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팟캐스트] 디파이에서 고정 수익을? Treehouse의 도전과 구조 분석

1
2

이번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에서는 토큰포스트에 게재된 제이플레이랩스 리서치를 바탕으로, 고정 수익이라는 전통금융의 개념을 디파이에 접목한 트리하우스 파이낸스의 실험을 깊이 있게 들여다봅니다. DOR 기준금리 시스템과 tAssets 구조, cmETH 확장 사례까지, 예측 가능한 수익 모델의 가능성과 한계, 그리고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방법까지 함께 살펴보시죠.

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입니다. 오늘은 그 디파이 세계에서 고정수위라는 상당히 흥미로운 길을 만들고 있는 트리하우스파이낸스에 대해 좀 깊게 파고들어 볼까 합니다. 오늘 참고하는 자료는 토큰포스트에 5월 22일자로 올라온 제이플레이 랩스의 리서치입니다. 특히 이게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 시장에서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만들려고 한다는 점이 저는 좀 흥미롭더라구요. 맨틀 네트워크의 cmETH 확장 사례도 중요하고 트리하우스의 핵심 제품이라든지. 최근 펀딩 소식 그리고 청취자 여러분께서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방법까지 한번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진행자
네 맞습니다. 전통 금융에서는 사실 익숙한 개념이잖아요. 고정 수익이라는 게 이걸 이제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가져오려는 시도인데 이게 디파이 생태계에 어떤 의미가 있을지 그 구조랑 가능성을 한번 같이 짚어보죠.

토큰포스트
좋습니다. 그럼 먼저 트리하우스가 정확히 뭘 하려는 건지 그것부터 좀 확실히 할까요? 그러니까 복잡한 디파이 환경 속에서도 은행 예금처럼 예측 가능한 이자를 받을 수 있게 하겠다. 이런 거죠.

진행자
네 바로 그거죠. 디파이가 뭐 수익률은 높을 수는 있지만 변동성이 너무 크잖아요. 그래서 안정성을 원하는 수요가 분명히 있거든요. 트리하우스는 바로 그 부분을 예측 가능성을 제공해서 충족시키려는 겁니다. 이를 위해서 핵심적인 구성 요소 두 가지를 만들었죠. 그게 바로 DOR하고 tAssets입니다. 자 DOR (Decentralized Offered Rates) 이걸 먼저 보면요 이건 뭐랄까 디파이 세계의 기준금리 시스템이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좀 쉬울 것 같아요. 온체인 데이터를 투명하게 다 보면서 누구도 마음대로 바꾸지 못하는 그런 금리 기준을 만들고요. 이걸 기반으로 이제 다양한 금융 상품들이 나올 수 있게 하는 거죠.

토큰포스트
기준금리요

진행자
네 여기에는 패널리스트(Panelists)와 이를 지원하는 델리게이터 (Delegators)라는 참여자들이 있는데요. 이 사람들이 금리를 예측하고 잘 맞추면 보상을 받고 틀리면 패널티 그러니까 슬래싱(Slashing) 페널티를 당하게 해서 시스템 신뢰도를 높이는 구조예요.

토큰포스트
상당히 정교하네요. 그럼 그 기준금리를 바탕으로 실제 사용자들이 쓰는 상품 그게 tAssets인가요? 첫 상품 tETH는 이더리움 기반이라고 들었는데요.

진행자
네 정확합니다. tAssets는 여러 디파이 프로토콜에 막 흩어져 있는 금리들을 통합해서 활용하는 LST 유동화된 스테이킹 토큰이에요. 예를 들어 tETH는 이더리움을 예치하면 받는 건데요.

토큰포스트

진행자
그냥 기본적인 이더 스테이킹 보상만 받는 게 아니라 시장 효율성 이자 MEY라고 부르는데 이걸 통해서 추가 수익을 더 좋아요.

토큰포스트
아 MEY(시장 효율성 이자)

진행자
시장 안에 있는 여러 금리 차이를 이용해서 추가 수익을 만드는 조금 더 적극적인 이자 농사 같은 개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이런 기술력을 바탕으로 최근에 또 좋은 소식이 있었잖아요. 트리하우스가 4억 달러 가치를 인정받으면서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구요. 글로벌 생명보험사 벤처 쪽에서 주도하고, Paxos 창업자 같은 업계 유명인사들도 참여했다면서요

진행자
아 네네 이 부분이 상당히 의미가 깊습니다. 단순하게 돈을 투자 받았다. 이걸 넘어서요 그 전통 금융기관 특히 보험사처럼 좀 보수적이고 안정적인 장기 수익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곳들이 디파이 고정 수익 모델에 주목하기 시작했다는 거거든요.

