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오후 브리핑] 한국은행, 5회 연속 금리 '동결'...3.5% 유지 外

작성자 이미지
박원빈 기자
5
0

[한국은행, 5회 연속 금리 '동결'...3.5% 유지]

한국은행은 5회 연속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한국은행 금융통회위원회는 24일 오전 열린 본회의에서 현재 연 3.50%인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5월과 동일한 1.4%로 유지했다. 한국은행은 2021년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1년 6개월 간 기준금리를 10차례, 총 3%p 인상했다. 지난해 4월부터 올해 1월까지 사상 첫 7회 연속 금리인상을 단행해 14년 최고 수준까지 기준금리를 끌어올렸다. 지난 2월 물가 하락과 경기둔화 조짐에 1년 5개월 만에 인상을 멈췄으며 4월, 5월, 7월까지 금리 동결을 이어갔다. 물가 진정과 중국발 경기 불확실성이 이번 금리 동결 결정의 배경으로 꼽힌다. 또한 수출과 내수가 부진한 상황에서 중국발 경기 둔화 위기까지 더해져 경기 회복이 지연될 수 있는 만큼 금리 변동 없이 지켜보자는 입장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8월 6.3%, 올초 5%에 머물렀던 국내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 6월 2.7%로 떨어지며 21개월 만에 2%대에 진입했다. 7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2.3%, 전월 대비 0.3% 올랐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직전월 3.5%에서 3.3%로 내렸다. 최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8~9월 다시 3%대가 될 가능성이 있고, 그후 천천히 떨어져 내년 하반기 2% 중반 이하로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총재는 "높아진 물가를 빠른 시간 내에 3% 밑으로 내린 나라는 선진국 중 한국이 유일하다"며 국내 물가 안정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한편, 우리나라(3.5%)와 미국(5.25~5.5%)의 금리차는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 중이다. 미 연준은 연내 1회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도 남겨둔 상황이다. 시장은 국내 금리 인상 주기가 끝났다고 보고 연말까지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동결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디파이 시장 규모 380억 달러 기록...올초 수준으로 축소]

탈중앙화 금융(Defi, 디파이) 시장이 380억 달러(한화 약 50조5400억원) 규모를 기록하고 있다. 디파이라마에 따르면 24일 오전 8시 50분 기준 디파이의 총예치액(TVL)은 380억 달러 상당으로, 올초 수준을 보이고 있다. 상승장 당시 1750억 달러까지 성장했던 디파이 생태계가 암호화폐 약세장 장기화와 함께 크게 위축된 모습이다. 디파이 생태계 전반에서 TVL 감소가 나타났다. 140억 달러(한화 약 18조6200억원)로 TVL 기준 최대 디파이를 기록 중인 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 리도 파이낸스(Lido Finance)는 전월 대비 5% 줄어들었다. 한달 동안 상위권 디파이 저스트렌드는 6%, 유니스왑은 10%, 에이브와 커브는 20% 이상의 TVL 감소세를 보였다. 컨벡스파이낸스는 28%, 밸런서 33%의 큰 감소세를 나타냈다. 디파이 TVL 기준 가장 큰 비중을 가진 블록체인은 '이더리움'의 TVL은 전주 대비 10% 감소한 217억 달러(한화 약 28조원)를 기록하고 있다. 트론(53억 달러, 0.13%↑), BSC(28억 달러, 7.92%↓), 아비트럼(17억 달러, 8.76%↓), 폴리곤(7770만 달러, 8.26%↓) 등이 뒤를 이었다. 유동성 이더리움 스테이킹 프로토콜은 TVL 증가가 나타났다.한 달 동안 리도(6%), 코인베이스(4%), 로켓풀(5%), 프랙스이더(5%), 아이겐레이어(566%)의 TVL 증가세를 보였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41...투심 개선]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보다 4포인트 오른 41을 기록했다. 투심이 개선됐으며 공포 단계가 유지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분석 "BTC 반등, 상어·고래 주소가 이끌어"]

암호화폐 온체인 분석 플랫폼 샌티멘트(Santiment)가 X(구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BTC)은 23일 주요 고래, 상어 주소가 다시 한 번 매집에 나서면서 26,800 달러까지 반등했다. 현재 156,660개 주소가 10~1만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 주소는 8월 17일 이후 3억 860만 달러 상당 BTC를 축적했다"고 밝혔다. 샌티멘트가 첨부한 이미지에 따르면 10~1만 BTC를 보유하고 있는 주소들은 지난 6일 동안 총 11,629 BTC를 매집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서클 CEO "6개 체인서 USDC 지원 후, 해당 블록체인에 CCTP 적용"]

서클이 6개 새로운 블록체인에서 USDC를 지원하는 것과 관련 서클 CEO인 제레미 알레어(Jeremy Allaire)가 X(구 트위터)를 통해 "서클의 비전은 전세계 모든 개인이나 기업이 원활하게 자산을 환전 및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중요한 다음 단계는 서클 크로스체인 전송 프로토콜인 CCTP를 USDC를 지원하는 모든 블록체인 생태계에 도입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서클은 앞서 9~10월 폴리곤(MATIC), 베이스(BASE), 폴카닷(DOT), 니어(NEAR), 옵티미즘(OP), 코스모스(ATOM)에서 USDC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한 바 있다.

