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美 의료비 6,480조 쓰고도 성적표 '낙제'… AI·민간투자가 해법될까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美 의료시스템이 고비용·저성과 문제에 직면한 가운데, AI 기술과 민간자본이 혁신의 열쇠로 떠오르고 있다. 지속가능한 의료 개혁을 위해선 윤리적 자본과 민관 협력이 필수라는 분석이다.

 美 의료비 6,480조 쓰고도 성적표 '낙제'… AI·민간투자가 해법될까 / TokenPost.ai

美 의료비 6,480조 쓰고도 성적표 '낙제'… AI·민간투자가 해법될까 / TokenPost.ai

미국의 복잡하고 방대한 의료 시스템은 매년 약 4조 5,000억 달러(약 6,480조 원)를 소비하면서도 여전히 기대 이하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비 지출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기대수명, 만성질환 발생률 등 주요 보건 지표에서 다른 선진국에 비해 뒤처지는 실정이다. 이런 불균형은 수년간 경고되었으며, 최근에는 민간 투자의 참여 여부가 그 해결 열쇠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6,000곳 이상의 병원과 470만 명이 넘는 간호 인력, 90만 명의 의사가 활동하는 미국 의료현장은 그 규모만큼이나 변화의 잠재력도 크다. 아직 전체 의료비 지출 중 약 20%가 '서비스 수에 따른 보상(Fee-for-Service)' 방식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의료 혁신의 방향을 '양보다 가치(Value-based care)'로 이끄는 전략이 절실한 시점이다. 하지만 정책 불확실성과 정치 리스크가 팽배한 가운데, 벤처캐피탈이 과연 장기전의 각오를 갖고 의료산업에 지갑을 열 준비가 되어 있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인공지능과 고급 데이터 분석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의료 혁신의 새로운 흐름이 형성되고 있다. 의료 접근성과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이 기술 혁명은 과감한 민간투자가 수반될 때 비로소 현실화될 수 있다. 특히 팬데믹 이후 원격진료가 단기간에 급성장하며 이미 시장의 확장성을 입증한 바 있다.

다만 벤처캐피탈의 본질적 속성인 단기 수익지향성은 여전히 논란거리다. 투자회수 기간이 통상 5~7년으로 설정된 구조에서는, 긴 호흡이 필요한 의료 시스템 전환이 자칫 뒷전으로 밀릴 위험도 존재한다. 또한 수익성이 정체되는 계층이나 환자군은 서비스에서 소외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특히 특정 인공지능 기반 진단 툴이나 데이터 활용 분야에서는 윤리적인 경계선이 모호해지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간 투자가 공공 목적 산업에 긍정적 변화를 불러온 사례는 많다. 교통, 청정에너지, 인터넷 기술 등에서 이미 혁신과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Cityblock Health, Oak Street Health, Carbon Health, Zipline 등은 민간자본을 바탕으로 소외계층 대상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성과 중심의 치료를 확대하는 역할을 해오고 있다.

특히 지금처럼 인공지능이 진단, 작업흐름 최적화, 임상 의사결정 지원 등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 상황에선 초기단계부터 민관 협력이 필요하다. 스타트업의 민첩성과 정부 인프라의 안정성을 결합한 방식이야말로, 사회 전반에 유익한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지금이야말로 단순한 자금 공급이 아닌 ‘윤리적 자본(ethical capital)’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속가능성과 형평성을 우선시하면서도 장기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구조가 가능해진 지금, 금융투자자들의 역할은 과거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자금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유망한 디지털 헬스 기술과 AI 솔루션은 활용되지 못한 채 방치될 것이고, 취약 계층은 점점 더 구조적 불이익에 노출될 것이다.

결국 민간 투자를 회피하는 것은 중립적인 선택이 아니다. 이는 낡고 비효율적인 의료 시스템을 묵인하는 결정이며, 고비용과 낮은 성과라는 현 상태를 지속하겠다는 방관적 태도를 의미한다. 오늘날 의료계가 처한 과제는 단지 기술적 혁신을 넘어 ‘의미 있는 개입’이다. 그리고 이 개입은 자본, 정책, 창업 전반의 공조 없이는 불가능하다.

미국 의료 시스템은 명백한 기회의 문 앞에 서 있다. 혁신은 불확실성과 함께 존재하지만, 또 다시 이를 외면한다면 그 대가는 사회 전체가 감당해야 할 것이다. 변화는 가능하며, 이제는 실행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가즈아리가또

02:00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