토큰포스트
아하 그만큼 신뢰를 얻고 있다는 거군요.

진행자
그렇죠. 이 모델의 잠재력이나 안정성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인정을 받고 있다는 강력한 신호죠 그리고 또 맨틀, Arbitrum 같은 L2 네트워크로 빠르게 확장하는 것도 주목할 만해요. L2 는 이더리움의 고질적인 문제인 속도나 가스비 문제를 해결해 주잖아요.

토큰포스트
네, 그렇죠.

진행자
특히 맨틀 네트워크에서 나온 cmETH 볼트 같은 경우는 사용자가 멘틀에서 직접 예치하고 추가 보상까지 받을 수 있으니까 아주 좋은 확장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그럼 이제 청취자 여러분께서 직접 이 흐름에 좀 참여해보고 싶다. 하시면 어떻게 해야 할지 구체적인 방법을 좀 알아볼까요? 일단 tETH를 얻으려면 이더리움이나 아비트럼 네트워크에서 뭐 ETH나 WETH 같은 걸 예치하면 된다. 이거죠.

진행자
네 맞아요. 그렇게 해서 tETH를 받으면 이걸 그냥 가지고만 있어도 트리하우스의 포인트 그 Nuts라는 포인트랑 스테이킹 이자 그리고 아까 말한 에미와의 수익까지 얻게 되는 거구요.

토큰포스트
보유만 해도요

진행자
근데 여기서 끝이 아니고 이걸로 더 수익을 늘릴 수도 있어요. 예를 들면 컴파운드나 에이브 같은 데다가 tETH를 담보로 맡기고 다른 걸 빌리거나 아니면 팬들 같은 수익률 거래 프로토콜에서 활용하는 방법도 있구요.

토큰포스트
디파이 레고처럼 활용하는 거군요.

진행자
그렇죠. 소위 말하는 루핑 전략이라고 빌린 걸로 다시 tETH를 사서 또 담보로 맡기고 이걸 반복하면요 이론상으로는 연 32%까지 추가 APR이 가능하다고 해요.

토큰포스트
와 32%요 엄청나네요.

진행자
근데 이건 정말 중요한데요. 레버리지가 엄청 높은 방식이라서 시장이 조금만 안 좋아져도 청산될 위험이 아주 크다는 거 이건 반드시 알아두셔야 합니다. 고수익엔 고위험 이거 절대 잊으면 안 돼요.

토큰포스트
네 명심해야겠네요. 그럼 cmETH는 맨틀 네트워크의 볼트를 통해서 참여하고 Nuts 포인트 말고도 뭐 Eigen나 Symbiotic 같은 리스테이킹 관련 보상도 추가로 받을 수 있다. 이런 건가요? 멤버십 NFT 그 Squirrel Council NFT가 있으면 보상이 더 늘어난다고도 하구요.

진행자
네 맞습니다. cmETH는 맨틀 생태계에 특화된 상품으로 보시면 되고 추가적인 보상 기회가 더 있는 거죠.

토큰포스트
자 그럼 오늘 이야기 좀 정리해 보겠습니다. 트리하우스 파이낸스는 DOR와 tAssets라는 독특한 시스템으로 변동성 큰 디파이 시장의 안정적인 고정 수익 모델을 만들려고 하고 있다.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도 갖고 있고 엘투 네트워크로 확장하면서 빠르게 성장 중이다. 그리고 청취자 여러분도 tAssets나 cmETH를 통해 이 새로운 금융 흐름에 직접 참여해서 다양한 수익 기회를 찾아볼 수 있다. 이렇게 요약할 수 있겠네요.

진행자
전통 금융의 장점인 안정성이랑 예측 가능성을 디파이의 혁신이랑 결합하려는 시도 자체는 정말 흥미롭습니다. 근데 과연 이런 고정 수익 모델들이 이 변동성 높은 암호화폐 시장의 근본적인 특성을 이겨내고 정말 누구나 믿고 투자할 수 있는 어떤 표준적인 투자 옵션 중 하나로 자리 잡을 수 있을까? 이게 앞으로 좀 계속 지켜봐야 할 중요한 질문인 것 같습니다.

토큰포스트
이상으로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였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1

추천

2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2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낙뢰도

22:18

등급 아이콘

엠마코스모스

16:27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엠마코스모스

2025.05.23 16:27:4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