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싱가포르 금융통화청, 디지털 화폐 표준 제안 백서 발표...한은·IMF 등 참여 外

작성자 이미지
토큰포스트 기자
27
0

사진 = 싱가포르 통화청 CI / 싱가포르 통화청

[싱가포르 금융통화청, 디지털 화폐 표준 제안 백서 발표...한은·IMF 등 참여]

싱가포르 금융통화청(MAS)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토큰화 은행 예금, 스테이블코인 등 프로토콜 구축을 제안하는 백서를 발표한 것으로 확인됐다. 싱가포르 금융통화청이 21일 공식 사이트를 통해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토큰화 은행 예금, 스테이블코인 등 디지털 화폐의 사용 조건을 명시하는 공통 프로토콜 구축을 제안하는 백서를 발표했다. 해당 백서는 서로 다른 시스템에서 디지털 화폐 송금이 오갈 때 송금인이 유효 기간, 상점 타입 등 조건을 지정할 수 있는 특수 목적 화폐(Purpose Bound Money, PBM) 컨셉의 소프트웨어 프로토타입을 기반으로 작성됐다.

[데이터 "BTC 채굴자 지갑 최근 7일 평균 유출량, 최근 2년래 가장 많아"]

암호화폐 온체인 분석 업체 글래스노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7일 평균 비트코인 채굴자 다중 유출(Miner Outflow Multiple) 지표가 2년 만에 최고치인 2.970을 기록했다. 채굴자 다중 유출은 특정 기간 채굴자 주소에서 유출되는 자산의 양과 연평균 유출량의 비율을 수치화해 나타내는 지표다. 따라서 해당 지표가 1 이상일 때 특정 기간 채굴자 주소에서 외부로 이체된 BTC 물량이 연평균 유출량보다 많았음을 의미한다.

[업비트, 6/28 모바일 앱 개인지갑 등록 시스템 점검]

업비트가 모바일 앱 개인지갑 등록 시스템 점검으로 인해 오는 28일 21시부터 업비트 모바일 앱을 통한 메타마스크 주소 등록이 불가능하다고 공지했다.

[회계학회·삼일회계법인, 가상자산 연구 협약 체결]

한국회계학회와 삼일회계법인이 가상자산 연구지원을 위한 포괄적 협력관계 구축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한국회계학회 산하 가상자산위원회는 삼일회계법인과 함께 다양한 가상자산 연구 및 산업계 가상자산 회계 처리 지원, 정책 반영에 나설 예정이다. 위원장은 노희천 숭실대 교수가 맡았다. 가상자산 분야 전문가인 이재혁 삼일회계법인 파트너(상무)도 연구에 참여한다. 협약 기간은 2028년까지다.

[캐나다 증권협 "허위 규제기관 인증 내세운 암호화폐 플랫폼 주의"]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캐나다 증권관리협회(CSA)가 규제기관 허위 인증을 내세운 암호화폐 플랫폼을 주의하라며 소비자 경보를 발령했다. CSA는 "일부 업체가 홈페이지를 통해 규제 기관의 정식 인증을 받았다고 홍보하고 있다.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문법에 오류가 있는 등 엉터리인 경우가 적지 않다. 대표적으로는 캐나다 금융감독관리위원회(FSC), 블록체인협회, 국제금융위원회(FinaCom)의 인증을 허위로 기재하는 사례가 많다"고 설명했다.

[애플, 앱스토어서 가짜 트레저 월렛 앱 삭제]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애플이 앱스토어에서 암호화폐 하드웨어 지갑 업체 트레저(Trezor)의 가짜 앱 '트레저 월렛 스위트(Trezor Wallet Suite)'를 등록 취소했다. 트레저 월렛 스위트(Trezor Wallet Suite)라는 이름의 해당 앱은 운영자가 암호화폐를 탈취할 수 있는 '악성 애플리케이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베이 "전세계 암호화폐 보유자 4.2억명 추산...절반 이상이 아시아"]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 업체 트리플에이가 자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 세계적으로 암호화폐 보유자가 4억 20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아시아 인구는 약 2억 6000만명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북미 5,400만명, 아프리카 3,800만명, 남미 3,300만명으로 뒤를 이었다. 개별 국가로는 미국이 4,600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용자 성별은 남성이 63%, 여성 37%로 나타났다.

[소프트뱅크 "FTX 영향 제한적...당시엔 큰 투자 기회라 판단"]

미국 금융 및 투자 전문 미디어 더스트릿(Thestreet)에 따르면 일본 소프트뱅크가 21일(현지시간) 진행한 주주총회에서 FTX 파산에 따른 손실이 크지 않다고 재차 강조했다. 고토 요시미츠(Yoshimitsu Goto) 소프트뱅크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소프트뱅크 비전 펀드의 FTX 투자는 극히 일부에 불과하며, 이로 인한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큰 영향은 없다. 해당 펀드의 투자 우선순위는 인공지능(AI) 분야지만, 당시에는 블록체인 기술이 큰 투자 기회라고 판단했었다. 단, 블록체인이 인공지능(AI) 분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여전히 투자 기회 중 하나로 보고있다"고 설명했다.

