 확인하고, 감축이 확인되면 탄소 감축 크레딧이 생성된다.

탄소 상쇄는 별도로 산림청 산하 한국임업진흥원 등의 흡수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처리되며, 감축이 아닌 흡수 기반의 상세 크레딧만이 소각 대상이 된다.

한국임업진흥원 등 실증 사업 진행 중

현재 GESIAPlatform은 한국임업진흥원과 탄소 흡수량 기반 크레딧 마켓플레이스를 공동 개발 중이다. 부산 정관에너지와는 태양광 발전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감축 활동 검증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향후 NZP라는 인센티브 포인트를 소비자에게 보상하는 모델도 계획하고 있다.

데이터 중심 블록체인으로 신뢰도 강화

GESIAPlatform은 금융 중심이 아닌 데이터 중심의 블록체인을 도입해, 탄소 흡수량 및 배출량 데이터를 공공 레지스트리처럼 관리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거래소가 해당 데이터를 활용해 탄소 크레딧을 거래할 수 있도록 API 기반의 접근성을 제공할 예정이다.

관계자는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투명하게 기록하는 역할에 집중하며, 외부 거래소들이 자유롭게 접속해 활용할 수 있도록 열려 있는 구조를 설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FIFA, 블록체인 파트너로 아발란체 선정…팬 참여 혁신 나선다

[WEB3기후테크] GESIAPlatform, “탄소 배출 데이터 실시간 검증 시스템 구축…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전환 가속”

댓글

1

추천

1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사계절

20:34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5.22 20:34:09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