[마브렉스, 앱토스와 멀티체인 파트너십 체결]

넷마블의 블록체인 전문 자회사 마브렉스(MBX)가 공식 미디움을 통해 레이어1 블록체인 앱토스(APT) 재단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4일 발표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마브렉스는 앱토스 인프라 내 MBX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솔루션 '마브렉스 웜 브릿지' 출시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멀티체인 상호작용 관련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MBX는 현재 3.29% 오른 0.7944 달러, 앱토스는 3.12% 오른 6.0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2억 부탁"…코인거래소 '상장피' 받았다, 얼떨결에 공개]

중앙일보에 따르면 지난 22일 서울남부지법 형사7단독 김정기 판사 심리로 열린 ‘코인원 상장 비리 사건’ 재판에서 전직 코인원상장팀장 김모(31)씨의 변호인이 증인석에 앉은 코인 상장 브로커 고모(44)씨에게 "당시 피카(PICA)코인 상장피가 얼만지 아세요?"라고 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고씨가 “잘 기억나지 않는다”고 답하자, 김씨 변호인은 “상장피가 2억원이었다. 상장피를 낮추는 대신 MM 업체를 쓰도록 했던 것이잖느냐”고 물었다. 고씨는 “정해진 MM 업체를 쓰면 1억원만 상장피로 내고, 나머지 1억원은 법인 계정에 입금하도록 한 제도는 알고 있다”고 말했다. 재판부는 다음달 6일 증인신문을 한 차례 더 가진 뒤 이들에 대한 결심공판을 진행하기로 했다.

[빗썸, 오늘 16시 FXS 원화 마켓 상장]

빗썸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24일 16시 프랙스 셰어(FXS)를 원화 마켓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입금은 14시, 거래·출금은 16시부터 지원한다.

[코인원, 8/24 BNB 원화마켓 상장]

코인원이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한국시간 기준 8월 24일 비앤비(BNB)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입금은 오전 10시, 출금은 오후 2시 오픈될 예정이다.

[CBOE CEO "암호화폐 투자수단 대중화 요구 확인, 글로벌 시장 확장 추진"]

미국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글로벌 마켓 최고경영자(CEO)인 에드워드 틸리(Edward Tilly)가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재무상태표가 유연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인수합병과 글로벌 시장 확장을 추진할 것이다. 우리는 경쟁에 개방적인 지역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2021년부터 추진해온 해외 시장 확대, 암호화폐 사업 강화를 지속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CBOE는 지난달 피델리티 등 대형 금융사들과 비트코인(BTC) 현물 ETF를 신청하기도 했다. 틸리는 "암호화폐 투자수단을 대중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었으며, (비트코인 현물) ETF는 이를 위한 훌륭한 도구"라고 덧붙였다.

[美 상원의원 "BTC 채굴업체, 전력망 안전성에 도움"]

비트코인매거진에 따르면 빌 해거티 미국 상원의원이 BTC 채굴 업체 그리드(GRIID)를 방문해 "그리드의 성공적인 모습을 볼 수 있어 기쁘다. 전력망 안정성에 도움을 주고 양질의 일자리까지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그는 다른 의원들과 함께 미국 환경보호국에 BTC 채굴의 환경적, 경제적 이점을 강조한 서한을 보낸 바 있다. 또 그는 지난 3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암호화폐 산업 규제를 처벌로 일관하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는 내용의 서한도 보냈다.

[한은, 기준금리 연 3.5% 5연속 동결]

한국은행이 연 3.5%인 기준금리를 다섯 차례 연속으로 동결했다. 한은은 지난 1월 기준금리를 3.25%에서 3.5%로 인상한 뒤 계속해서 묶어둔 상태다.

