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 포스트 팟캐스트입니다. 네. 오늘은 2025년 9월 17일 수요일 오후인데요. 지금 암호화폐 시장이 어떤 모습을 보이고 있는지 저희 토큰 포스트 저녁 시세 브리핑 자료를 보면서 좀 자세히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현재 시장의 뭐랄까 온도나 흐름을 좀 파악해 보는 게 중요할 것 같아요. 주요 자산들 가격 움직임도 보고 또 그 뒤에 숨어있는 시장 심리까지 한번 읽어보려고 합니다. 특히 자료를 보니까 어떤 자산들은 가격이 조금 올랐는데 또 다른 지표들은 오히려 좀 위축된 것 같기도 하고 이런 신호들이 좀 엇갈리는 것 같거든요. 그래서 이게 뭘 의미하는지 지금 우리가 뭘 좀 주의 깊게 봐야 하는지 이런 걸 좀 명확하게 짚어보는 게 오늘 저희 목표입니다. 특히 그 비트코인 BTC 또 이더리움 ETH 리플 XRP 솔라나 SOL 이런 주요 코인들 움직임 보면서 시장 전체 그림을 한번 그려보죠. 자 그럼 같이 한번 시작해볼까요? 네.
토큰포스트
우선 자료에 나온 시장 전반적인 분위기 이것부터 좀 봐야 할 같은데요. 9월 17일 오후 시장은 뭐랄까 뚜렷한 방향이 잘 안 보이는 그야말로 혼조세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몇몇 주요 코인들은 좀 오르긴 했는데 또 어떤 부분은 좀 내리고 있고 그래서 투자자분들이 좀 갈피를 잡기 어려운 그런 상황 같아요. 자 이런 상황에서 제일 관심 많이 받는 핵심 자산들 오후 4시경 가격을 토큰 포스트 마켓 기준으로 한번 보겠습니다. 영어 이름이랑 티커는 그냥 그대로 읽을게요. 역시 시장 대장주죠. 비트코인 BTC부터 봐야겠습니다. 전날보다 1.19% 상승해서 11만 7259.66달러 한화로는 약 1억 6189만 원 정도 되네요. 다시 1억 6천만 원 선으로 올라왔군요. 아주 폭발적인 상승은 아니지만, 그래도 꾸준히 좀 버텨주는 모습입니다. 다음은 이더리움 ETH입니다.
토큰포스트
이것도 비트코인처럼 오르긴 했는데 상승폭은 조금 더 작았어요.
진행자
전날보다 0.86% 올라서 4547.88달러 한화로는 약 627만 8971원 4500달러 선에서 움직이고 있네요. 그리고 이어서 리플 XRP 볼까요? XRP는 1.35% 상승해서 3.02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한화로 약 4176원 정도 되는데요. 상승률만 보면 비트코인이랑 거의 비슷하게 같네요. 네. 3달러 선 마지막으로, 솔라나 SOL 이건 0.08% 상승 236.18달러 한화 약 32만 6085원입니다. 0.08%면 사실 거의 움직임이 없다고 봐도 될 정도네요.
진행자
그렇죠? 네. 거의 뭐 보합권에서 옆으로 가고 있다. 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이 네 가지 말고 다른 상위권 알트코인들 좀 보면요. 대체로 좀 오르는 분위기가 있긴 해요. 예를 들어서 BNB는 2.87% 올랐고 카르다노 ADA도 2.09%, 도지코인 DOGE 역시 0.93% 상승했습니다. 그런데 또 좀 다르게 움직인 코인도 있는데, 트론 TRX 이거는 1.01% 하락해서 약간 좀 상승 흐름이랑은 거리가 있었네요. 전반적으로 보면 상승세가 약간 더 많긴 한데 코인별로 보면 온도 차는 확실히 좀 있는 것 같습니다. 네 맞아요. 개별 코인들 가격만 보면 지금 말씀하신 것처럼 조금 오르거나 거의 그대로거나 그런 모습이 대부분인데요. 그런데 사실 이런 가격 움직임만 가지고 시장 전체가 지금 건강한 건지 아니면 뭐 어디로 가려는 건지 판단하기는 좀 어렵잖아요.
