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오후 브리핑] 美 SEC 위원장 "비트코인 외 거의 모든 암호화폐 거래, SEC 규제 관할 속해" 外

작성자 이미지
토큰포스트 기자
15
0

사진 = shutterstock

[美 SEC 위원장 "비트코인 외 거의 모든 암호화폐 거래, SEC 규제 관할 속해"]

게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이 최근 NYMAG과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을 제외한 거의 모든 암호화폐 거래는 이미 SEC의 규제 관할에 속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이러한 토큰들은 중간에 이를 통제할 수 있는 그룹이 있고, 대중들은 해당 그룹들에 의지해 수익을 기대하기 때문에 '증권'으로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크라, 전쟁 발발 후 $7,000만 암호화폐 후원 받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 이후 우크라이나는 약 7천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후원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 데이터에 따르면, 암호화폐 업계를 포함한 기부자들은 이더리움(ETH) 2,890만 달러, 비트코인 2,280만 달러, 테더 1,159만 달러 상당을 기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접적인 암호화폐 기부 외에도 우크라이나 국기 NFT를 우크라이나 DAO로부터 610만 달러에 매입하는 등 간접적 기부도 이어졌다. 우크라이나 디지털부 차관 알렉스 보르냐코프(Alex Bornyakov)는 "총 기부금 7000만 달러 중 80%는 전쟁 초기 몇 달 안에 집행됐다"고 밝혔다.

[렌드허브 해커, 지금까지 2415 ETH 토네이도캐시로 이체]

1월 후오비 HECO 블록체인 기반 디파이 대출업체 렌드허브(LendHub)를 공격했던 해커가 지금까지 토네이도캐시로 2415 ETH(약 390만달러)를 이체했다고 블록체인 보안업체 서틱이 트위터를 통해 전했다. 렌드허브는 해당 공격으로 600만달러 상당 암호화폐를 도난당했다.

[리퍼블릭, 7500만 달러 규모 메타버스 부동산 펀드 신규 모금 중단]

야후파이낸스에 따르면 미국의 주식 크라우드 펀딩 포털 리퍼블릭(Republic)이 7500만 달러 규모의 메타버스 펀드의 모금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리퍼블릭 측은 "암호화폐 거래소 FTX 붕괴 사태 등을 겪으며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시장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이번에 SEC로부터 받은 피드백과 추가된 규제들로 인해 더 이상 해당 펀드의 오퍼링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펀드 자체는 청산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신 레귤레이션 A 오퍼링은 계속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레귤레이션A는 미국 SEC의 법규로서 소규모의 새로운 증권 발행 시에 SEC의 등록요건의 일부를 면제시켜 주는 것을 말한다. 리퍼블릭은 2021년 3월 '리퍼블릭 렐름 메타버스 부동산 펀드(Republic Realm Metaverse Real Estate Fund)'를 출시한 바 있으며 같은 해 12월 레귤레이션 A를 통해 7500만 달러의 자금을 조달한 바 있다. 해당 펀드는 주로 샌드박스(SAND), 액시인피니티(AXS), 디센트럴랜드(MANA)와 같은 NFT 게임에서 가상 부동산을 매입하는 것이 목적이다.

[아비트럼 기반 프로토콜 아비트로브, TROVE 스테이킹 기능 출시]

이더리움(ETH) 레이어2 네트워크 아비트럼 기반 디파이 프로토콜 아비트로브(TROVE)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오늘 중 아비트로브 앱 내에서 TROVE 스테이킹 기능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 아비트로브 측은 "TROVE는 프로토콜의 거버넌스 토큰이다. TROVE를 스테이킹해 거버넌스 제안이 통과되면 사용자는 프로토콜 수익을 공유받는 esTROVE 토큰을 지급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TROVE는 현재 25.80% 오른 0.0418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페이코인, 4차 소각 완료...5.1억 PCI 소각]

