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게코 "웹3 게임 관심 높은 국가 1위 필리핀...한국은 6위"]
코인게코가 웹3 게임에 가장 높은 관심을 보이는 국가 순위를 발표했다. 필리핀은 3년 연속 1위에 꼽혔다.
1.필리핀 2.나이지리아 3.파키스탄 4.싱가포르 5.베트남 6.한국 7.홍콩 8.네덜란드 9.중국 10.케냐
[웹3 개발자 플랫폼 에어스택 $700만 프리시드 투자 유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웹3 개발자 플랫폼 에어스택은 $700만 프리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Superscrypt가 리드했다. 에어스택을 통해 개발자는 인공지능 기반 자연어 요청을 사용해 크로스체인 데이터에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다. 현재는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 중이지만 향후 유료화 모델을 도입할 계획이다.
[GMX V2 테스트넷 공개]
탈중앙 파생상품 거래 프로토콜 GMX는 GMX V2 테스트넷이 공개됐다고 밝혔다. 시장가 주문, 지정가 주문, 손실 제한(스탑 로스), 이익실현(테이크 프로핏), 펀딩비율 등 기능이 추가됐다.
[유니스왑 V3, 폴카닷 문빔 파라체인에 배포 예정]
디크립트에 따르면 유니스왑은 유니스왑 V3가 한 달 내에 폴카닷 문빔 파라체인에 배포될 것이라고 밝혔다. 거의 만장일치로 거버넌스 투표에서 해당 안건이 통과됐다.
[스토리 프로토콜 $2930만 시드투자 유치...a16z 리드]
NFTgators에 따르면 웹3 스타트업 스토리 프로토콜은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가 리드한 시드 라운드에서 $2930만을 조달했다. 해시드 등이 참여했다. 스토리 프로토콜은 온체인 지식재산권 생성,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테더 CTO "새 BTC 매수 전략, 루나 재단과는 완전히 달라"]
파올로 아르도이노 테더 CTO가 테더의 새 비트코인 매수 전략이 과거 루나파운데이션가드(LFG)의 전략과 어떻게 다른지 묻는 질문에 다음과 같이 답했다.
-우리는 회사 초과 준비금(3월 1일 기준 약 $25억 상당)으로 발생하는 순영업이익의 최대 15%로만 비트코인을 매수할 계획이다.
-스테이블코인 상품에 안정성을 더하기 위해 초과 준비금을 포트폴리오 일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테라/루나 담보의 상당 부분을 비트코인으로 보유했던 루나 재단과는 100% 다르다.
[업비트 "김남국 10억 벌어 40억 이체, 30억 소명 안돼 FIU에 신고"]
TV조선에 따르면 업비트 측은 김남국 의원이 낸 코인거래로 얻은 수익보다 훨씬 더 많은 돈을 이체한 사실을 이상하다고 보고 FIU에 신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비트가 가장 의심스럽게 본 김 의원 거래내역은 작년 1월 말 60만 WEMIX(40억여원)가 하루 만에 다른 전자지갑으로 옮겨진 부분이다. 업비트는 김 의원에게 40억여 원의 출처에 대한 소명을 요구했는데, 김 의원은 "비트토렌트 코인으로 번 돈"이라고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당시 거래 내역상 실제 수익은 10억여 원인데, 이동한 코인은 30억여 원이나 많은 40억여 원이었고, 업비트는 이를 '이상 거래'로 보고 FIU에 신고했다.
[테더, 순영업이익의 최대 15% 비트코인에 투자키로]
더블록에 따르면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테더는 순영업이익의 최대 15%를 비트코인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분기 말 기준 테더는 $15억 상당 BTC를 보유 중이다. 테더는 1분기에 $15억 순이익을 낸 바 있다.
[리플, 커스터디 기업 메타코 $2.5억에 인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리플이 스위스 암호화폐 커스터디 기업 메타코(Metaco)를 $2.5억에 인수했다. 이번 인수를 통해 리플은 토큰화 자산을 보관, 발행, 결제하는 기술을 도입해 프로덕트를 확장할 수 있게 됐다. 인수대금은 현금, 리플 지분으로 지급됐다.