진행자
그래서 이제 시장 전체를 좀 볼 수 있는 그런 큰 지표들을 같이 봐야 합니다. 우선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시가총액 규모부터 보면요. 현재 약 4조 59억 달러 수준입니다. 와 이게 우리 돈으로 하면 대략 5605조 원 어마어마하죠. 시장 크기 자체는 여전히 뭐 상당하다는 걸 보여줍니다. 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해야 할 부분이 거래량인 것 같아요. 24시간 동안 총 거래량이 약 1468억 달러 한화로 한 202조 원 정도로 나왔는데요. 이 거래량 수치가 평소에 시장이 막 활발할 때랑 비교해서 어느 정도냐 이걸 좀 봐야 하거든요. 지금 상황을 보면 가격이 조금 오르긴 했는데 거래량이 막 폭발적으로 늘지는 않았어요.
진행자
그러니까 이게 뭘 의미하냐면 시장 참여자들이 지금 가격 오르는 거에 대해서 와 무조건 간다 이런 강한 확신을 갖고 막 공격적으로 사기보다는 약간 좀 신중하게 보고 있다. 그런 분위기를 보여주는 걸 수 있다는 거죠. 오를 거란 기대도 있는데, 혹시 또 떨어질까 봐 걱정도 같이 하는 뭐 그런 상태로 볼 수도 있겠네요.
토큰포스트
아 그렇군요. 가격은 조금씩 꿈틀거리는데 시장에 돈이 막 활발하게 돌고 있다. 이런 느낌은 좀 덜하다는 말씀이시네요. 그럼 이런 분위기가 혹시 시장 내 영향력, 그러니까 점유율 변화에서도 좀 나타났을까요? 비트코인이랑 이더리움 점유율은 좀 어땠나요? 자료를 좀 보면요. 비트코인 BTC의 시장 점유율은 57.54% 전날보다 0.03%포인트 아주 약간 늘었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시장 절반 이상을 훌쩍 넘는 압도적인 영향력이네요. 그런데 반면에 이더리움 ETH 점유율은 13.52%로 전날보다 0.05% 포인트 감소했어요. 비트코인이랑 완전 반대로 움직였네요. 가격은 둘 다 올랐는데 점유율은 하나는 오르고 하나는 내리고 이게 좀 흥미로운데
진행자
네, 바로 여기가 이번 분석에서 상당히 좀 재미있는 부분입니다. 방금 말씀하신 것처럼 비트코인, 이더리움 둘 다 가격은 올랐잖아요. 그런데 시장 안에서 얘네가 차지하는 비중, 이 점유율은 서로 다르게 움직였다는 거죠. 비트코인은 가격 오르면서 점유율도 조금이나마 같이 끌어올렸는데 이더리움은 가격은 올랐지만 점유율은 오히려 살짝 빠졌어요. 물론 이게 뭐 엄청난 변화는 아닙니다. 수치만 보면 정말 작죠. 0.0 몇 퍼센트니까? 이런 미묘한 차이에서 시장 심리를 좀 엿볼 수 있다는 거예요. 첫째는 지금 시장 참여자들이 상대적으로 이더리움보다는 비트코인에 조금 더 뭐랄까 안정감을 느끼거나 아니면 단기적으로 돈을 넣을 때 비트코인을 좀 더 선호하고 있을 가능성. 약간 뭐 안전자산 선호 비슷하게 대장주 선호 심리가 작용했을 수도 있다는 거죠.