페이코인(PCI)이 27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지난해 11월 14일 공지한대로 페이프로토콜 소유 PCI 토큰의 4차 소각을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4차 소각에서는 총 510,250,000 PCI가 소각됐다. 앞서 페이코인은 페이프로토콜이 보유한 20.41 PCI(전체 발행량의 약 52%)를 4회에 걸쳐 소각할 계획이라고 공지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PCI는 현재 0.64% 오른 0.315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애니모카브랜드 창업자 "NFT 마켓 로열티 인하 경쟁, 웹3 업계 '독' 된다"]

블록체인 및 NFT 게임 개발 및 투자사 애니모카브랜드의 공동 창업자 얏 시우(Yat Siu)가 디크립트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오픈씨와 블러 등 NFT 마켓플레이스의 경쟁 과열로 인한 로열티 정책 조정은 웹3 시장에 독이 된다"고 비판했다. 그는 "로열티 제도는 크리에이터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제도로, NFT 시장의 필수적인 요소다. 그런데 최근 NFT 마켓플레이스들이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해 로열티 수수료를 인하하면서 크리에이터를 희생시키고 있다. 장기적으로 이는 웹3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밝혔다.

[리플 국제 정책 고문 "유럽, 암호화폐 규제 부문서 미국 앞서고 있다"]

리플(XRP)의 국제 정책 담당 고문 수잔 프리드먼(Susan Friedman)이 최근 폴리티코(Politico)와의 인터뷰에서 "유럽은 암호화폐 산업 규제를 위한 전반적인 규제 프레임워크를 마련하고 있으며, 이 분야에서 미국을 확실히 앞지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향후 업계 내 책임감 있는 참여자들을 위한 암호화폐 허브로 유럽이 부상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리플은 현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미등록 증권 판매 관련 소송을 진행 중이다.

[美 텍사스 규제당국, 바이낸스US 10억 달러 규모 보이저 자산 인수 반대]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텍사스 주 증권위원회 등 규제 당국이 최근 바이낸스US의 약 10억 달러 규모의 보이저(CGX) 자산 매입에 대해 반대하는 내용이 담긴 서류를 법원에 제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문건에서 텍사스 주 규제당국은 "바이낸스US의 서비스 약관 및 보이저 구조조정 계획에는 부적절한 공시가 포함되어 있으며, 텍사스 채권자들을 차별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기존 보이저 무담보 채권자들은 구조조정 계획에 따라 채권의 51%를 상환받을 수 있어야 하지만, 바이낸스US가 밝힌 정책에 따르면 이들은 채권의 약 24%~26%만을 회수할 수 있다. 그들의 서비스 약관에 동의하면 고객의 정보는 거래 상대방인 기업이나 개인에게 양도될 수 있다는 리스크도 있다. 또 바이낸스US는 텍사스 내 라이선스가 없기 떄문에 보이저 채권 상환과 관련 텍사스 소재 투자자들이 차별받을 수 있다. 그들은 라이선스가 없는 지역에서의 보이저 부채 상환을 위해 6개월 내 방법을 모색하겠다고 했지만, 해당 기간 내 라이선스를 받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지난주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뉴욕 규제당국은 바이낸스US의 약 10억 달러 규모의 보이저(CGX) 자산 매입에 대해 반대하는 내용이 담긴 서류를 법원에 제출한 바 있다.

[美밀레니얼, 증시 떠나 암호화폐·부동산·사모펀드 투자]

미국 밀레니얼(1980~90년대 출생자)이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미증시가 약세를 보이자 증시를 떠나 부동산, 암호화폐, 사모펀드 등에 투자하고 있다고 야후파이낸스가 전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가 최근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자산이 300만 달러(약 39억원) 이상인 21세에서 42세 사이의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에서 암호화폐가 차지하는 비중은 15%다. 이전 세대는 2%에 불과하다. BoA 조사에서 밀레니얼들의 29%가 암호화폐가 성장기회를 제공한다고 답했다. 50세 이상 그룹은 7%만 이에 동의했다. 이들은 포트폴리오의 25%만 주식에 투자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55%에 달했었다.