[판테라캐피털 CEO "리플-SEC 소송 약식판결 결과, 업계에 긍정적 블랙스완"]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암호화폐 헤지펀드 판테라캐피털(Pantera Capital)의 공동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 댄 모어헤드(Dan Morehead)가 최근 공식 채널을 통해 "리플(XRP)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법적 분쟁에서 쟁취한 '승리'(XRP 증권성 관련 약식판결 결과)는 암호화폐 업계에 긍정적인 '블랙스완'(도저히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일이 실제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리플랩스는 SEC와 진행한 3년간의 소송에서 업계 분수령이 될 수 있는 결과를 얻어냈다. 적어도 암호화폐 증권성 관련 규제 명확성을 확보했다는 점은 선례로 남아 업계에 분명한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서클 CEO "코인베이스, 6개 체인 기반 USDC 출시 후 지원 예정"]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서클(Circle)의 최고경영자(CEO) 제레미 알레어(Jeremy Allaire)가 X(구 트위터)를 통해 "코인베이스는 6개 블록체인(폴리곤, 베이스, 폴카닷, 니어, 옵티미즘, 코스모스)에서 신규 지원되는 USDC의 공식 출시와 동시 혹은 이후부터 해당 자산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코인니스는 코인베이스가 서클사의 지분을 매입했다고 전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양사가 공동 설립한 USDC 발행 및 거버넌스 컨소시엄은 종료됐고, 서클은 USDC 운영 관련 전권을 위임받았다.

[美 SEC, 법원에 내년 2분기 '리플 소송' 재판 불가 일정 통보]

폭스비즈니스 기자 엘리노어 테렛(Eleanor Terrett)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리플(XRP) 랩스 소송과 관련해 법원에 재판 진행 불가 일정을 통보했다. SEC가 통보한 일정은 ▲2024년 4월 15일~19일 ▲5월 1일~7일 ▲5월 27일~31일이다. SEC는 "해당 기간을 제외하고는 4~6월 언제든 재판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앞서 리플 측 변호인은 법원에 "내년 2분기 언제든 재판을 진행할 수 있다"고 통보했다.

["파월, 잭슨홀 연설로 시장 흔들지 않을 것…중립금리는 주목"]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미국 잭슨홀 연례 심포지엄을 앞두고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시장을 흔들 발언은 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위즈덤트리의 케빈 플래나건 채권 전략 헤드는 "파월 의장이 잭슨홀 연설에서 지난 회의의 매파적 메시지와 회의록을 고수할 가능성이 높다"며 이같이 내다봤다. 하지만 파월 의장이 '중립 금리'를 언급할 경우 시장이 흔들릴 가능성은 남아 있다고 플래나건 헤드는 덧붙였다. 최근 인플레이션이 정점에서 하락하고 미국 경제가 견조하자 중립 금리 수준이 더 높아질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서다. 중립 금리는 실질금리의 중립 수준 혹은 '자연이자율'로 이론적으로 경제 부양·긴축, 과열과 침체 어느 쪽도 아닌 금리 수준을 의미한다.

[유명 도지코인 투자자 "X, DOGE 결제 도입 확신"]

유명 도지코인(DOGE) 투자자이자 암호화폐 유튜버 글라우버 콘테소토(Glauber Contessoto)가 디크립트와의 인터뷰를 통해 "X(구 트위터)에서 도지코인 결제가 도입될 것이라고 진심으로 믿고 있다. 이는 굉장히 합리적인 추측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암호화폐 시장은 순환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나는 이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수년간 노력했으며, 다음 강세장에는 DOGE가 1달러까지 오를 것이라고 확신한다. 이러한 상승 배경 중 하나는 X의 DOGE 결제 도입"이라고 전했다. 그는 2020년 25만 달러 상당 DOGE를 매입한 바 있다. 현재 그가 보유한 DOGE 가치는 5만 달러 상당으로 하락한 상태다.

[코인센터 "법무부 토네이도캐시 기소, 재무부 기조와 상충"]

미국 소재 비영리 암호화폐 연구 기관 코인센터(Coin Center)의 리서치 디렉터가 X(구 트위터)를 통해 "법무부가 토네이도캐시의 주요 관계자들을 기소한 것은 재무부 금융범죄단속네트워크(FinCEN)의 기조에 어긋난다. 그간 핀센은 '익명 소프트웨어 제공업체는 자금 전송자가 아니다'고 판단해왔다"고 주장했다. 앞서 법무부는 토네이도캐시 설립자 로만 스톰(Roman Storm)과 로만 세메노프(Roman Semenov)를 자금 세탁 및 10억 달러 이상 범죄 자금을 세탁한 무허가 송금 서비스 운영 혐의로 기소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셈러 사이언티픽, 비트코인 투자로 22.2% 수익…보유량 3,800개 돌파

美 상원, 디지털 자산 기업 세금 완화 촉구… 트럼프 행정부 조정 나서나

트럼프 가문 지원 비트코인 채굴사, 합병 통해 나스닥 상장 추진

댓글

5

추천

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5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엠마코스모스

2023.08.24 23:09:50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젤로는천사

2023.08.24 13:31:29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제이에스

2023.08.24 12:51:07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제이에스

2023.08.24 12:50:59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Yoyoyo

2023.08.24 12:36:33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