진행자
두번째로, 아까 말씀하신 BNB나 카르다노 같은 다른 알트코인들 있잖아요. 걔네들이 이더리움보다 상대적으로 좀 더 많이 오르면서 이더리움이 가져가는 파이가 잠깐 좀 줄었을 수도 있고요. 어느 쪽이던 간에 이 작은 점유율 변화가 시장 참여자들의 돈의 흐름이나 위험을 얼마나 감수할지에 대한 생각이 조금씩 바뀌고 있다는 걸 보여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단순히 가격 오르내리는 것만 볼 게 아니라 이런 점유율 변화 같은 것도 계속 좀 봐야 시장 속마음을 알 수 있다는 거죠.
토큰포스트
아 정말 그 미세한 숫자 변화인데도 그 안에 담긴 의미는 꽤 있을 수 있겠네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이 미묘한 차이 이거 좀 기억해 두면서 조금 더 세부적인 섹터별 시장 동향도 한번 살펴보죠. 시장의 특정 영역에서는 또 다른 흐름이 있을 수 있으니까요. 먼저 DeFi 시장 상황부터 볼까요? 자료에 따르면 DeFi 시장은 오늘 좀 안 좋네요. DeFi 전체 시가총액이 약 1279억 달러 24시간 거래량은 16억 달러 수준인데요. 특히 주목할 게 24시간 변동률이 마이너스 12.05%예요. 이거는 아까 본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오른 거랑은 완전 다른데요. 마이너스 12%면 하락폭이 꽤 큰데요.
진행자
네, 그게 바로 지금 시장이 좀 복잡하다는 걸 보여주는 또 다른 증거입니다. 보통 DeFi 시장은 암호화폐 시장 안에서도 좀 더 뭐랄까 혁신적인 금융활동이나 상대적으로 좀 더 위험을 감수하는 자금들이 모이는 곳으로 보잖아요. 그래서 DeFi 시장이 얼마나 활발한지, 돈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보면 시장 전체적으로 사람들이 얼마나 위험을 감수하려고 하는지 리스크 어피타이트 이걸 좀 가늠해 볼 수 있거든요. 그런데 오늘 DeFi 시장 거래량이나 시총 변동률이 이렇게 큰 폭으로 떨어졌다는 건 투자자들이 새로운 DeFi 프로젝트에 막 공격적으로 투자하거나 자산을 막 활발하게 옮기기보다는 약간 좀 보수적으로 바뀌고 있다. 이걸 보여줄 수 있어요. 아까 비트코인 가격은 올랐지만 거래량은 좀 잠잠했다고 했잖아요. 그거랑 좀 비슷한 맥락으로 볼 수 있는 거죠.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DeFi 시장이 좀 위축된 건 시장 전체적으로 좀 신중한 분위기다. 이걸 보여주는 거군요. 그럼 시장의 혈액 같은 역할을 하는 스테이블 코인 시장은 좀 어떤가요? 스테이블 코인 움직임을 보면 자금이 얼마나 활발하게 도는지 알 수 있을 텐데요. 스테이블 코인 시장 역시 거래량이 좀 줄어드는 모습입니다. 24시간 거래량이 약 1426억 달러로 전날이랑 비교하면 9.02% 감소했어요. 거래 활동이 꽤 둔화된 거죠. 다만 스테이블 코인 전체 시가총액은 약 2711억 달러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시장에 묶여있는 스테이블 코인 총량 자체는 비슷한데 그게 막 활발하게 거래되거나 옮겨 다니는 횟수는 줄었다. 뭐 이렇게 볼 수 있겠네요.