[대홍기획, 폴리곤과 파트너십 체결…NFT 사업 본격화]

대홍기획이 폴리곤(MATIC)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NFT 프로젝트의 글로벌 진출을 본격화한다고 27일 밝혔다. 양사가 협업하는 첫 프로젝트는 롯데홈쇼핑의 벨리곰 NFT이다. 벨리곰 NFT 시즌2 리브랜딩을 시작으로 새로운 NFT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겠다고 대홍기획은 설명했다.

[비트코인 활성도 2년래 최저]

글래스노드에 따르면 오늘 새벽 비트코인 활성도가 0.604로 2년래 최저를 기록했다. 비트코인 활성도는 장기 보유자가 보유량을 늘리면 하락하고 매도하면 상승한다.

[코인플렉스 "블록체인닷컴, 300만 FLEX 빚져...3/21까지 갚아야" 주장]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디크립트에 따르면, 세이셸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플렉스(FLEX)가 최근 블록체인닷컴에 내용증명을 보내 "룩셈부르크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 블록체인닷컴은 지난해 코인플렉스로부터 300만 FLEX 토큰을 빌려갔다. 그들은 3월 21일까지 430만 달러 상당의 해당 토큰들을 갚아야 하며, 부채를 상환하지 않을 시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블록체인닷컴 측은 "코인플렉스 측의 주장은 증거가 없으며, 부실 기업이 주장하는 완전한 '거짓'"이라며 "오히려 코인플렉스는 블록체인닷컴에 빚을 지고 있으며, 곧 이에 대한 상환 작업을 시작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코인플렉스는 지난해 자금난을 이유로 고객 자산 출금을 중단한 뒤 세이셸 법원에 파산보호를 신청, 현재 구조조정 절차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a16z, 지난해 블록체인 기업 11곳에 투자]

CB인사이트에 따르면 실리콘밸리 유명 VC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가 지난해 총 206건의 투자를 단행했으며, 이 중 4분의1인 49건을 핀테크 기업에 투자했다고 테크크런치가 보도했다. 핀테크 기업 투자 중 28%는 결제 분야, 블록체인 22%, 디지털 대출 12%인 것으로 조사됐다.

[인플루언서 "BTC 장기 상승 필연적...온체인 지표 지속 증가"]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44만 이상 구독자를 보유한 크립토 유튜버 인베스트앤서(InvestAnswers)는 통신 네트워크의 가치는 시스템 사용자 수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메트칼프의 법칙을 언급하면서 비트코인 가격은 장기적으로 크게 오를 수 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그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가격의 83~84%는 일일 활성 사용자 수, 주소, 네트워크 효과로 설명된다는 것을 증명했다. 비트코인 프로토콜이 살아남는 한 온체인 지표는 계속 증가할 것이다. 수요 증가, 공급 감소는 필연적으로 가격이 올라간다"고 말했다.

[日 거래소 비트플라이어 설립자, CEO 복귀 후 IPO 추진 계획]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플라이어 설립자이자 전 CEO인 가노 유조가 CEO로 복귀한 뒤 IPO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그는 다음달 예정된 주주총회에서 이러한 제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앞서 일본 금융청이 비트플라이어를 비롯한 암호화폐 거래소에 자금세탁 관련 엄격한 조치를 취하자 그는 이에 대한 책임을 지기 위해 CEO 자리에서 물러났었다. 현재 그는 비트플라이어 지분 40%를 보유하고 있으며 비트플라이어 자회사 '비트플라이어 블록체인' CEO이기도 하다.

[스팽크체인 공동 창업자, 토네이도캐시 '후속작' 출시 예고]

