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팟캐스트 Ep.88] “트론, 왜 이렇게 커졌나?” 2025 Q2 리포트로 보는 성장 비밀

댓글 4
좋아요 비화설화 8

2025년 2분기 트론은 시가총액 265억 달러, 수익 9억 1,590만 달러를 달성하며 견고한 성장을 이뤘으며, USDT 시가총액이 803억 달러에 달하며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칸트 메인넷 업그레이드와 주요 파트너십 확대를 통해 디플레이션 추세를 유지하고 네트워크 사용량이 증가하며 온체인 금융 환경의 선도적인 세력임을 입증했습니다.

 [팟캐스트 Ep.88] “트론, 왜 이렇게 커졌나?” 2025 Q2 리포트로 보는 성장 비밀

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 포스트 팟캐스트입니다. 오늘은 메사리 리서치가 낸 트론 2025년 2분기 현황 보고서 이거 같이 보면서 트론의 요즘 움직임 좀 깊이 파헤쳐 보려고 합니다. 트론 생태계에 뭐랄까 중요한 변화들 놓치지 않도록 저희가 핵심만 딱 모아왔으니까요? 같이 한번 보시죠. 자 우선 2025년 2분기인데 트론 성장이 진짜 대단합니다. 시가총액 이게 전 분기보다 17% 늘어서 265억 달러 와 이게 벌써 10분기 연속 성장이라네요.

진행자
네 맞아요. 요즘 같은 시장 변동성 생각하면 진짜 꾸준한 거죠. 수익도 20.5% 늘어서 9억 1590만 달러나 되구요.

토큰포스트
그렇죠. 10분기 연속 성장이라는 건 뭐 트론 네트워크가 계속해서 가치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아주 강력한 신호죠 특히 그 주목할 만한 게 수익 구조는 같이 가는 디플레이션인데요. 트론은 거래수수료로 받은 티알엑스를 소각하면서 수익을 내거든요. 근데 이번 분기에도 새로 발행된 것보다 소각된 티알엑스 양이 더 많았어요. 그래서 전체 유통량이 한 0.2% 줄었고요.

진행자
아 그래서 디플레이션이군요.

토큰포스트
시총 순위도 그래서 10위에서 8위로 올라갔죠 이런 디플레이션은 그만큼 네트워크가 활발하게 쓰이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구요.

진행자
네트워크 사용이 활발하다는 건 좋은 신호인데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이게 돌아가길래 이런 성과가 나는 걸까요?

토큰포스트
트론은 그 위임 지분 증명 DPOS 방식을 써요 그러니까 사용자들이 투표로 대표 노드들을 뽑는 거죠. 이 노드들이 이제 블록 만들고 검증하구요. 그리고 좀 독특한 게 에너지랑 대역폭이라는 자원 시스템이 있어요.

진행자
에너지락 대역폭이요. 네 TRX를 스테이킹 하거나 소각하면 이걸 얻을 수 있는데, 이걸로 거래 수수료를 내거나 스마트 컨트랙트를 돌리는 데 쓰는 겁니다. 이런 구조 자체가 네트워크 활동을 막 유도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는 거죠.

토큰포스트
아하 그렇군요. 전반적인 성장은 진짜 인상적인데 그럼 생태계 안쪽은 어떨까요? 예를 들어 디파이 같은 거요 여기선 약간 다른 얘기가 있네요. 총 예치 자산 그러니까 TVL이죠. 디파이에 묶인 돈 규모인데 달러 기준으로는 0.8% 아주 살짝 줄었어요.

진행자
네 소폭 감소했죠.

토큰포스트
그래도 뭐 46억 달러면 여전히 전체 5위니까 자리는 지킨 셈이네요.

진행자
그렇죠. 이더리움 솔라나 비트코인 비앤비 체인 바로 다음이니까요?

토큰포스트
근데 흥미로운 건요 1일 탈중앙화 거래소 DEX 거래량이 전 분기보다 25% 넘게 늘었다는 거예요. 25.2%나

진행자
맞아요. 그게 좀 재미있는 부분이죠.

토큰포스트
특히 썬 브이 쓰리라는 플랫폼이 전체 DEX 거래량의 한 74%를 차지하면서 거의 뭐 시장을 이끌고 있더라구요. TVL은 살짝 주춤했는덱스 거래량은 늘었다 이걸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진행자
네 그 부분이 흥미로운 지점입니다. 일단 TVL의 5위는 여전히 높은 순위고요. 다만 이제 그 TVL에 거의 대부분 99% 정도가 저스트랜드랑 썬 이 두 개의 프로토콜에 몰려 있다는 점은 좀 봐야 해요.

토큰포스트
아 거의 두 개가 다네요.