진행자
네, 마지막으로, 선물 옵션 같은 파생상품 시장 동향도 한번 짚어보죠. 여기는 레버리지를 많이 쓰니까 시장의 단기 방향성 예측이나 변동성에 대한 기대를 좀 볼 수 있는 곳이잖아요. 파생상품 시장의 24시간 거래량은 약 1조 4천 62억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이것도 전날보다 8.39% 감소한 수치예요. 아 DeFi, 스테이블 코인, 파생상품까지 전반적으로 시장의 활동성 관련된 지표들은 다 같이 좀 하락세를 보이고 있네요. 명확해지는 것 같습니다. 네, 맞습니다. 바로 그 점이 오늘 시장 분석의 핵심 결론으로 좀 이어질 수 있는데요. 정리를 해보면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대표 선수들 가격은 조금 오르거나 최소한 유지는 하고 있는데, 시장 내부의 실제 힘이나 활기를 보여주는 다른 중요한 지표들, DeFi 쪽 자금 순환이라든지. 스테이블 코인을 통한 거래 빈도, 또 레버리지를 쓰는 파생상품 거래 규모 이런 것들은 오히려 눈에 띄게 좀 줄어들고 있다는 겁니다.
진행자
이 서로 다른 신호들을 합쳐서 그림을 그려보면 어떤 모습일까요? 마치 자동차가 액셀을 살짝 밟아서 속도를 내려고 하면서 동시에 브레이크에도 발을 살짝 얹어놓고 있는 듯한 그러니까 좀 불안정하고 모순적인 그런 상황 같아요. 가격이 오를 거라는 기대는 분명히 있는데, 그 상승을 뒷받침할 만한 아주 강하고 넓게 퍼진 매수세나 시장 전체의 뜨거운 열기는 아직 좀 부족하다는 거죠. 투자자들이 섣불리 막 따라붙기보다는 일단 조금 더 지켜보자 하는 신중한 태도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이렇게 보는 게 좀 합리적일 것 같습니다. 큰 그림에서 보면 시장이 다음번 큰 움직임을 보이기 전에 방향을 좀 찾으면서 에너지를 모으는 일종의 숨 고르기나 조정 구간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토큰포스트
네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오늘 오후 암호화폐 시장을 요약하면 비트코인은 11만 7천 달러 선, 이더리움은 4500달러 선에서 조금 오르는 등 겉으로는 혼조세 속에서 약간 긍정적인 신호도 있었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얘기가 좀 달랐습니다. 리플 BNB 같은 일부 알트코인들도 올랐지만 솔라나는 거의 그대로였고 트론은 또 내리는 등 개별 움직임은 좀 제각각이었고요. 무엇보다 중요한 건 시장의 실제 활력을 보여주는 DeFi 스테이블 코인 파생상품 시장의 거래량이 전부 다 줄었다는 점입니다. 이건 가격이 조금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좀 신중함 또는 관망세가 더 강하다는 걸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진행자
그렇죠? 이런 좀 복잡하고 여러 층위가 있는 시장 상황을 생각해볼 때 마지막으로, 여러분께서 한번 좀 곱씹어 볼 만한 질문을 던져보고 싶어요. 아까 저희가 주목했던 부분인데요. 비트코인은 가격이랑 시장 점유율이 둘 다 조금 올랐는데 이더리움은 가격은 올랐는데 점유율은 오히려 조금 떨어졌잖아요. 이 정말 작아 보이는 차이가 과연 그냥 뭐 하루 이틀짜리 단기적인 변동일 뿐일까요? 아니면 혹시 앞으로 시장 참여자들이 암호화폐 자산을 배분할 때 예를 들어 비트코인이랑 이더리움이라는 두 거인 사이에서 무게 중심을 조금씩 옮겨가는 어떤 구조적인 선호도 변화의 시작을 알리는 아주 초기 신호일 가능성은 없을까요? 물론 지금 당장 답을 내릴 순 없습니다. 하지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스스로 한번 찾아가 보려는 그런 노력 속에서 어쩌면 앞으로 시장이 어디로 갈지에 대한 중요한 통찰이나 힌트를 얻게 될지도 몰라요.
진행자
단순히 눈앞의 가격 오르내리는 거에만 너무 빠지지 마시고 이런 시장 구조의 미묘한 변화 가능성에도 좀 주의를 기울이시면서 계속해서 시장의 깊이 있는 움직임을 관찰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토큰포스트
이상 토큰 포스트 팟캐스트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