더블록에 따르면, 성인용 엔터테인먼트 블록체인 프로젝트 스팽크체인(SPANK) 공동 창업자 아민 솔레이마니(Ameen Soleimani)가 최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이더리움(ETH) 기반 트랜잭션 믹싱 프로토콜 토네이도캐시(TORN)의 후속작 출시를 예고했다. 이날 그는 "토네이도캐시가 끝났다고 누구도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토네이도캐시의 '부활'을 암시했다. 또 이날 그는 트윗에 첨부한 이미지 파일을 통해 이더리움 기반 프로젝트에 개발 보조금을 지원하는 몰록DAO(Moloch DAO)에 참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액시인피니티의 크로스체인 브리지를 해킹한 북한 해커그룹 라자루스의 범죄 연루 정황에 토네이토캐시 악용 사례를 특정한 이후 자금 세탁에 이용된 블렌더와 토네이도캐시를 블랙리스트에 등재해 제재한 바 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50...투심 소폭 위축]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 대비 1 포인트 내린 50을 기록했다. 투심이 소폭 위축됐지만 중립 단계는 유지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화웨이 클라우드, 메타버스&웹3 얼라이언스 출범...폴리곤 등 참여]

암호화폐 미디어 우블록체인이 "화웨이 클라우드가 지난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화웨이 클라우드 아태 지역 포럼'에서 메타버스&웹3.0 얼라이언스를 출범한다고 밝혔다"고 27일 보도했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화웨이 클라우드의 해당 얼라이언스에는 화웨이를 비롯, 블록체인 솔루션스, 딥브레인체인(DBC), 폴리곤(MATIC), 모르페우스 랩스(MITX) 등이 참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우블록체인은 "화웨이 클라우드에 참여하는 몇몇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평판'은 좋은 편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비트다오 생태계 레이어2 맨틀코어, $2억 규모 생태계 펀드 조성 제안]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웹3 개발자 지원 탈중앙화 자율조직(DAO) 플랫폼 비트다오(BIT) 생태계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프로젝트 맨틀코어(Mantle Core) 팀이 최근 비트다오 거버넌스 포럼에서 2억 달러 규모의 생태계 웹3 펀드 조성을 골자로한 거버넌스 제안을 발의했다. 이와 관련 맨틀코어 측은 "비트다오 트레저리에서 1억 USDC를 지원하고, 전략적 벤처 파트너 등 외부 자본을 유치해 남은 1억 달러를 조달한다. 해당 펀드는 프리시드, 시드, 시리즈A 펀딩을 진행하는 웹3 스타트업에 투자한다. 이를 통해 맨틀 기반 프로젝트를 활성화 시키고 비트다오 생태계 프로젝트들의 맨틀 네트워크 채택을 촉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IT는 현재 3.56% 오른 0.582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데이터 "BTC·ETH 일일 트랜잭션, 올들어 첫 '순손실' 전환"]

암호화폐 마켓 데이터 분석 업체 샌티멘트에 따르면,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ETH) 블록체인에서 발생한 일일 온체인 트랜잭션 중 손실로 추정되는 트랜잭션 규모가 수익으로 추정되는 트랜잭션 규모를 넘어섰다. 이는 올들어 첫 '순손실' 전환"이라고 밝혔다. 샌티멘트의 '손익 거래량'(Transaction Volume In Profit Or Loss)은 온체인 상태에서 일정 기간 수익 또는 손실로 추정되는 이체가 발생한 토큰의 총량을 나타내는 지표다. 해당 지표가 양수일 때 수익 상태의 트랜잭션 규모가 손실 상태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반대의 경우 손실이 수익보다 규모가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25일(현지시간) 기준 BTC 네트워크의 해당 지표는 약 -0.1, ETH의 경우 0.13을 기록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AI·블록체인경진대회] 보험, 디파이에서 팬굿즈까지…블록체인으로 산업 경계를 넘다

[AI·블록체인경진] 블록체인으로 콘텐츠·결제·투표 혁신…창작자 보호부터 글로벌 인프라까지

[AI·블록체인경진] 창작권부터 유아·장애인 돌봄까지…AI가 일상 격차 메운다

댓글

15

추천

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5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남이대장군

2023.03.01 16:09:57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남이대장군

2023.02.28 15:23:08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cryptoworld

2023.02.27 23:58:41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choick

2023.02.27 23:00:27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marrey

2023.02.27 20:31:19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꽃개

2023.02.27 16:56:39

간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엠마코스모스

2023.02.27 16:04:22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김훈

2023.02.27 14:59:4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레스커

2023.02.27 14:50:18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XDC★PLI

2023.02.27 13:38:3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