[일론 머스크, 비탈릭 부테린 트위터 팔로우]

빅테크 기업 고위 경영진의 트위터 활동을 추적하는 트위터 계정 빅테크알러트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ETH) 창시자의 트위터를 팔로우한 것으로 나타났다.

[블랙록 관계자 '미 정치인, 돈으로 매수할 수 있다' 폭로 영상 논란]

워처그룹에 따르면, 미국 매체 오키프 미디어 그룹(O'Keefe Media Group)이 20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채용 담당자 서지 발레이(Serge Varlay)와 나눈 대화 영상을 폭로, 그중 블랙록 채용 담당자의 '미국 정치인은 돈으로 매수할 수 있다', '러-우 전쟁은 좋은 비즈니스 기회' 등 발언이 논란을 낳고 있다. 영상에서 블랙록 채용 담당자는 "누가 대통령이냐는 중요하지 않다. 누가 대통령의 지갑을 쥐고 있느냐가 중요하다. 선거에 참여하는 후보를 매수할 수도 있으며, 특히 미국 상원의원들은 1만 달러면 매수할 수 있다. 지금 당장 50만 달러가 주어진다면 누가 선거에서 당선되도 상관없다. 그들은 모두 내 손아귀에 있게 되는 것"이라며 블랙록이 막대한 자금력으로 글로벌 사회에서 상당한 권력과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한편 블랙록은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비트코인 현물 ETF 성격의 신탁 상품 출시 승인을 신청한 바 있다.

[디파이라마 창업자 "NFT 마켓 파운데이션, 치명적 코드 취약점 존재"]

디파이라마 창업자 겸 개발자 0xngmi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NFT 거래 플랫폼 파운데이션(foundation)에는 치명적인 코드 취약점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그는 "해당 취약점이 노출되면 플랫폼에서 민팅된 모든 NFT가 파괴될 수도 있다. 파운데이션의 컬렉션 컨트랙트는 배포 시 가스 수수료를 절약하기 위해 전달자 프록시 패턴(forwarder proxy pattern)을 사용하는데, 이는 모든 컬렉션이 단일 컨트랙트를 호출해 코드를 공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제는 플랫폼 컬렉션에 남아있는 NFT가 없을 경우 플랫폼을 통해 민팅된 NFT 전부가 소멸될 수 있다는 것이다. 좋은 소식은 구현 컨트랙트에서 1개의 NFT를 민팅한 뒤 소각 주소로 전송하면 이러한 백도어 리스크를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이지만, 나쁜 소식은 6개월 전에 해당 문제를 파운데이션 측에 제보하고 해결책까지 제시했지만 아직 어떠한 조치도 없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보 COO "홍콩, 폭풍 속 암호화폐 산업에 등대 역할 중"]

암호화폐 커스터디 및 자산 관리 서비스 코보(Cobo)의 최고운영책임자(COO) 릴리 킹이 포캐스트 기고문을 통해 "홍콩은 오늘날 폭풍 속에 위치한 암호화폐 산업에 등대 역할을 하고 있다"고 21일 진단했다. 이와 관련 그는 "홍콩과 암호화폐 산업은 상호존중과 수요에 기반한 공생 관계를 구축하고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견고해질 것이다. 홍콩은 풍부한 자본 시장, 미래지향적 규제 프레임워크, 비즈니스에 개방적인 정책 스탠스 등 장점을 보유한 지역이다. 암호화폐 업계가 활동하기 이상적인 무대를 제공할 수 있다. 홍콩에게도 암호화폐 산업은 전략적인 선택일 수 있다. 미중 관계 긴장이 계속되는 가운데 홍콩의 글로벌 금융 허브 지위가 위협받고 있는 지금 홍콩은 암호화폐라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수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빗썸, 오늘 11시 45분부터 FLOW 입출금 일시 중단]

빗썸이 조금 전 플로우(FLOW)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인해 21일 11시 45분부터 FLOW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팟캐스트] CPI 하락에도 금리 인하 ‘글쎄’…그 와중에 비트코인 10만 돌파?

우리은행 前직원, 178억 횡령해 암호화폐에…징역 11년

댓글

27

추천

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27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남이대장군

2023.06.22 11:14:30

파이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황소

2023.06.22 08:12:17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제이슨리

2023.06.22 08:11:52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평상

2023.06.22 07:54:0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terra3372

2023.06.22 07:44:4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꽃순

2023.06.22 07:07:44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진주성지키미

2023.06.22 06:56:05

잘보고갑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또리

2023.06.22 06:45:22

고맙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또리

2023.06.22 06:45:12

고맙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XDC★PLI

2023.06.22 06:32:59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