진행자
네 생태계 다양성 면에서는 좀 아쉬울 수 있죠. 반면에 DEX 거래량 증가는 네트워크 활동 자체는 활발하다는 신호입니다. 특히 이더리움의 주요 개선 제안 EIP를 지원하는 칸트메인넷 업그레이드 같은 기술 개선이 사용자 활동을 좀 더 끌어올렸을 수 있구요. 실제로 일일 평균 거래량도 860만 건으로 12.6% 늘었고 활성주소도 250만개로 5.9% 늘었거든요. 다 이걸 뒷받침하는 거죠. 스테이킹 비율도 47.1%로 높게 유지되고 있구요.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이제 트론 생태계의 뭐랄까 핵심 중에 핵심이죠. 스테이블 코인 얘기를 안 할 수가 없는데요. 2분기에 스테이블 코인 시가총액이 무려 809억 달러 사상 최고치래요.

진행자
네 엄청나죠.

토큰포스트
전 분기보다 22.2%나 늘어난 수치예요. 제가 보고서 보면서 제일 놀랐던 부분인데 이 중에서 USDT 그러니까 테더가 차지하는 비중이 99.2%래요.

진행자
거의 다네요.

토큰포스트
금액으로 치면 803억 달러 근데 더 놀라운 건요 전 세계에 돌아다니는 모든 USDT의 절반 이상 50.6%가 바로 이 트론 네트워크 위에 있다는 겁니다.

진행자
네 맞습니다.

토큰포스트
이게 그냥 숫자가 아니라 어떤 의미가 있는 걸까요?

진행자
USDT는 사실상 트론 네트워크의 가장 강력한 엔진이라고 볼 수 있어요. 트론의 수수료가 싸고 처리 속도가 빠르잖아요. 이게 특히 국경 간 송금이나 뭐 개발도상국 사용자들한테 USDT를 쓰기에 아주 매력적인 환경을 만들어 준 거죠. 하루 평균 USDT 전송량이 213억 달러나 된다는 게 이걸 딱 보여주는 거구요.

토큰포스트
213억 달러요

진행자
네 최근에 스트라이프에 인수된 브리즈나 에이온페이 같은 결제 서비스들이랑 파트너십 맺는 것도 다 이런 실사용 사례를 더 늘리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토큰포스트
생태계 확장을 위한 노력도 정말 여러 방향으로 하고 있더라구요. 나스닥 상장사 SRM 엔터테인먼트 이게 곧 트론 잉크로 이름을 바꾼다던데 여기가 1억 달러 규모로 트론 기반 자산 포트폴리오를 만든다거나 그리고 저스틴 썬을 고문으로 영입했다는 소식도 있었고요. 그 외에도 뭐 체인링크 문페이 같은 기술회사들과 협력하고 심지어 CBOE BJX 거래소에 TRX 현물 ETF 상장 신청까지 들어갔다고 하니까 와 정말 정신없네요.

진행자
네, 그렇죠. 이런 움직임들은 다 트론의 사용처를 넓히고 개발자 생태계를 키우고 또 전통 금융시장하고 접점을 만들려는 뭐랄까 다각적인 시도라고 봐야죠 1억 달러 규모 ai 개발 펀드나 천만 달러 빌더 펀드 만든 것도 다 같은 맥락이구요. 단순히 코인 가격만 올리려는 게 아니라 실제 사용 사례랑 기술 기반을 좀 탄탄하게 다지려는 의지가 보이는 거죠. 2025년 로드맵에 나온 네트워크 안정성 강화나 경제 모델 개선 그리고 계정 추상화 같은 새로운 기술 도입 계획도 다 이런 방향성을 보여주는 거구요.

토큰포스트
종합해 보면 트론이 2025년 2분기에도 여러 지표에서 아주 견고한 성장을 이어갔고 특히 USDT를 중심으로 한 스테이블콘 시장에서의 압도적인 힘 그리고 아주 활발한 생태계 확장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진행자
그렇습니다. 하지만 트론의 성공 방정식을 보면 USDT가 차지하는 비중이 정말 크잖아요. 이게 강점이면서 동시에 어쩌면 잠재적인 위험 요인이 될 수도 있어요.

토큰포스트
아 그럴 수 있겠네요.

진행자
만약 앞으로 스테이블 코인 규제 환경이 확 바뀌거나 아니면 USDT를 위협할 만한 엄청난 경쟁자가 나타난다면 트론 생태계는 어떤 도전에 직면하게 될까요? 이 질문에 대해서 당신도 한번 깊이 생각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토큰포스트
흥미로운 질문이네요. 이상 토큰 포스트였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4

추천

8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4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릴라당

2025.08.01 05:01:2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mini

2025.07.31 22:19:34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낙뢰도

2025.07.31 19:29:34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tarB

2025.07.31 18:34:59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