[블룸버그 전략가 "미국 부채한도 상향 합의 시 위험자산 랠리 가능성 커"]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의 마이크 맥글론(Mike McGlone) 상품 전략가가 울프오브올스트릿에 출연해 미국 디폴트 시 암호화폐, 주식 등 위험자산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금과 유사한 2011년 미국 디폴트 위기 당시에도 주가가 크게 하락했던 적이 있다는 이유에서다. 단, 부채 한도 상향 합의가 이뤄질 시에는 위험자산 랠리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조디아·LMAX 디지털, 코인쉐어스에 암호화폐 거래 인프라 제공]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LMAX 디지털, 스탠다드차타드 산하 커스터디 업체 조디아 커스터디는 디지털 자산 관리업체 코인쉐어스에 기관급 거래 인프라와 커스터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엔진 월렛, 프랑스 애플 앱스토어 출시]
NFT 최적화 블록체인 플랫폼 엔진(ENJ)은 프랑스 애플 앱스토어에 엔진 월렛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로닌 네트워크, NFT 마켓 '마비스 마켓' 론칭]
게임 개발자를 위한 EVM 블록체인 로닌 네트워크는 NFT 마켓플레이스 마비스 마켓(Mavis Market) 론칭을 발표했다. 게임 스튜디오 NFT 컬렉션을 위한 마켓이다. RON으로 가격이 표시되며 AXS, WETH, USDC, RON으로 NFT를 구매할 수 있다. NFT 거래액의 0.5%가 로닌 트레저리에 적립된다. Axie DoLL & Axie Chat이 마비스 마켓에 처음으로 리스팅됐다.
[셀시우스 지갑, 한 주 동안 약 $9억 ETH 이동]
암호화폐 분석 플랫폼 아캄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셀시우스 지갑에서 지난 한 주 동안 약 $9억 상당 ETH가 움직였다. 이중 약 $2000만 ETH가 윈터뮤트 OTC, 커스터디 출금 주소로 전송됐다. 이후 피그먼트(Figment)에 $5700만 ETH를 스테이킹하고, 라이도에서는 $7.79억 ETH를 언스테이킹했다.
[블록체인 기반 대출업체 지아 $430만 시드투자 유치]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 중소기업 대출업체 지아가 $430만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TCG크립토가 리드하고 블록타워, 해시드 이머전트, Saison 캐피탈, 글로벌코인리서치가 참여했다. 투자금은 케냐, 필리핀 사업 확대 및 서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아시아 시장 개척에 사용될 예정이다.
[중국 부동산 대기업 그린랜드 자회사, 홍콩 가상자산 거래 라이선스 신청 계획]
상하이증권보에 따르면 중국 대형 부동산 개발사 그린랜드 자회사 그린랜드 파이낸셜 테크놀러지(绿地金创)가 홍콩 가상자산 거래 라이선스를 신청할 계획이다.
[바이낸스, BNB 체인 바이낸스 페깅 USDC·USDT 대규모 소각 진행]
바이낸스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오늘 BNB 체인의 바이낸스 패깅 USDT 및 USDC에 대한 대규모 소각을 진행한다고 공지했다.
[중남미, 동남아 애플 앱스토어서 '엑시인피니티:오리진' 출시 예정]
라틴아메리카, 동남아시아 일부 국가의 애플 앱스토어에서 엑시인피니티:오리진이 출시될 예정이라고 더블록이 전했다.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페루, 멕시코, 베네수엘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에서 앱 다운로드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개발사 스카이 마비스는 애플의 정책이 웹3 회사에 유리하게 변화하게 될 것이라고 낙관했다. 이 회사 경영진은 애플이 앞으로 NFT 인앱 구매, 타사 마켓플레이스를 허용하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리서치 "유명인사 홍보 ICO, 스캠 연루 가능성 높아"]
디크립트에 따르면 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 조슈아 화이트와 신 윌코프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인플루언서와 유명인사가 홍보한 ICO(토큰공개)는 스캠(사기)에 연루될 가능성이 높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스눕독, 패리스 힐튼, 플로이드 메이웨더 등 유명인의 ICO 홍보 활동을 조사한 뒤 해당 프로젝트와 스캠 연관 확률을 분석한 결과, 2019년 9월까지 확률은 이전에 비해 23~26%포인트 증가했으며, 올해 4월까지는 39~40%포인트 증가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